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애 <적빈>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신애 <적빈>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赤貧>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Ⅲ. 〈赤貧〉은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Ⅳ. 〈赤貧〉의 ‘가치’는 어떠한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 <狂人手記>, <糊塗>와 여성문제를 다룬 <나의 어머니>, <落伍>, <아름다운 노을>의 작품이 있다. 궁핍한 현실과 하층민의 삶을 다룬 작품으로는 <꺼래이>, <赤貧>, <멀리 간 동무>, <顎富者>, <糊塗>, <어느 田園의 風景>이 있다. 그리고 <學事>, <鄭賢洙>, <一女人>에서는 30년대 지식인의 삶과 고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상을 정리해보면 백신애는 당시 여성문제와 빈궁문제 그리고 지식인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작품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여성 문제를 다루면서 조혼문제, 강제결혼, 봉건적 남편으로부터 학대받는 아내 등 현실제도의 모순을 고발, 비판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신념과 확신을 가지고 열린 세계를 향해 도전하고자하는 여성들을 통해 여성해방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빈궁문제에 있어서는 식민지시대 일제의 극빈한 수탈로 인해 극단적인 빈궁에 허덕이는 하층민의 삶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식인을 통해 세태를 풍자한 소설에서는 당시 역사적으로 요청되었던 민중적 현실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다고는 하지만 당시 사회의 부조리한 면을 풍자하고 있다.
〈赤貧〉은 당시 심각한 문제였던 궁핍 현상을 작품화했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하층민들의 생존 문제를 사회문제로 대두시키지 못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지독한 가난 속에서도 새로운 생명의 탄생으로 인해 갖게 되는 희망적 미래를 제시한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백신애의 소설 중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가장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여성소설연구회,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p.224
이제까지 우리는 남성 중심의 문학에서 여성 문학의 위치를 확립한 문학적 페미니즘을 이룩하는데 공헌한 백신애의 〈赤貧〉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 프로작가들이 빈궁을 계급적 대립과 살인방화광란의 관념적 도식으로 해결하려 하였던 것에 비해서 한층 새로운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사회의 부정적인 궁핍을 부각하면서 인간의 긍정적인 모성애를 보여주는, 궁핍에 희생되는 여성의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수여자로 남기를 원하는 늙은 어머니의 끈끈한 생의 의지가 그려진 작품으로 매촌댁 가족의 삶의 모습을 통해 식민지 하층민의 존재양식, 즉 빈궁의 양상을 여성문제와 함께 다루고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Ⅴ. 참고문헌
정일진, 『백신애소설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1988
정한숙, 『소설 기술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80
박종홍 편, 『현대소설선집』,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01
민현기 편, 『한국단편소설선집』, 계명대학교출판부, 1988
김정자, 『韓國女性小說硏究』, 民知社, 1991
김미현,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크리스틴 부르크-로즈, 『기호학적 대상으로서 여성』, 김열규 외(편역), 1998
오상인, 1930년대 한국여류소설연구, 《박화성, 백신애, 강경애 작품에 나타난 빈궁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논문, 1989
한국여성소설연구회,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7.0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6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