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오용 사례, 대안 및 해결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준발음법 오용 사례, 대안 및 해결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1. 우리말의 중요성
2. 한국어 사용의 실태

◎ 본론
1. 표준 발음의 정의
2. 표준 발음법 규정 및 사례
제 1 장. 총 칙
제 2 장. 자음과 모음
제 3 장. 음의 길이
제 4 장. 받침의 발음
제 5 장. 음의 동화
제 6 장. 경음화
제 7 장. 음의 첨가

◎ 결론
1. 정부차원에서의 해결책

본문내용

표준발음법과 오용 사례, 대안 및 해결책
<<표준 발음과 오용 사례>>
◎ 서론
1. 우리말의 중요성
2. 한국어 사용의 실태
◎ 본론
1. 표준 발음의 정의
2. 표준 발음법 규정 및 사례
제 1 장. 총 칙
제 2 장. 자음과 모음
제 3 장. 음의 길이
제 4 장. 받침의 발음
제 5 장. 음의 동화
제 6 장. 경음화
제 7 장. 음의 첨가
◎ 결론
1. 정부차원에서의 해결책
《서 론》
1. 우리말의 중요성
오늘날 나라 안팎으로 우리말의 비중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1) 나라 안에서는 여러 가지 말하기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각종 선거에 대비한 정치적인 말하기, 회사 등에서 제품 설명을 위한 직장인의 말하기, 시낭송이나 동화 구연 같은 문학적인 말하기, 각종 방송을 위한 아나운서적인 말하기, 상황과 예절에 맞는 화법 등등 말하기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2) 한국어의 국제화를 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한류를 타고 드라마 등을 통해 우리말이 일본과 중국, 동남아 등지에 알려지고 있다. 또 우리나라에 와서 일하는 외국 노동자들도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한국어 능력시험을 보는 외국인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한국어학과를 설치하는 외국 대학들도 많아지고 있다. 나라 안에서도 외국인을 위해 한국어학과를 설치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도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 우리말이 나라 안팎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상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우리가 무조건 반가워할 수만은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왜냐면 표준발음법에 근거한 정확한 발음에 바탕을 두고 말하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대부분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2. 한국어 사용의 실태
특히 교육은 가장 모범적인 한국어를 교육해야 마땅한데, 현실은 내·외국인을 위한 교육 모두 그렇지 못하다. 한국어 교재부터가 표준발음의 교육을 소홀히 하는데다가, 교사들도 대부분 정확한 표준발음을 하지 못한다. 그러니 지금 이 상태의 한국어 교육은 겉보기만 예쁜 가화(假花)와 같다. 또 이는 난개발 되는 도시로도 비유할 수 있다. 난개발은 일단은 그 도시가 커지는 데는 좋은 일처럼 보이지만 나중에는 도시의 올바른 성장에 큰 걸림돌이 된다.
그러므로 지금처럼 엉터리 한국어 발음이 내·외국인에게 교육되는 일은 시급히 바로잡아야 한다.
《본 론》
1. 표준 발음
1) 표준 발음의 정의
국민 언어 생활에 규범이 되는 발음으로서 ‘표준 발음법’의 규정으로 정해 놓은 것을 표준 발음이라고 한다. 『표준어 규정』(문교부 고시 제88-2호:1988.1.19)에 따르면, 표준 발음이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의 실제 발음 중에서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에 부합되게 정해진 발음”으로 정의해 볼 수 있다.
2) 표준발음법 규정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장 자음과 모음
제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제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계ː집/게ː집] 계시다[계ː시다/게ː시다]
시계[시계/시게](時計) 연계[연계/연게](連繫)
몌별[몌별/메별](袂別) 개폐[개폐/개페](開閉)
혜택[혜ː택/헤ː택](惠澤) 지혜[지혜/지헤](智慧)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키워드

표준발음법,   오용,   사례,   실생활,   대안,   결론,   방안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2.0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