뉴스포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네트형-------------(인디아카, 비치발리볼)

2.골프형-----------(그라운드골프, 게이트볼)

3.무술형----------------(태보, 카디오컴뱃)

4.체조형-------------(아쿠아로빅, 필라테스)

5.보드형------------------------(에스보드)

6.워킹형------------(파워워킹, 노르딕워킹)

7.자전거형---------(외발자전거, 파워라이저)

8.하키형---------------(라크로스, 플로어볼)

9.기타------------------------(티볼, 네비)

본문내용

물 위를 쉽게 굴러가게 되어 있고, 안장이 두텁고 더 편하게 되어 있어서 험한 지형지물에서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 심한 급경사 하강을 위해 브레이크가 쓰이기도 한다.
장거리 주행용 외발자전거
26인치에서 36인치 가량의 큰 바퀴 지름을 갖고 있어서 페달 회전량에 비해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크랭크의 길이를 조절해 더 속도를 내려는 경향도 있는데, 보통 125 mm 길이를 사용하나, 몇몇 경우에는 최단 40 mm 길이의 크랭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 외발자전거 협회
파워라이저
1.역사
한국의 파워라이저(주)가 2001년 2월 스프링을 자체 개발해 만든 레저스포츠 기구이다. 힘을 뜻하는 '파워(power)'와 뛰어오르는 사람을 뜻하는 '라이저(riser)'의 합성어이다.
2.원리
힘과 스피드를 즐기려는 스포츠 마니아들에게 고공점프의 스릴과 재미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특수 제작된 스프링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둥글게 구부러지면서 변형되었다가, 그 힘이 사라지는 순간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펴지면서 수직 에너지를 발생시켜 사용자를 공중으로 솟아오르게 하는 원리를 이용
하키형
라크로스
1.역사
1636년도에 기독교 선교사인 Jean de Berbeuf가 현재의 캐나다 온타이오 남동부 지방에서 열렸던 휴런대회에 문서를 작성하였던 기록이 그 시초가 되었다. 이후 프랑스 개척자들이 1800년대에 이 경기를 열광적으로 즐기게 되었고 1867년 캐나다의 치과의사였던 W.George Beers가 이 경기에 대한 규정을 세우게 된 것이 근대 라크로스의 기초가 되었다.
2.장비 및 시설
경기장은 길이 101m(여자는 81~101m), 너비 49~55m이며, 골은 엔드라인에서 14m 들어간 곳의 중앙에 설치하는데, 크리스라고 하는 지름 5.5m의 원이 둘레에 그어져 있다. 경기자는 헬멧을 쓰고, 두툼한 장갑을 끼고 경기를 한다.
3.규칙
-경기방식은 끝에 그물을 친 길이 91~180cm의 크로스로 야구공보다 약간 작은 공을 던지고 그물로 받아 운반하고, 또 발로 차서 상대편 골에 넣으면 이긴다.
-한 팀은 10명(여자는 12명)으로 구성되며, 경기시간은 60분이고, 15분씩 4쿼터로 나누어 경기를 한다.
*한국 라크로스 협회
플로어볼
1.역사
플로어볼은 1950년대 미국의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놀이기구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후 점차 놀이에서 게임의 형태로 발전되어 미국을 비롯한 캐나다로 보급되면서 시합의 형
태로 정착하였다. 그 후 1962년 미국의 미시간에서 처음으로 경기를 가지게 되어 플로어하키란 이름으로 발전을 하게 되었다.
2.장비 및 시설
-경기장은 직사각형이며 코너부분이 둥글게 막혀있어야 한다.
국제 경기장의 사이즈는 길이가 40m, 넓이가 20m이며 링크 라인을 따라 높이가 50cm인 보드를 설치해야 한다. 이 보드는 FRP 재질로 이동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져 선수들끼리 충돌시 부상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장 작은 경기장은 36mX18m, 가장 큰 경기장은 44mX22m까지 허용된다.
-스틱은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 어져 있어서 매우 가벼우며 위험요인이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스틱은 손으로 잡는 부분인 Grip을 포함한 Shaft와 공을 다루는 부분인 Blade로 크게 구분된다. 스틱의 재질에 따라 Softer 스틱과 Stiffer 스틱이 있으며 Softer 스틱은 초보자에게 유용하고Stiffer 스틱은 빠른 슛과 빠른 패스가 필요한 선수들이 주로 사용한다.
-공의 무게는 23그램, 직경은 72mm, 그리고 직경이 10mm인 26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3.규칙
-두 팀간의 시합의 형태로 경기를 진행하며 상대팀보다 더 많은 점수를 얻는 팀이 승리하는 스포츠 경기이다.정식 시합은 단단한 바닥의 실내나 대한플로어봅협회에서 지정 한 장소에서 경기를 한다. 일반적인 경기는 실내의 체육관이나 스포츠센타와
같은 장소 뿐만 아니라 공원, 고수부지, 해변가 등 기존 공간의 활용이 매우 용이하다.
-정식 경기 시간은 3피리어드 20분씩, 두 번의 10분간의 휴식시간을 갖게 되며 각 피리어드가 끝나면 각 팀은 공격 진영을 바
꿔야 한다.
*대한 플로어볼 협회
기타
티볼
1.티볼이란?
야구를 변형시킨 스포츠이며 공을 티(tee)위에 올려서 공을 치고 1,2,3루를 돌아 홈으로 들어오는 구기종목
2.장비 및 시설
경기장은 잔디가 있고 평평한 곳에서는 무난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를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깔고 파울라인을 그린다.
3.규칙
*스트라이크
-티를 건들였을 때
-헛스윙을 했을 때
-공이 파울이 될 때(공을 스쳐 쳐서 공이 안 나간 경우, 파울지역에 떨어질 경우)
-주심이 플레이 볼 선언 10초 동안 타격행위를 안 했을 경우
*아웃
-위의 원인으로 스트라이크가 3번 선언 될 경우
-타자가 친 공이 플라이 아웃(야수가 땅에 떨어지지 않은 공을 잡고 주심이 이를 인정할 경우 선언)이 선언 될 경우
-공을 가진 야수가 타자가 베이스를 밟기 전 태그하거나 1루 베이스를 밟은 경우 단,심판이 이를 인정해야 하며 동시의 경우에는 아웃 선언을 하지 않는다.
레비
1.역사
국민생활체육협의회가 한국인에게 적합한 생활체육 종목으로 개발한 새로운 스포츠이다. 럭비와 술래잡기에서 기본 동작과 룰을 얻어왔으며, 이름은 '레저'와 '럭비'를 합성하여 만들었다.
2.장비 및 시설
레비는 경기 장소에 구애받지 않아 체육관이나 야산, 해변 등 어느 곳에서나 할 수 있으며, 4명부터 6명까지 참가 인원 수도 다양하다.
3.규칙
럭비처럼 공격팀 선수가 가랑이 사이로 볼을 내주는 '스냅바'로 경기가 시작되며, 득점 방법도 럭비의 트라이와 비슷하다. 럭비와 다른 점은 부상의 위험을 고려해 럭비의 과격한 특징들을 없앴기 때문에 스크럼을 짤 수도 없고 태클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손으로 공을 가진 선수의 몸을 3번 터치하면 공격권을 잃게 된다. 따라서 공을 가진 선수는 열심히 도망다니고 상대편을 터치하기 위해 열심히 쫓아다니게 되므로 많은 운동량을 필요로 한다. 여자는 한 손으로 터치해도 되고 남자는 반드시 두 손으로 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10.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