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 신경과 병동 선행학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U 신경과 병동 선행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환
 1) Cbr. infarction (뇌경색)
 2) Hemorrhage (뇌출혈)
 3) Moyamoya disease (모야모야병)
 4) AVM (동정맥 기형)
 5) Hydrocephalus (수두증)

2. 검사, 수술명
 1) TCD (뇌혈류검사)
 2) 2D-echo (심장초음파)
 3) 24hr holter (24시간 심전도검사)
 4) MRI (자기공명영상)
 5) TFCA (혈관조영술)
 6) Spinal tapping (요추 천자)
 7) Coil embolization (코일 색전술)
 8) Stent insertion (스텐트 삽입술)
 9) An. clipping (동맥류 결찰술)
 10) EDAS (뇌경질막동맥간접문합술)
 11) GKS (감마나이프)

3. 환자간호
 1) 신경학적 사정
 2) IICP 간호
 3) 욕창예방간호
 4) 출혈예방간호
 5) 기도흡인예방 간호
 6) 수술 전후 간호
 7) 배뇨/배변 관리
 8) 낙상예방 간호

4. 약물
 1) Warfarin
 2) Heparin
 3) Aspirin
 4) Valproate
 5) Diphenylhydantoin
 6) Dopamin
 7) Dexametason
 8) Nimodipine
 9) Mannitol

본문내용

전후의 속도로 점적 주입
정맥내 간헐주사 : 1회 5000-10000단위를 6-8시간마다 정맥주사. 개시 3시간후부터 2-4시간마다 간헐 응고시간을 측정하여 투여전의 2-3배가 되도록 조절
③금기
이 약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Lee White whole 응고시간 또는 APTT등 혈액응고검사결과 응고간격이 적당하지 않는 환자
조절할 수 없는 활동성 출혈환자
헤파린에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환자
④부작용
간장 : GOT, GPT의 상승등이 나타날 수 있다.
과민증 : 가려움, 두드러기, 오한, 발열, 기염, 기관지천식, 유루, 최루 등
혈액 : 드물게 혈소판감소증, 비출혈, 정맥주사후 급성가역성 혈소판혈병
피부 : 원혈탈모증, 백반, 피하 또는 근육주사에 의한 국소통증성 혈종
기타 : 장기투여로 골다공증, 반동과지방혈증, 신장기능억제 등
3) Aspirin
①효능효과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에 의한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 있어서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 및 일과성 허혈 발작 위험감소에 사용
최초 심근경색 후 재경색 예방
다음 경우의 혈전·색전 형성의 억제 : 뇌경색환자, 관상동맥 우회술(CABG) 또는 경피경관 관상동맥 성형술(PTCA)시행 후
허혈성 심장질환의 가족력,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당뇨 같은 복합적 심혈관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혈전증의 예방
②용법용량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비치명적 심근경색 위험감소 : 1일 75~300mg
일과성 허혈 발작의 위험감소 : 1일 30~300mg
최초 심근경색 후 재경색 예방 : 1일 300mg
다음 경우의 혈전ㆍ색전 형성의 억제
- 뇌경색환자 : 1일 1회 100mg, 증상에 따라 300mg까지 증가 가능
- 관상동맥 우회술(CABG) 또는 경피경관 관상동맥 성형술(PTCA)시행 후 1일 1 회 100mg, 증상에 따라 300mg까지 증가 가능. 경피경관 관상동맥 성형술 (PTCA) 시행환자의 초기치료의 경우 통상용량의 수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허혈성 심장질환의 가족력,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비만, 당뇨 같은 복합적 심혈관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혈전증의 예방 : 1일 1회 100mg, 식후복용 권장
③금기
이 약 또는 다른 살리실산제제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소화성궤양 환자
아스피린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에 의한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혈우병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④부작용
쇽 : 쇽 및 아나필락시양 증상(호흡곤란, 전신조홍, 혈관부종,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여 이상이확인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할 것. 이 약은 천식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부종, 두드러기, 비염양증상, 결막염 등의 과민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피부 : 드물게 리엘증후군(중독성표피괴사증), 스티븐스-존슨증후군(피부점막안증후군), 박탈성 피부염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혈액 : 드물게 재생불량성빈혈, 빈혈, 백혈구감소, 혈소판감소, 혈소판기능 저하(출혈시간의 지연)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한다.
소화기계 : 식욕부진, 가슴쓰림, 위통,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장기투여시 위장관에 대한 이상반응 특히 위장출혈, 소화성궤양 및 천공이 나타날 수 있다.
4) Valproate
①효능효과 : 간질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의 예방과 치료
②용법용량 : 성인 및 소아(체중 25㎏이상) 20~30㎎/kg을 1일 1~2회 분할 복용
③금기
이 약, 이 약 성분, 디발프로산염, 발프로미드에 과민증 환자
간 질환 또는 그 병력의 환자, 현재 간 또는 췌장에 심각한 이상이 있는 환자
간 질환 가족력 환자, 이 약 투여중 간기능 장애로 사망한 형제자매가 있는 환자
카바페넴계(베타미프론, 메로페넴, 이미페넴, 실라스타틴, 파니페넴)투여중인 환자
포르피린증 환자, 메플로퀸을 투여중인 환자
④부작용 : 월경 주기의 변화, 복부경련, 식욕감퇴, 설사, 오심, 구토, 체중 증가
5) Diphenylhydantoin
①효능효과 :
간질: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심실성 부정맥)
②용법용량
강직간대발작(대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성발작 :
1)성인: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1회 100mg을 3회/day 경구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300-400mg을 분할투여한다.
2)소아: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 5mg/kg을 2-3회 분할투여하고 유지량으로는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 4-8mg/kg/day을 분할투여한다.
디기탈리스중독으로 인한 부정맥: 성인, 페니토인 및 페니토인나트륨으로서 첫날 1000mg, 둘째날 500mg을 투여하며 유지량으로 100mg/day 을 3-4회 투여한다.
③금기
히단토인계 화합물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중증의 혈액 및 골수장애 환자
방실블록(2, 3도) 환자
심근경색(3개월 이내) 환자
애덤스-스톡스 증후군 환자(주사제에 한함.)
동서맥, 동방블록 환자 (주사제에 한함.)
④부작용
정신신경계 : 불수의운동(이상운동증, 무도병, 고정자세불능증등), 신경병증, 어지 러움, 운동실조증, 정신착란, 구음장애, 불면, 신경과민, 주의력,집중력, 반사운동능력의 저하, 드물게 두통, 권태감(주사제에한함.), 조화불능, 진전,장기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감각말초 다발신경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호흡기계 : 드물게 간질성 폐렴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피부 : 드물게 피부점막안증후군(Stevens-Johnsonsyndrome) 중독성표피괴사증(Lyell syndrome), 전신성홍반성루푸스(SLE)양 증상, 드물게 두드러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과민증 :
  • 가격4,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7.2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