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도시 브랜드의 정의 및 브랜딩 작업의 필요성
2. 서울시 브랜딩 작업의 의의
3. 벤치마킹 도시 분석
4. 서울시의 현재 place auditing
5. 서울의 브랜드 경영 추진 체제
6. 도시 브랜드 제고 시스템 구축
Ⅲ. 결 론
Ⅱ. 본 론
1. 도시 브랜드의 정의 및 브랜딩 작업의 필요성
2. 서울시 브랜딩 작업의 의의
3. 벤치마킹 도시 분석
4. 서울시의 현재 place auditing
5. 서울의 브랜드 경영 추진 체제
6. 도시 브랜드 제고 시스템 구축
Ⅲ. 결 론
본문내용
설정에 따라 구체적인 도시 브랜드 마케팅과 도시 IR 실천 전략을 수립해야 하겠다. 아울러 일관적인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과적인 변화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평가피드백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도시 브랜드간의 사전 목표와 성과 간 차이 분석으로 차기의 도시 브랜드 관리 프로그램을 수정, 발전시켜야 하겠다.
< 서울시 브랜드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
Ⅲ. 결 론
서울시에서는 서울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사업을 펼치고 있다. 공공기관의 브랜드 관리를 일반 기업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기본 개념은 크게 다르지 않다. 기업은 자사 브랜드 가치를 높여 상품 판매를 통한 이윤추구가 목적이라면 서울시는 여러 정책과 사업을 통해 서울의 이미지를 향상시켜 브랜드 자산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언급한 다양한 서울시의 마케팅 사업들은 IMC 전략에 근거하여 세계일류도시 서울을 마케팅하려는 노력이었다.
이러한 서울을 브랜드화하여 세계 일류도시의 이미지로 구축하려는 서울시의 노력은 대외적으로도 평가를 받고 있다. 2003년 12월 헤럴드경제 신문사가 선정한 대한민국 마케팅 “2003 Best Practice"에서 (정치행정 마케팅 분야 대상)을 수상한 것이다. 이 상은 기발한 아이디어와 저돌적인 추진력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력 등 시장을 선도한 기관 및 기업에게 시상하는 것으로 관공서로는 서울이 유일하게 수상하는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Hi Seoul 마케팅 사업은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마케팅 전담부서를 설치하면서부터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각 자치단체에서는 담당부서나 담당자를 지정하여 서울시에 출장을 보내 서울시의 앞선 시책을 벤치마킹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부 단체는 슬로건 제정 등 가시적인 사업도 벌여 나가고 있다.
서울시의 브랜드 관리는 서울시민의 참여가 전제된 서울시의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높여감으로써 시민에게는 서울을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시키고 외국에는 서울이 살기 좋은 세계일류도시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킴으로서 서울의 브랜드 파워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몇몇 긍정적인 사례를 들어보면 2004. 6. 2~6. 8 서울거주 남녀 1,000명에게 실시한 서울시 여론조사 결과 ‘98년 서울시정에 대한 인지도가 38%에 머물렀지만 민선3기 접어든 2003년에는 61.1%로, 2004년에는 70.7%로 대폭 향상되었다. 2003년 서울시가 한국광고학회에 의뢰한 ‘21C 세계일류도시를 향한 통합마케팅전략 연구방안“에 의하면 서울시민 604명에 대한 조사결과 서울시가 지난 2002년 제정한 Hi Seoul 슬로건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지도는 63.6% 였고 Hi Seoul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 연상이 71.8%를 보였는데 이는 1년 남짓한 단기간에 이룬 성과이다.
위의 두 가지 사실로 미루어 보아도 지난 2년 동안 서울시 브랜드 마케팅은 상당부분 효과적이었음이 나타났고, 서울시민의 참여를 전제한 서울시 브랜드 관리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이 아닐 수 없다.
수도이전과 서울 브랜드
이제 세계는 무한 경쟁의 시대로 돌입하고 있다. 국가간의 경쟁도 물론 치열하지만 그 국가를 대표하는 도시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은 수도로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브랜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서울 브랜드, 나아가 대한민국 브랜드 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크다.
마케팅 비용에 대한 브랜드 로열티의 영향력에 대한 퀸타일마케팅(quintile marketing)에 의하면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는 비용보다는 고정고객에 대한 마케팅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는 것이다.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여 이를 다시 세계에 알리는 것보다는 서울이 가지고 있는 기존 브랜드를 재강화 하는 것이 국제적 경쟁에서는 훨씬 경제적일 것이다.
‘세계도시’ 서울과 ‘세계일류도시 서울’이 하나 되는 날
서울은 인구 1,000만의 거대도시로 88올림픽, 2000년 ASEM회의, 2002월드컵 등 메가이벤트를 통해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하였다. 이제 세계 어느 곳의 어느사람도 서울을 모르는 이는 별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서울이 세계 일류도시로서 세계인들의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뉴욕, 파리, 런던, 동경 등과 같은 ‘세계 도시’와 과연 어깨를 당당히 한다고 할 수 있을까?
이제 서울은 양적으로는 세계도시로 성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질적 성장을 도모할 때이다. 서울시도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시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서울의 브랜드 관리 전략도 세계도시 서울과 세계일류도시 서울이 비로소 일치시켜 진정한 의미의 서울의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고 적극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서울시 브랜드 작업의 한계 및 제언
지역의 브랜드는 지역 전체의 이미지와 지역성을 포괄하고 있어야 하며, 지역 고유의 문화 컨텐츠들이 함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도시 브랜드 작업들은 총체적인 지역 브랜드 전략 측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또 Hi Seoul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브랜딩 작업이 '이벤트성'으로 흘러가는 것이라는 비판적 시각으로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세계 유수 도시의 생존전략의 핵심은 이제 '도시 브랜드' 제고에 있다. 이른바 '장소 마케팅'이 일반화된 지금 도시 간에도 브랜드 경쟁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하게 대두된 것이다. 대규모 전시회와 국제회의 등을 통해 경제적 파급이라는 내적 효과와 함께 도시의 이름을 해외에 알리는 외부 효과를 동시에 꾀하는 것이다. '메가 이벤트''와 '도시 브랜드' 효과를 함께 노리는 것이 오늘날 도시 발전전략의 요체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새로운 서울브랜드로 Hi Seoul Festival, 도시마케팅 포럼 등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 및 마케팅 채널을 통해 서울사랑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브랜드 지향 이미지 및 핵심개념을 구체적지속적으로 구현하면서 중소기업 제품 및 문화관광 상품 개발을 촉진하는 브랜드사업 추진 등 홍보마케팅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 서울시 브랜드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
Ⅲ. 결 론
서울시에서는 서울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사업을 펼치고 있다. 공공기관의 브랜드 관리를 일반 기업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기본 개념은 크게 다르지 않다. 기업은 자사 브랜드 가치를 높여 상품 판매를 통한 이윤추구가 목적이라면 서울시는 여러 정책과 사업을 통해 서울의 이미지를 향상시켜 브랜드 자산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언급한 다양한 서울시의 마케팅 사업들은 IMC 전략에 근거하여 세계일류도시 서울을 마케팅하려는 노력이었다.
이러한 서울을 브랜드화하여 세계 일류도시의 이미지로 구축하려는 서울시의 노력은 대외적으로도 평가를 받고 있다. 2003년 12월 헤럴드경제 신문사가 선정한 대한민국 마케팅 “2003 Best Practice"에서 (정치행정 마케팅 분야 대상)을 수상한 것이다. 이 상은 기발한 아이디어와 저돌적인 추진력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력 등 시장을 선도한 기관 및 기업에게 시상하는 것으로 관공서로는 서울이 유일하게 수상하는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Hi Seoul 마케팅 사업은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마케팅 전담부서를 설치하면서부터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각 자치단체에서는 담당부서나 담당자를 지정하여 서울시에 출장을 보내 서울시의 앞선 시책을 벤치마킹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부 단체는 슬로건 제정 등 가시적인 사업도 벌여 나가고 있다.
서울시의 브랜드 관리는 서울시민의 참여가 전제된 서울시의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높여감으로써 시민에게는 서울을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시키고 외국에는 서울이 살기 좋은 세계일류도시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킴으로서 서울의 브랜드 파워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몇몇 긍정적인 사례를 들어보면 2004. 6. 2~6. 8 서울거주 남녀 1,000명에게 실시한 서울시 여론조사 결과 ‘98년 서울시정에 대한 인지도가 38%에 머물렀지만 민선3기 접어든 2003년에는 61.1%로, 2004년에는 70.7%로 대폭 향상되었다. 2003년 서울시가 한국광고학회에 의뢰한 ‘21C 세계일류도시를 향한 통합마케팅전략 연구방안“에 의하면 서울시민 604명에 대한 조사결과 서울시가 지난 2002년 제정한 Hi Seoul 슬로건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지도는 63.6% 였고 Hi Seoul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 연상이 71.8%를 보였는데 이는 1년 남짓한 단기간에 이룬 성과이다.
위의 두 가지 사실로 미루어 보아도 지난 2년 동안 서울시 브랜드 마케팅은 상당부분 효과적이었음이 나타났고, 서울시민의 참여를 전제한 서울시 브랜드 관리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이 아닐 수 없다.
수도이전과 서울 브랜드
이제 세계는 무한 경쟁의 시대로 돌입하고 있다. 국가간의 경쟁도 물론 치열하지만 그 국가를 대표하는 도시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은 수도로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브랜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서울 브랜드, 나아가 대한민국 브랜드 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크다.
마케팅 비용에 대한 브랜드 로열티의 영향력에 대한 퀸타일마케팅(quintile marketing)에 의하면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는 비용보다는 고정고객에 대한 마케팅 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는 것이다.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여 이를 다시 세계에 알리는 것보다는 서울이 가지고 있는 기존 브랜드를 재강화 하는 것이 국제적 경쟁에서는 훨씬 경제적일 것이다.
‘세계도시’ 서울과 ‘세계일류도시 서울’이 하나 되는 날
서울은 인구 1,000만의 거대도시로 88올림픽, 2000년 ASEM회의, 2002월드컵 등 메가이벤트를 통해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하였다. 이제 세계 어느 곳의 어느사람도 서울을 모르는 이는 별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서울이 세계 일류도시로서 세계인들의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뉴욕, 파리, 런던, 동경 등과 같은 ‘세계 도시’와 과연 어깨를 당당히 한다고 할 수 있을까?
이제 서울은 양적으로는 세계도시로 성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질적 성장을 도모할 때이다. 서울시도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시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서울의 브랜드 관리 전략도 세계도시 서울과 세계일류도시 서울이 비로소 일치시켜 진정한 의미의 서울의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고 적극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서울시 브랜드 작업의 한계 및 제언
지역의 브랜드는 지역 전체의 이미지와 지역성을 포괄하고 있어야 하며, 지역 고유의 문화 컨텐츠들이 함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도시 브랜드 작업들은 총체적인 지역 브랜드 전략 측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또 Hi Seoul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브랜딩 작업이 '이벤트성'으로 흘러가는 것이라는 비판적 시각으로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세계 유수 도시의 생존전략의 핵심은 이제 '도시 브랜드' 제고에 있다. 이른바 '장소 마케팅'이 일반화된 지금 도시 간에도 브랜드 경쟁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하게 대두된 것이다. 대규모 전시회와 국제회의 등을 통해 경제적 파급이라는 내적 효과와 함께 도시의 이름을 해외에 알리는 외부 효과를 동시에 꾀하는 것이다. '메가 이벤트''와 '도시 브랜드' 효과를 함께 노리는 것이 오늘날 도시 발전전략의 요체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새로운 서울브랜드로 Hi Seoul Festival, 도시마케팅 포럼 등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 및 마케팅 채널을 통해 서울사랑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브랜드 지향 이미지 및 핵심개념을 구체적지속적으로 구현하면서 중소기업 제품 및 문화관광 상품 개발을 촉진하는 브랜드사업 추진 등 홍보마케팅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반야마을의 그린 투어리즘 도입
- 낙성대 대학촌 관련 현황분석 및 타당성 조사
- 문화정책 -대학로 사례분석
- 환경 판례 분석-새만금판례,도롱뇽판례-환경영향평가
- 새만금 간척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찬반론
- [주거학]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주거빈곤가구의 주거문제에 대한 대책
- 스킨푸드 마케팅 분석보고서(더페이스샵 비교분석)
- 시민운동의 현황과 발전방안
- 7차 초등교육과정에 따른 바른생활과 및 도덕과 예절교육 내용분석 및 재구성
- [항만시설][부족률][리모델링][외국인투자제도][항만시설의 개선방향]항만시설의 정의, 항만...
- 지하철개통과성장
- LID(Low Impact Development) and roadway improvement
- 은퇴한 도시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