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3. 참고자료
2. 간호과정
3.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다.
5. 치료
1) 비 수술적 치료
- 침상안정(절대안정), 수액요법, Mechanca methods (Bakelite ring, Smith-Hodge
pessary, Baylor ballon), 자궁근육 이완법 (progesterone, 17-hydroxyprogesterone
caproate 등을 사용)
2) 수술적 치료
(1) 수술전 금기증 : 출혈, 자궁수축, 태막파열
(2) 수술 전 평가 : 수술은 임신 14주 이후에 실시(25주 이후에는 거의 시행하지 않는다)
①초음파 : 생존아 확인 및 선천성기형 확인
②자궁경부감염 치료 : 임질, 클라미디어, 연쇄상구균(GBS)
③수술전 일주일 수술후 일주일 성교금지
(3) 치료방법 : 임신 제 14~16주 중에 자궁경관 내구 주위를 원주봉합으로 묶어주는
자궁경부 원주봉합술을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의
수술식이 있다.
① 질식 경관 봉합술
- 맥도날드(McDonald) 봉합술 : 자궁경부 점막 위에서 band 나 비흡수 봉합사
(mersilene)로 시계방향으로 12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서 4번 물어서 원주봉합을
만들기 때문에 봉합사가 외부로 노출된다.
- 쉬로드카(Shirodkar) 봉합술 : 자궁경부 점막 밑으로 원주봉합을 만들어 봉합사가
밖으로 나타나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봉합사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염증이 잘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쉬로드카술(Shirodkar)
맥도날드술(McDonald)
목적
경관의 이완과 개대를 예방하기 위해 경관주위를 묶는다.
수술 조건
· 태아와 임부의 내분비계 정상. 양막 파열 전.
· 경관 3cm 이내로 개대, 50% 이하 소실.
수술 후 주의점
· 난막파열. 자궁수축 임신 4개월 내에 임의 선택.
교정시기
임신 14주경
임신 4개월 내
봉합사 위치
질내로 노출되지 않는다.
질내로 노출된다.
봉합사 제거시기
· 임신 38주 이후. 난막 파열 시.
· 다음 임신을 위해 제거하지 않고 제왕절개 가능
· 임신 38주 이후
· 만삭이 가까우면 결찰된 실을 풀어줌으로써 자연 분만 가능
②복식 수술 방법
- 복식 원형 결찰술
· 적응증 : 질식 자궁 경부 원형결찰술이 실패한 경우, 자궁 경부가 파손이나 열상으로 지나치게 짧은 경우, 질식 결찰술이 불가능한 경우 등.
· 단점 : 수술 할 때 개복을 해야 되고, 분만할 때 반드시 제왕절개술을 해야 한다.
· 특징 : 다음에 또 임신 원하는 경우 제왕 자궁 절개술만 시행하고 실은 그대로 둘 수 있음.
(4) 성공률 : 수술하지 않았을 때 30~40%는 재발하는데 재발경험이 있는 산모에서는 다음 임신에서 그냥 두면 재발률이 약 60%로 높아진다. 수술을 하면 만삭까지 임신을 유지하는 비율이 80%로 높아지고 또한 수술로 인한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으므로 수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 조산이 양막파열이 아니면서 자궁경부에 이상이 없고 증상이 생기기 전에 수술하면 성공률이 90%로 높다.
(5) 수술 후 : 12~24시간 동안 절대적 안정. 부부관계는 최소한 24~28주까지는 삼가. 무거운 짐을 들거나 무리한 움직임을 삼가. 임신 36주 이후에 외래에서 간단하게 실을 제거. 조기진통, 양막파수 등이 있으면 응급으로 실을 풀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6) 수술 후 합병증 : 조산, 유산, 양막파열, 융모양막염, 자궁 내 감염, 경관 기능 부전, 경관 열상, 자궁 파열, 수술 실패, 수술 후 감염, 수술 후 출혈, 방광 손상, 누공 형성.
(7) 봉합사의 제거(임신 38주 이후) : 수술이 실패하여 유산이나 분만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봉합사를 제거해야 하고 봉합시, 또는 수술 48시간 이내 태막이 파열되면 봉합사를 제거해야 한다.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궁수축이 시작되면 자궁 또는 자궁경부가 파열될 수 있다.
6. 간호
1) 사정
대상자의 임신에 대한 느낌과 자궁경관 무력증에 대한 이해도를 사정하고 지지체계를 평가한다. 1~2회 이상 임신 상실 후 자궁경관 무력증 진단을 받으면 임박한 임신 상실에 대해 죄의식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서 상태를 사정하고 대처반응의 적절성을 사정한다.
2) 계획과 수행
자궁경관 무력증 여성의 간호는 환자의 자아개념, 임신상실에 대처하는 능력, 치료에 대한 이해능력 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경관 무력증 교정술을 한 이후에 양막 파열, 자궁수축, 태아심음을 관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침상 안정을 하고 수축이 사라지거나 감염징후가 없어질 때까지 임부는 병원에 머물면서 계속 모니터를 받는다.
가정에 돌아가서도 계속적인 추후관리를 위해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퇴원교육은 조산, 조기파막,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초점을 둔다.)
3) 주의사항
① 마음을 편안하게, 불안해하지 않음.
② 대변과 소변은 규칙적 : 반드시 매일 보는 습관 가짐. 변비를 예방하거나 변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야채류, 과일류 및 물을 많이 섭취. 심할 경우에는 대변완하제. 태아가 성장하면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이 자주 마려움. 무리하게 참으면 방광염이 될 우려. 임신 후반기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배뇨통을 동반하지 않는 한 생리적인 현상.
③ 힘이 들어가는 동작이나 진동을 피함 : 배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이나 자극을 피하고 무거운 짐을 들지 않음.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을 땐 무릎 구부리고 앉는 자세.
④ 복대 사용 : 아랫배 늘어지는 것(5개월 후)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고 태위를 바르게 하기 위해선 복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부종 등 질병 있으면 복대사용 금기. 몸이 지나치게 차가운 상태가 되면 자궁 수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조산의 원인이 됨. 양말은 항상 신고, 배와 무릎에 얇은 모포를 두르면 체온손실을 막아주고 혈액순환을 좋게 함.
⑥ 안정된 마음, 충분한 휴식 :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 마음속의 걱정은 언제라도 이야기로 해결하여 마음속에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뜻밖의 사고나 트러블, 소음 등도 조산을 초래하므로 수면 부족, 과로를 피하고 안정을 취함.
⑦ 배를 자극, 긴장, 부
5. 치료
1) 비 수술적 치료
- 침상안정(절대안정), 수액요법, Mechanca methods (Bakelite ring, Smith-Hodge
pessary, Baylor ballon), 자궁근육 이완법 (progesterone, 17-hydroxyprogesterone
caproate 등을 사용)
2) 수술적 치료
(1) 수술전 금기증 : 출혈, 자궁수축, 태막파열
(2) 수술 전 평가 : 수술은 임신 14주 이후에 실시(25주 이후에는 거의 시행하지 않는다)
①초음파 : 생존아 확인 및 선천성기형 확인
②자궁경부감염 치료 : 임질, 클라미디어, 연쇄상구균(GBS)
③수술전 일주일 수술후 일주일 성교금지
(3) 치료방법 : 임신 제 14~16주 중에 자궁경관 내구 주위를 원주봉합으로 묶어주는
자궁경부 원주봉합술을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의
수술식이 있다.
① 질식 경관 봉합술
- 맥도날드(McDonald) 봉합술 : 자궁경부 점막 위에서 band 나 비흡수 봉합사
(mersilene)로 시계방향으로 12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서 4번 물어서 원주봉합을
만들기 때문에 봉합사가 외부로 노출된다.
- 쉬로드카(Shirodkar) 봉합술 : 자궁경부 점막 밑으로 원주봉합을 만들어 봉합사가
밖으로 나타나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봉합사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염증이 잘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쉬로드카술(Shirodkar)
맥도날드술(McDonald)
목적
경관의 이완과 개대를 예방하기 위해 경관주위를 묶는다.
수술 조건
· 태아와 임부의 내분비계 정상. 양막 파열 전.
· 경관 3cm 이내로 개대, 50% 이하 소실.
수술 후 주의점
· 난막파열. 자궁수축 임신 4개월 내에 임의 선택.
교정시기
임신 14주경
임신 4개월 내
봉합사 위치
질내로 노출되지 않는다.
질내로 노출된다.
봉합사 제거시기
· 임신 38주 이후. 난막 파열 시.
· 다음 임신을 위해 제거하지 않고 제왕절개 가능
· 임신 38주 이후
· 만삭이 가까우면 결찰된 실을 풀어줌으로써 자연 분만 가능
②복식 수술 방법
- 복식 원형 결찰술
· 적응증 : 질식 자궁 경부 원형결찰술이 실패한 경우, 자궁 경부가 파손이나 열상으로 지나치게 짧은 경우, 질식 결찰술이 불가능한 경우 등.
· 단점 : 수술 할 때 개복을 해야 되고, 분만할 때 반드시 제왕절개술을 해야 한다.
· 특징 : 다음에 또 임신 원하는 경우 제왕 자궁 절개술만 시행하고 실은 그대로 둘 수 있음.
(4) 성공률 : 수술하지 않았을 때 30~40%는 재발하는데 재발경험이 있는 산모에서는 다음 임신에서 그냥 두면 재발률이 약 60%로 높아진다. 수술을 하면 만삭까지 임신을 유지하는 비율이 80%로 높아지고 또한 수술로 인한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으므로 수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 조산이 양막파열이 아니면서 자궁경부에 이상이 없고 증상이 생기기 전에 수술하면 성공률이 90%로 높다.
(5) 수술 후 : 12~24시간 동안 절대적 안정. 부부관계는 최소한 24~28주까지는 삼가. 무거운 짐을 들거나 무리한 움직임을 삼가. 임신 36주 이후에 외래에서 간단하게 실을 제거. 조기진통, 양막파수 등이 있으면 응급으로 실을 풀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6) 수술 후 합병증 : 조산, 유산, 양막파열, 융모양막염, 자궁 내 감염, 경관 기능 부전, 경관 열상, 자궁 파열, 수술 실패, 수술 후 감염, 수술 후 출혈, 방광 손상, 누공 형성.
(7) 봉합사의 제거(임신 38주 이후) : 수술이 실패하여 유산이나 분만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봉합사를 제거해야 하고 봉합시, 또는 수술 48시간 이내 태막이 파열되면 봉합사를 제거해야 한다. 봉합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궁수축이 시작되면 자궁 또는 자궁경부가 파열될 수 있다.
6. 간호
1) 사정
대상자의 임신에 대한 느낌과 자궁경관 무력증에 대한 이해도를 사정하고 지지체계를 평가한다. 1~2회 이상 임신 상실 후 자궁경관 무력증 진단을 받으면 임박한 임신 상실에 대해 죄의식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서 상태를 사정하고 대처반응의 적절성을 사정한다.
2) 계획과 수행
자궁경관 무력증 여성의 간호는 환자의 자아개념, 임신상실에 대처하는 능력, 치료에 대한 이해능력 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경관 무력증 교정술을 한 이후에 양막 파열, 자궁수축, 태아심음을 관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침상 안정을 하고 수축이 사라지거나 감염징후가 없어질 때까지 임부는 병원에 머물면서 계속 모니터를 받는다.
가정에 돌아가서도 계속적인 추후관리를 위해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퇴원교육은 조산, 조기파막,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초점을 둔다.)
3) 주의사항
① 마음을 편안하게, 불안해하지 않음.
② 대변과 소변은 규칙적 : 반드시 매일 보는 습관 가짐. 변비를 예방하거나 변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야채류, 과일류 및 물을 많이 섭취. 심할 경우에는 대변완하제. 태아가 성장하면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이 자주 마려움. 무리하게 참으면 방광염이 될 우려. 임신 후반기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배뇨통을 동반하지 않는 한 생리적인 현상.
③ 힘이 들어가는 동작이나 진동을 피함 : 배에 힘이 들어가는 동작이나 자극을 피하고 무거운 짐을 들지 않음.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을 땐 무릎 구부리고 앉는 자세.
④ 복대 사용 : 아랫배 늘어지는 것(5개월 후)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고 태위를 바르게 하기 위해선 복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부종 등 질병 있으면 복대사용 금기. 몸이 지나치게 차가운 상태가 되면 자궁 수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조산의 원인이 됨. 양말은 항상 신고, 배와 무릎에 얇은 모포를 두르면 체온손실을 막아주고 혈액순환을 좋게 함.
⑥ 안정된 마음, 충분한 휴식 :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 마음속의 걱정은 언제라도 이야기로 해결하여 마음속에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뜻밖의 사고나 트러블, 소음 등도 조산을 초래하므로 수면 부족, 과로를 피하고 안정을 취함.
⑦ 배를 자극, 긴장, 부
키워드
추천자료
제왕절게 환자 케이스 (간호과정)
자궁근종 케이스 모성케이스
모성간호학 조기파막(PROM) case
제왕절개분만(c/sec)에 관한 case study report
모성케이스(자궁근종)
[모성간호학]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분만실 실습) 자연분만(NSVD) case study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모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여성간호학실습] 자궁근종 Laparoscopic myomectomy 근종절제술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사례연구,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자궁절제술 ] case study - 여성간호학 컨퍼런스 간호진단 및 계획, 중재, 평가 등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