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념 및 정의
Ⅱ. 시각장애 아동의 특성
Ⅲ. 교수전략
Ⅳ. 시각 장애아 치료 교육
Ⅴ. 시각 장애아의 보행훈련 프로그램
Ⅵ. 프로그램의 응용
Ⅱ. 시각장애 아동의 특성
Ⅲ. 교수전략
Ⅳ. 시각 장애아 치료 교육
Ⅴ. 시각 장애아의 보행훈련 프로그램
Ⅵ. 프로그램의 응용
본문내용
지 도 단 계
제 1단계
물체를 손바닥으로 때린다.
물건을 손바닥 전체로 쥔다.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쥔다.
손바닥으로 물체의 표면을 쓰다듬는다.
물건을 들어올린다.
제 2단계
2개 또는 3개의 적목탑을 만든다.
두 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다.
이 손에서 저 손으로 물건을 바꿔 쥔다.
무엇인가를 갈겨 쓴다.
점토를 손으로 이긴다.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제 3단계
손가락을 하나씩 굽혔다 폈다를 한다.
작은 물건을 집는다.
엄지 또는 검지로 벨을 세게 누른다.
끈을 움켜잡고 잡아당긴다.
손목을 움직여 문의 손잡이를 돌린다.
간단한 적목을 쌓아올린다.
막대로 물건을 잡거나 때린다.
단추나 호크 등을 빼낸다.
제 4단계
손끝으로 물건을 정확히 본 뜬다.
손가락으로 ○ △ □ 등을 그린다.
가위를 사용한다.
풀칠을 한다.
종이를 둘로 접는다.
가는 모래를 가지고 논다.
블럭으로 여러가지 모양을 만든다.
두 손으로 피아노를 친다.
여러가지 손 장난을 한다.
끈으로 매듭을 짓는다.
제 5단계
단추, 호크 등을 끼운다.
점토 세공을 한다.
테이프로 물건을 고정시킨다.
칼, 톱, 작은 삽 등의 연장을 쓸 줄 안다.
간단한 종이 접기를 한다.
가는 모래로 여러가지 모양을 만든다.
손의 일반적 기능(손을 벌린다, 쥔다, 만진다, 누른다, 밀어낸다, 쓰다듬는다, 편다 등)을 완성한다.
(3) 촉각 훈련
시각장애아의 정확한 촉각 인지를 위해서는 상체 및 손가락의 운동조절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언어적 지시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촉각변별력의 개발은 언어발달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며 읽기학습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를 이루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아에게 주위의 물체에 대한 경험을 풍부히 해주기 위해서는 여러 물체를 자주 접촉하게 하여 물체의 질감, 크기, 모양, 위치 등에 대해 변별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모든 사물들의 세밀한 부분들까지 촉각으로 느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촉각변별력 지도의 내용>
영 역
지 도 내 용
질 감
거친 것과 부드러운 것, 딱딱한 것과 물렁물렁한 것, 찬 것과 뜨거운 것의 차이, 잔디밭이나 시멘트, 브로크나 자갈, 카페트나 타일, 모래나 흙 등의 축감 차이, 바닥이나 면, 털, 화학섬유 천의 촉감차이
크 기
무게 비교, 모양비교(원, 사각형 등), 넓이와 길이 대조, 물체의 크기관계(이것이 저것보다 크다)
관 계
물체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인식(비온 뒤, 비 오기 전, 건조한 기온)
기 온
사물의 조사 및 확인(필수품 다루기, 모형을 통한 실젭모양 인지)
기초활동
단추 잠그기, 구슬꿰기, 착탈의, 수저사용, 세수, 가위질, 공굴리기, 옷걸리, 저울질하기, 고무줄 늘리기
2) 언어 훈련
시각장애아는 어려서부터 주변에 산재해 있는 여러 가지 소리들을 들었을 때 어떤 생황에서 그런 소리가 생겨날 수 있는지에 대해 소리와 상황을 연결시켜서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상실된다. 예를들어 소리와 상황사이의 연결되어야 할 개념 형성이 되지 않아 긴장하지 않을 소리에도 긴장하거나 긴급히 피해야 하는 소리에도 태연하게 대응을 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그러므로 청각변별력 훈련과 언어훈련은 항상 병행시켜서 개념형성과 어휘력 확대에 대한 훈련을 해야한다. 또한 구체적인 경험없이 추상적인 언어가 많으나 개념이 형성되지 않아 어휘는 어휘대로 입으로만 말은 하되 구체적인 경험 결핍에 의해 나타나는 언어주의(verbalism)를 치료교육 해야한다. 이는 언어발달 과정 중에 정상아가 경험하는 것처럼 시각적 경험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청각변별력 촉진 놀이>
구 분
놀 이
내 용
자연음
주변의 소리듣기
아동의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모든 소리에 귀기울이고, 같이 이야기 나누고 그 소리가 나는 사물, 상황, 사람에 대한 차이를 인식한다.
음악 듣기
세계 여러 나라의 고전 음악, 동요, 대중가요 등 항상 음악과 같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효과음 듣기
자동차 소리, 동물울음 소리, 시냇물 소리 등 각종 효과음을 들려주면서 그 음이 나는 사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같이 이야기 한다.
소리깡통 놀이
외형이 똑같은 작은 깡통에 흙, 모래, 쌀, 콩, 돌 등을 넣어 같은 소리가 나는 깡통들을 한 쌍씩 만들어 짝짓는다.
말소리
귓속말 속삭이기
처음 사람이 옆사람에게 남이 들을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소리로 귓속말을 한다. 이렇게 하여 맨 마지막의 사람은 커다란 소리로 들은 이야기를 말하여 처음의 말과 어디가 달라졌는지 이야기한다.
뒷말 잇기
처음 사람이 한 낱말을 말하면 그 다음 사람은 그 전 사람이 말한 낱말의 마지막 글자를 처음 글자로 사용해서 만어를 만든다.
예를들면 사과 - 과수원 - 원숭이
문장 만들기
처음 사람이 하나의 문장을 만들면 다음 사람은 그 문장에 대한 다른 한개의 문장을 붙혀서 긴 문장을 만든다.
예를들면 나는 예쁘다 - 나는 예쁘지만 고집쟁이 이고 춤도 잘 춘다…
지시대로 향동하기
아동 자신이 몸을 움직여서 해 넬 수 있는 지시를 함으로 해서 아동이 자신과 주변에 널려있는 모든 사물과 연결시킬 수 있는 행동을 하게 한다.
동화듣기
간단한 동화를 들려주고 같이 이야기를 나눈다.
녹음하기
자신이 말하는 것을 녹음했다가 다시 들어본다.
3) 보행훈련
심한 약시나 맹 유아는 시각적인 모방의 결핍으로 무릅을 구부린채 걷거나, 머리를 숙이고 걷거나, 머리와 손을 흔들면서 걷는 맹유아는 바른 자세를 확립해야 한다.
유아기의 보행훈련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음원을 향해서 직진보행을 할 수 있다.
② 어떤 장소에서도 안내자에 의한 보행에서 자신의 힘으로 보행할 수 있다.
③ 바란 자세로 보행할 수 있다.
④ 익숙한 장소에서는 혼자 보행하여 목적지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⑤ 목적지에 필요한 보행과 환경에 상응한 보행을 할 수 있다.
⑥ 익숙한 장소에서는 친구와 신체적인 놀이를 할 수 있다.
⑦ 보행한 경험을 말로 전달할 수 있다.
4) 놀이훈련
시각장애아는 외계의 사물과 관련된 개념형성이 불완전하다. 잘못 외계에 대한 흥미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치료교육의 효율성은 놀이를 통한 개선이 효과적이다.
놀이의 질과 양을 높이기 위해
제 1단계
물체를 손바닥으로 때린다.
물건을 손바닥 전체로 쥔다.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쥔다.
손바닥으로 물체의 표면을 쓰다듬는다.
물건을 들어올린다.
제 2단계
2개 또는 3개의 적목탑을 만든다.
두 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다.
이 손에서 저 손으로 물건을 바꿔 쥔다.
무엇인가를 갈겨 쓴다.
점토를 손으로 이긴다.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제 3단계
손가락을 하나씩 굽혔다 폈다를 한다.
작은 물건을 집는다.
엄지 또는 검지로 벨을 세게 누른다.
끈을 움켜잡고 잡아당긴다.
손목을 움직여 문의 손잡이를 돌린다.
간단한 적목을 쌓아올린다.
막대로 물건을 잡거나 때린다.
단추나 호크 등을 빼낸다.
제 4단계
손끝으로 물건을 정확히 본 뜬다.
손가락으로 ○ △ □ 등을 그린다.
가위를 사용한다.
풀칠을 한다.
종이를 둘로 접는다.
가는 모래를 가지고 논다.
블럭으로 여러가지 모양을 만든다.
두 손으로 피아노를 친다.
여러가지 손 장난을 한다.
끈으로 매듭을 짓는다.
제 5단계
단추, 호크 등을 끼운다.
점토 세공을 한다.
테이프로 물건을 고정시킨다.
칼, 톱, 작은 삽 등의 연장을 쓸 줄 안다.
간단한 종이 접기를 한다.
가는 모래로 여러가지 모양을 만든다.
손의 일반적 기능(손을 벌린다, 쥔다, 만진다, 누른다, 밀어낸다, 쓰다듬는다, 편다 등)을 완성한다.
(3) 촉각 훈련
시각장애아의 정확한 촉각 인지를 위해서는 상체 및 손가락의 운동조절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언어적 지시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촉각변별력의 개발은 언어발달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며 읽기학습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를 이루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아에게 주위의 물체에 대한 경험을 풍부히 해주기 위해서는 여러 물체를 자주 접촉하게 하여 물체의 질감, 크기, 모양, 위치 등에 대해 변별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모든 사물들의 세밀한 부분들까지 촉각으로 느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촉각변별력 지도의 내용>
영 역
지 도 내 용
질 감
거친 것과 부드러운 것, 딱딱한 것과 물렁물렁한 것, 찬 것과 뜨거운 것의 차이, 잔디밭이나 시멘트, 브로크나 자갈, 카페트나 타일, 모래나 흙 등의 축감 차이, 바닥이나 면, 털, 화학섬유 천의 촉감차이
크 기
무게 비교, 모양비교(원, 사각형 등), 넓이와 길이 대조, 물체의 크기관계(이것이 저것보다 크다)
관 계
물체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인식(비온 뒤, 비 오기 전, 건조한 기온)
기 온
사물의 조사 및 확인(필수품 다루기, 모형을 통한 실젭모양 인지)
기초활동
단추 잠그기, 구슬꿰기, 착탈의, 수저사용, 세수, 가위질, 공굴리기, 옷걸리, 저울질하기, 고무줄 늘리기
2) 언어 훈련
시각장애아는 어려서부터 주변에 산재해 있는 여러 가지 소리들을 들었을 때 어떤 생황에서 그런 소리가 생겨날 수 있는지에 대해 소리와 상황을 연결시켜서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상실된다. 예를들어 소리와 상황사이의 연결되어야 할 개념 형성이 되지 않아 긴장하지 않을 소리에도 긴장하거나 긴급히 피해야 하는 소리에도 태연하게 대응을 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그러므로 청각변별력 훈련과 언어훈련은 항상 병행시켜서 개념형성과 어휘력 확대에 대한 훈련을 해야한다. 또한 구체적인 경험없이 추상적인 언어가 많으나 개념이 형성되지 않아 어휘는 어휘대로 입으로만 말은 하되 구체적인 경험 결핍에 의해 나타나는 언어주의(verbalism)를 치료교육 해야한다. 이는 언어발달 과정 중에 정상아가 경험하는 것처럼 시각적 경험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청각변별력 촉진 놀이>
구 분
놀 이
내 용
자연음
주변의 소리듣기
아동의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모든 소리에 귀기울이고, 같이 이야기 나누고 그 소리가 나는 사물, 상황, 사람에 대한 차이를 인식한다.
음악 듣기
세계 여러 나라의 고전 음악, 동요, 대중가요 등 항상 음악과 같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효과음 듣기
자동차 소리, 동물울음 소리, 시냇물 소리 등 각종 효과음을 들려주면서 그 음이 나는 사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같이 이야기 한다.
소리깡통 놀이
외형이 똑같은 작은 깡통에 흙, 모래, 쌀, 콩, 돌 등을 넣어 같은 소리가 나는 깡통들을 한 쌍씩 만들어 짝짓는다.
말소리
귓속말 속삭이기
처음 사람이 옆사람에게 남이 들을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소리로 귓속말을 한다. 이렇게 하여 맨 마지막의 사람은 커다란 소리로 들은 이야기를 말하여 처음의 말과 어디가 달라졌는지 이야기한다.
뒷말 잇기
처음 사람이 한 낱말을 말하면 그 다음 사람은 그 전 사람이 말한 낱말의 마지막 글자를 처음 글자로 사용해서 만어를 만든다.
예를들면 사과 - 과수원 - 원숭이
문장 만들기
처음 사람이 하나의 문장을 만들면 다음 사람은 그 문장에 대한 다른 한개의 문장을 붙혀서 긴 문장을 만든다.
예를들면 나는 예쁘다 - 나는 예쁘지만 고집쟁이 이고 춤도 잘 춘다…
지시대로 향동하기
아동 자신이 몸을 움직여서 해 넬 수 있는 지시를 함으로 해서 아동이 자신과 주변에 널려있는 모든 사물과 연결시킬 수 있는 행동을 하게 한다.
동화듣기
간단한 동화를 들려주고 같이 이야기를 나눈다.
녹음하기
자신이 말하는 것을 녹음했다가 다시 들어본다.
3) 보행훈련
심한 약시나 맹 유아는 시각적인 모방의 결핍으로 무릅을 구부린채 걷거나, 머리를 숙이고 걷거나, 머리와 손을 흔들면서 걷는 맹유아는 바른 자세를 확립해야 한다.
유아기의 보행훈련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음원을 향해서 직진보행을 할 수 있다.
② 어떤 장소에서도 안내자에 의한 보행에서 자신의 힘으로 보행할 수 있다.
③ 바란 자세로 보행할 수 있다.
④ 익숙한 장소에서는 혼자 보행하여 목적지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⑤ 목적지에 필요한 보행과 환경에 상응한 보행을 할 수 있다.
⑥ 익숙한 장소에서는 친구와 신체적인 놀이를 할 수 있다.
⑦ 보행한 경험을 말로 전달할 수 있다.
4) 놀이훈련
시각장애아는 외계의 사물과 관련된 개념형성이 불완전하다. 잘못 외계에 대한 흥미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치료교육의 효율성은 놀이를 통한 개선이 효과적이다.
놀이의 질과 양을 높이기 위해
추천자료
장애인 교육불평등
유아의 지각. 의사소통 및 학습의 원리에 관한 고찰
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논하시오
반편견교육
≪장애아 통합프로그램≫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의의,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가정과 목적,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가정지도...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의와 발달,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필요성, 특수교육(장애인교육)...
영어공용화
유아 언어발달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적 배경과 언어발달의 교사의 역할을 논하시오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장애아동의 개념과 복지지원서비스 및 복지지원서비스의 문제점과 과제(장애아동의 개념, 장...
교육학)기능주의와 갈등주의의 - 사회 계층화 현상, 경제민주화와 교육에 대한 관점비교
아동영양학)아동영양교육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교사의 구체적인 지도방법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