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가사와 창가의 비교 및 공통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화가사와 창가의 비교 및 공통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화가사의 역사적 전개 (발전-변모-쇠퇴)
2. 창가의 역사적 전개 (발전-변모-쇠퇴)
3. 형식 (개화가사↔창가)
4. 주제 (개화가사↔창가)
5. 사상 (개화가사↔창가)
6. 작가 (개화가사↔창가)

본문내용

개화가사와 창가의 同異點
- 목 차 -
1. 개화가사의 역사적 전개 (발전-변모-쇠퇴)
2. 창가의 역사적 전개 (발전-변모-쇠퇴)
3. 형식 (개화가사↔창가)
4. 주제 (개화가사↔창가)
5. 사상 (개화가사↔창가)
6. 작가 (개화가사↔창가)
★개화가사의 역사적 전개(발전-변모-쇠퇴)
개화가사의 등장은 한국 시가의 새로운 차원의 개척을 의미하는 일대 사건이었다. 하지만 개화가사의 탄생은 의식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그것도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난 것이었기 때문에 출발 당초에는 개화가사에 대한 인식이 아주 결여되어 있었다.
우선, 개화가사의 형성은 1860년대 최제우가 지은 <용담유사>와 신재효의 ‘괘씸한 서양 되놈’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개화가사는 1860년대에 들어와서 성숙하게 되는데, 이때에 많은 애국가사가 지어졌다. 이들 가사들은 주로 서재필, 윤치호가 발행한 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에 발표되었다. 이 가사들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새로운 형식을 취했지만 그 기반에는 전통적 양식인 4.4조 중심을 유지하였고, 짧은 2행련의 대구형식, 그리고 가창에 알맞도록 합가와 후렴구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내용적인 면에서는 새 사회와 새 질서 체제를 건설하고자 하는 의욕인 개화사상, 자주독립사상, 애국사상, 주체 수호 사상을 담고 있었다. 韓國近代詩史 (上). 국학자료원. 1986. 51쪽
잠을 세, 잠을 세, 쳔년이 쇽이라
만국이 회동야 가 일가로다
구구세졀 다리고 샹하동심 동덕셰
으부강 불어고 근본업시 회빈랴
범을보고 개그리고 봉을보고 그릴가
문명화(開化) 랴면 실샹일이 뎨일이라
못셰고기 불어말고 그믈 잡아보셰
그믈기 어려우랴 동심결로 보셰
-리O원, [동심가],1896 전문
이중원의 동심가는 우리의 전통양식과 아주 흡사하게 4.4조의 자수율이 기조가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문맥 역시 구태의연하다. 하지만 그 의식과 내용에는 진보에 대한 열망이라든가 새 시대에 대한 인식의 자취를 담고 있는 등 얼마간의 새로운 면을 가지고 있다. [현대문학사] 1. 현대 시 문학사 논문
아셰아에 대죠선이 쥬 독립 분명다.
<합가> 야에야 국셰 나라 위 죽어 보세.
분골고 쇄신토록 츙군고 애국세.
<합가> 우리 졍부 놉혀 주고 우리 군면 도와 주세.
깁흔 잠을 어셔 여 부국 강병(富國强兵) 진보세.
<합가> 의 쳔 밧게 되니 후회 막급 업시세.
합심고 일심되야 셔셰 동졈(西勢東漸) 막아 보세.
<합가> 롱공샹(士農工商) 진략야 사마다 유세.
남녀 업시 입학야 세계 학식 화 보자.
<합가> 교휵야 화되고, 화야 사되네.
팔괘 국긔(八卦國旗) 놉히 달아 륙쥬에 횡하세.
<합가> 산이 놉고 물이 깁게 우리 음 셰세.
-이필균의 ‘애국하는 노래’ ,독립신문(1896)
이필균의 ‘애국하는 노래’는 독립신문에 발표된 개화기 애국 가사 가운데 하나인데, 4.4조의 기본 율격을 유지하면서, 일종의 후렴구라고 할 수 있는 합가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화사상과 부국강병, 애국사상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개화기의 시대정신을 깊이 있게 드러내고 있다. 김혜니 著. 한국근대시문학사 연구. 국학자료원. 1987. 23쪽
무엇보다도 독립신문에 실린 개화가사 대부분이 순 한글로 표기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이전 시대에 우리가 오랫동안 우리말과 글을 천시하고 돌보지 않은 것과는 반대로 이 시기에야 비로소 우리말과 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이러한 국어국자에 대한 관심이 민족의식을 고양시키는데 도움을 줬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이유로 애국가사의 성격이 개화를 추구하는 한편, 민족적 의식과 민족정서를 띠었다.
또한 독립신문에 실린 개화가사의 작자가 여러 계층에 걸쳐 있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었다. 즉, 별도로 전문적인 제작자에 의해 씌어 진 것이 아니라 다소간의 문장 구사 능력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어서 자유롭게 투고할 수 있었다.
대조션 쥬독립 ㅣ국 노ㅣ.......학부쥬, 리필균(15)
국가.......인쳔 졔물포, 뎐경ㅣ(19)
국가.......북셔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9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