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과 아동 청소년자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울증과 아동 청소년자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우울 스펙트럼 장애
1. 정의와 특징
2. 발달차원
3. 합병
4. 발달경로
5. 우울증의 원인

본문내용

의 평균 발생연령이 15세이고 우울증은 13-15세 사이에 급격히 상승하고 17세와 19세에 가장 정점에 이르며 그 뒤에는 성인수준으로 감소된다.
청소년기에 우울증이 증가되는 원인은 정서발달, 인지발달요인의 활성화에 있다. 정서적으로 청소년은 강한 슬픔을 경험할 수 있고 인지적으로 일반화에 의한 사고를 할 수 있고 미래로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을 의식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무력한 것이나 무능한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발달맥락에서 청소년은 가족안에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서 새로운 지위를 발달시켜야 하는 과업에 직면해 있고 가족에 대한 친밀감 감소와 성숙한 사랑의 원천은 아직 발견치 못한데서 오는 이행적 우울상태라고 할 수 있다.
(2) 성과 청소년 우울증
청소년기 이전에는 우울증에서의 성차가 작고 신뢰롭게 발견되지 않는 반면 12세경에는 소녀들, 특히 임상적으로 의뢰되어진 소녀들에서 우울증의 유병률과 심한 정도가 모두 증가 한다. 16세 무렵의 소녀들은 우울증으로 진단받을 가능성이 소년들의 2배가 된다. 그 원인에 대한 연구들에서 여성과 남성은 우울증의 심리적 예측요인들이 서로 다르다고 제안하기도 하고 Block 과 Gjerde(1990; Block & Gjerde, 1991)의 연구에서는 18세 청소년에서 우울증이 되도록 이끄는 증상에서 성차를 발견하였다. 이후 우울해질 가능성이 높은 14세의 소녀들은 내면화와 관련된 상처입기 쉽고 불안하며 걱정이 많고 신체증상이 있고 자신들이 적절한지를 걱정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들의 경우 외현화와 관련, 적대적, 공격적, 반사회적, 자기중심적 이며 사람을 속이고 믿지 않는 특성을 보인다.
Gjerde(1995)는 후속연구에서 동일 피험자들을 25세까지 추적연구 했는데 남성에서의 성인 우울증은 유아기의 낮게 통제된, 공격행동의 등급으로부터 예언되었고 여성의 경우 과잉통제된 내성적인 자기-관심을 포함했다.
☞ 소녀들이 자신들의 몸에 불만족스러워 하며 그들이 겪어 나가고 있는 변화를 싫어하는 경향이 더 많고 소녀들은 다른 사람의 의견에 더 많이 동조하고 더 민감하기 때문에 또래 압력과 성적 관심의 증가와 같은 청소년기와 관련된 일부 스트레스 요인들에 더 반응적일 수 있다.
3. 합병
우울한 아동 청소년들의 40-70%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애를 함께 가진다. 불안과 우울의 증상들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우울한 아동의 60-70%가 불안장애가 함께 나타난다. 불안증상들은 전형적으로 우울증상보다 앞서 발생하고 이 두 형태의 내면화 장애 사이의 발달적 관계를 말해준다(Kovacs & Peeke, 1997).
우울과 공격성도 아동기 우울증, 특히 소년의 아동기 우울증에서 뚜렷한 역할을 한다. 우울한 소년의 ⅓은 품행장애도 가지며 방화, 싸움 ,절도와 같은 공격적인 반사회적 행동을 한다. 차폐 우울증(masked depression)의 아이디어에 적합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나쁜 행실들은 우을증의 증상들에 부가되며 합병의 패턴도 연령에 따라 변화된다. 우울한 유아들은 분리불안을 보이기 쉽고 우울한 학령기 아동들은 품행장애를 가질 수 있다. 청소년의 경우 물질남용이나 섭식장애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Hammen & Rudolph, 1996)
<표3> 연령이 다른 아동에게 나타나는 기분장애와 우울 및 관련된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동 증상들 불쾌한 기분,흥미의 상실,성마름
가능한 행동증상들
0-36개월
슬픔이나 표정없는 얼굴 외모
혐오감으로 쳐다봄
표정없는 응시
냉담한, 무관심한 감정(bland affect)
성마름
1. 신체화 장애(성장실패,되삭임)
2. 사회적 놀이 책임성 부족
3. 지속적인 성마름 또는 무기력
4. 분리와 애착문제,분리에 대한 무능력,분리에 대한 반응 없음
5. 행동곤란
6. 발달지연(언어,대근육)
7. 급식의 곤란
8. 수면의 곤란
3-5세
슬픈얼굴표정
애처로운 눈
성마름
침울하거나 불안정한 감정
1. 신체화장애 (유분증, 유뇨증,천식, 성장실패, 위통)
2. 사회적 철회
3. 과도한 활동이나 무기력
4. 학교거부를 포함한 분리문제
5. 공격적인 행동이나 수동적인 불평행동
6. 자신을 위험하게 하는 행동(사고 일으키기, 머리찧기)이나 병적인 행동
7. 급식곤란
8. 수면곤란
6-8세
불행감의 연장
성마름
침울한 감정
1. 신체화(애매한 불평,복통)
2. 감소된 사회화
3. 과도한 활동성 또는 무기력
4. 공포증적인 행동, 분리문제
5. 공격적인 행동이나 거짓말,훔치기
6. 자신을 위험하게 하는 행동이나 병적인 집착
7. 식욕이나 몸무게 변화
8. 수면곤란
9. 학교곤란
9-12세
슬픔
무관심
무기력 또는 성마름
일상활동에서의 즐거움 상실
1. 신체화증상
2. 침착하지 못함
3. 공포증적인 행동과 분리문제
4. 반사회적 행동
5. 자신을 위험하게 하는 행동이나 병적인 사고
6. 식욕이나 체중변화
7. 수면곤란
8. 집중력의 감소
9. 과도한 죄책감,자기비하
10.낮은 자아존중감
13-18세
슬픔
무관심,무기력 또는 성마름
일상생활에서의 즐거움 상실
1. 신체화증상
2. 참지 못함이나 무력감
3. 공포증 행동,불안,분리문제
4. 반사회적 행동
5.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주기적인 생각
6. 식욕이나 체중변화
7. 수면곤란
8. 집중력의 감소
9. 과도한 죄책감, 자기비하
10낮은 자아존중감, 자아인식
4. 발달경로
최근에는 우울의 연속성에 관한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학령기 초기에 받은 아동기 우울증의 등급(rating)이 3년 후 (Ialongo et al.,1993) 그리고 심지어 6년후(Achenbach et al., 1995a)의 우울 증상들을 예언한다.
Kovacs와 동료들(1994)은 우울증으로 진단된 한 집단의 아동들을 그들이 후기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가 될 때까지 수년마다 평가하며 추적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아동들이 그들의 초기 우울증 일화로부터 회복 되었다. 적응장애가 회복에 가장 짧은 시간이 걸린데 비해 감정부전으로부터의 회복이 가장 오래 걸렸다.
(회복 가능성:주요 우울증 일화 > 우울한 기분을 수반한 적응장애 > 감정부전)
단 회복률이 높은 반면 재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4.11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9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