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Ⅰ. 산업시대의 개념
Ⅱ. 산업혁명 이전의 상황
Ⅲ. 산업시대 해외도시 개발의 특징 : 식민도시개발
Ⅳ. 영국 제국주의의 경제적 요인
Ⅴ. 결론 및 요약
Ⅰ. 산업시대의 개념
Ⅱ. 산업혁명 이전의 상황
Ⅲ. 산업시대 해외도시 개발의 특징 : 식민도시개발
Ⅳ. 영국 제국주의의 경제적 요인
Ⅴ. 결론 및 요약
본문내용
지와의 관계, 그 중에서도 인도와의 보다 긴밀한 관계의 유지는 영국의 경제발전에 있어서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한다.
-면공업의 사례
19세기 전반은 식민지 무역을 통해 면공업이 더욱 급격하게 발전하는 과정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와 식민지 무역은 영국 면공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난다. 1810년도에 면제품은 수출총액의 55%를 담당하고 있었다는 통계가 있다. 나폴레옹 전쟁(1793-1815)에서 영국은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식민지쟁탈 경쟁국들에 승리함으로써 종전 후인 1820-1830년도 중반까지 면직물의 총 수출액은 영국 총수출액의 무려 60%에 접근할 정도로 비약적 발전을 이룩하였다.
1) 원면, 목화 공급측면
식민지에서 새로운 경작지를 개척하면서 노예제에 의해 운영되어 목화를 재배하는 플랜테이션에서 목화를 수입함으로써 면직물 제조를 위한 공급을 받음 그 규모는 해마다 증가되는 추세를 보임
2) 면직물의 수출측면
인도의 경우 전세기까지만 해도 발전된 면직물 생산기술로 영국에 동인도회사를 통해 면직물을 수출하는 국가였으나 영국의 면공업이 18세기 말 원면의 수입이 늘어나고 해외수요가 증대되어 수출액 비중이 20%를 넘어간 후, 인도의 면직물수출은 영국의 면공업 수출증대에 방해가 되었음 따라서 인도의 면공업은 체계적으로 해체를 당하여 인도는 영국의 면제품 시장화가 되었다
또 1820년대와 1830년대 영국면직물의 수출비중을 살펴보면 유럽의 비중이 줄고 식민지 국가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영국의 산업에 있어서 식민지 무역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Ⅴ. 결론 및 요약
이상에서 산업혁명이 18세기에 발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17세기에는 산업혁명이 발생하기위한 충분한 산업적 자본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17c)는 중상주의 무역정책의 하나인 항해조례와 세계각지의 식민지회사의 설립을 통하여 그것을 준비하는 시기였음을 살펴보았다. 산업 혁명기에 이르러서는 산업혁명의 중심산업이었던 면공업을 분석하여 산업혁명기가 발생하고 지속되어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보았다.
면공업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산업으로 원료는 식민지를 통해 조달해야 했고, 상품판매지로서도 식민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혁명기의 면공업의 발전은 넓은 해외무역 즉, 식민지무역을 통해 발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산업혁명의 발생과 성공요인은 첫째, 기술발전을 위한 170년간의 충분한 자본축적이 식민지무역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둘째로, 산업 혁명기에 이르러서는 향상된 생산력에 부응하는 풍부한 원료의 공급과 상품의 판매시장으로서 식민지가 그 역할을 충분히 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성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은 영국의 식민지 수탈인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진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학위논문, “산업시대 해외식민도시개발 주체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영국 동인도회사, 일본 남만주철도주식회사를 중심으로”
- 권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학위논문, “Study on the Character of English Imperialism after 1870s”
- 이석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1996, "영국의 중상주의 정책과 항해조례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1996, “
- 필리스 딘, 영국의 산업혁명, 나경수 옮김, 민음사, 1987,
- 김순곤 『영국18세기 전반기의 경제변동과 산업혁명과의 연관성』, 건국대학술지, 2006
- 정민희 『산업혁명의 원인에 관한 고찰』, 역사학보고, 1988
-면공업의 사례
19세기 전반은 식민지 무역을 통해 면공업이 더욱 급격하게 발전하는 과정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와 식민지 무역은 영국 면공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난다. 1810년도에 면제품은 수출총액의 55%를 담당하고 있었다는 통계가 있다. 나폴레옹 전쟁(1793-1815)에서 영국은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식민지쟁탈 경쟁국들에 승리함으로써 종전 후인 1820-1830년도 중반까지 면직물의 총 수출액은 영국 총수출액의 무려 60%에 접근할 정도로 비약적 발전을 이룩하였다.
1) 원면, 목화 공급측면
식민지에서 새로운 경작지를 개척하면서 노예제에 의해 운영되어 목화를 재배하는 플랜테이션에서 목화를 수입함으로써 면직물 제조를 위한 공급을 받음 그 규모는 해마다 증가되는 추세를 보임
2) 면직물의 수출측면
인도의 경우 전세기까지만 해도 발전된 면직물 생산기술로 영국에 동인도회사를 통해 면직물을 수출하는 국가였으나 영국의 면공업이 18세기 말 원면의 수입이 늘어나고 해외수요가 증대되어 수출액 비중이 20%를 넘어간 후, 인도의 면직물수출은 영국의 면공업 수출증대에 방해가 되었음 따라서 인도의 면공업은 체계적으로 해체를 당하여 인도는 영국의 면제품 시장화가 되었다
또 1820년대와 1830년대 영국면직물의 수출비중을 살펴보면 유럽의 비중이 줄고 식민지 국가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영국의 산업에 있어서 식민지 무역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Ⅴ. 결론 및 요약
이상에서 산업혁명이 18세기에 발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17세기에는 산업혁명이 발생하기위한 충분한 산업적 자본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17c)는 중상주의 무역정책의 하나인 항해조례와 세계각지의 식민지회사의 설립을 통하여 그것을 준비하는 시기였음을 살펴보았다. 산업 혁명기에 이르러서는 산업혁명의 중심산업이었던 면공업을 분석하여 산업혁명기가 발생하고 지속되어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보았다.
면공업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산업으로 원료는 식민지를 통해 조달해야 했고, 상품판매지로서도 식민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혁명기의 면공업의 발전은 넓은 해외무역 즉, 식민지무역을 통해 발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산업혁명의 발생과 성공요인은 첫째, 기술발전을 위한 170년간의 충분한 자본축적이 식민지무역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둘째로, 산업 혁명기에 이르러서는 향상된 생산력에 부응하는 풍부한 원료의 공급과 상품의 판매시장으로서 식민지가 그 역할을 충분히 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가장 먼저 성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은 영국의 식민지 수탈인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진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학위논문, “산업시대 해외식민도시개발 주체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영국 동인도회사, 일본 남만주철도주식회사를 중심으로”
- 권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학위논문, “Study on the Character of English Imperialism after 1870s”
- 이석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1996, "영국의 중상주의 정책과 항해조례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1996, “
- 필리스 딘, 영국의 산업혁명, 나경수 옮김, 민음사, 1987,
- 김순곤 『영국18세기 전반기의 경제변동과 산업혁명과의 연관성』, 건국대학술지, 2006
- 정민희 『산업혁명의 원인에 관한 고찰』, 역사학보고, 1988
추천자료
일제하의 공산주의 운동 전개와 평가
주요한에 대한 인물조사 및 평가
[신경향파 문학][카프][KAPF][신경향파][카프문학][프로문학]신경향파 문학과 카프(KAPF)에 ...
[민족주의][한국민족주의][민족주의사상]민족주의의 개념, 한국 민족주의, 동학민족주의, 일...
식민지 제국에서 유럽의 주변국으로의 전락한 원인과 영향 그리고 오늘날의 스페인
한용운과 이육사를 대비하여 논함
염상섭 <만세전> 작품론
[화교][화교 역사][화교 분포][화교 국적문제][화교 한국거주][화교 서양에 대한 영향]화교의...
신경향파
황순원 『카인의 후예』연구
황순원 『카인의 후예』연구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의 ‘암흑의 핵심’ -‘공간적 상징’,‘표면과 본질의 이중 구조’를 ...
개발도상국 정권의 분류 (정치체제의 다양성, Weberian, S.E.Finer, Coleman, Diama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