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사하게 된 동기
2. 간판 상호의 실태와 분석
1) 사진을 통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2)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3) 좋은 간판의 사례
3. 생각해 보기
1)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하는 일이 자꾸 일어나는 이유
2)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4. 조사를 끝내며
5.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2. 간판 상호의 실태와 분석
1) 사진을 통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2)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3) 좋은 간판의 사례
3. 생각해 보기
1)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하는 일이 자꾸 일어나는 이유
2)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4. 조사를 끝내며
5.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우리가 자주 접하는
간판들에 관한 숨겨진 이야기
<차례>
1. 조사하게 된 동기
2. 간판 상호의 실태와 분석
1) 사진을 통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2)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3) 좋은 간판의 사례
3. 생각해 보기
1)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하는 일이 자꾸 일어 나는 이유
2)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문 제점과 그 해결방안
4. 조사를 끝내며
5.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1. 조사하게 된 동기
외국어가 국어 속에 들어와서 국어처럼 쓰이는 말을 일반적으로 외래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외국어가 들어와 쓰이고 있는데, 한자도 엄밀히 따지면 외래어라고 해야 하겠지만, 그 수효가 많은 뿐만 아니라 외래어라고 하는 의식이 들지 않으므로 대개는 외래어 범주에서 제외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한자어를 제외한 여러 나라의 말이 국어화 하여 쓰이고 있는 경우를 외래어라 하고, 아직 국어화하지 않고 쓰이는 경우를 외국어라고 정의하기로 했다.
이들 외래어 또는 외국어는 국가간의 문화적 교류나 정치적 접촉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어느 나라에나 다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런 외래어와 외국어의 수용은 외래어와 외국어의 혼동 문제라든지, 외래어의 표기법에 따르지 않은 외래어의 오용 문제 등의 여러 면에서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우리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간판에 나타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외래어 표기법 뿐만 아니라 한글 맞춤법 표기 규범과도 다르게 실현되고 있는 사용 실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요즘 우리말 대신에 외래어로 된 간판이 대부분인데 초등학생들이나 청소년들이 무방비 상태로 틀린 간판들을 받아 들이고 그것을 맞느냥 쓴다는 사실이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어떠한 간판들이 틀리고 틀린 것은 고쳐나가야 한다라는 취지에서 조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간판 상호의 실태와 분석
1) 사진을 통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 사례 1.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간판
- 슈퍼마귑, 수퍼마켓 (X) → 슈퍼마켓(O)
- 두 사진에는 Supermarket의 표기를 각각 다르게 하고 있는데, 두 가지 모두 틀린 표기이 다.
첫 번째 자료의 ‘귑’ 의 경우에 우리나라 ‘외래어 표기법’을 보면 역사, 사회문화적 인 관습,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세 번 째가 「받침에는 ‘ ㄱ, ㄴ, ㄹ, ㅁ, ㅂ, ㅅ, ㅇ ’ 만을 적는다.」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Supermarket\' 의 올바른 우리말 표기는 ‘슈퍼마켓’ 이라고 해야 한다.
그런데 두 번째의 ‘수’ 와 같은 경우 외래어의 모음 표기에 있어 ‘u\' 는 ‘ㅜ’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수퍼마켓이 아니라 슈퍼마켓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이것은 ‘외 래어 표기법’ 의 기본원칙 중 마지막 항목인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에 따라 오래전에 국어에 들어와서 굳어진 ‘슈퍼마 켓’ 같은 경우에는 현지 발음과는 다르지만 그 표기를 ‘수퍼마켓’ 으로 변경하지 않고 규정 을 별도로 인정하기로 한 것이다.
▶ 사례 2.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간판
- 썬텐(X) → 선탠(O)
- ‘살갗을 햇볕에 그을려서 고운 갈색으로 만드는 일’ 이라는 뜻의 \'Suntan\'이라는 영어 의 우리말 표기는 ‘썬텐’이 아니라 ‘선탠’이 맞다. 외래어표기법의 기본 원칙에는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조항이 있다.이에따라 우리의 발음은 ‘썬’에 가깝게 나지만 ‘선’이라고 표기한다. 또한 표기의 통일성과 편리성을 위해 외래어의 음운과 국어의 자모를 되도록 일대일로 대응시켜 사용 하는데, ‘-tan\' 의 [] 발음의 경우에 국어에서는 ‘ㅐ’로 표기한다. 따라서 ‘텐’ 이 아니라 ‘탠’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은 표기이다.
▶ 사례 3.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간판
- 바이얼린(X) → 바이올린(O)
-바이올린은 외국어로 \'Violin\'이라고 쓰며, [o]는 국어 로 ‘ㅗ’ 라고 표기한다. 따라서 ‘바이얼린’은 틀린 표기이며, ‘바이올린’이라고 해야 맞다.
▶ 사례 4.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광고 간판.
- 크럽(X) → 클럽(O)
- ‘친목, 취미, 오락 등 공통된 목적으로 모인 모임’이 라는 뜻의 ‘Club\' 의 우리말 표기는 \'크럽’이 아니 라 ‘클럽’ 이다.
▶ 사례 5.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광고 전단지.
- 알미
간판들에 관한 숨겨진 이야기
<차례>
1. 조사하게 된 동기
2. 간판 상호의 실태와 분석
1) 사진을 통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2)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3) 좋은 간판의 사례
3. 생각해 보기
1)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하는 일이 자꾸 일어 나는 이유
2)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문 제점과 그 해결방안
4. 조사를 끝내며
5.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1. 조사하게 된 동기
외국어가 국어 속에 들어와서 국어처럼 쓰이는 말을 일반적으로 외래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외국어가 들어와 쓰이고 있는데, 한자도 엄밀히 따지면 외래어라고 해야 하겠지만, 그 수효가 많은 뿐만 아니라 외래어라고 하는 의식이 들지 않으므로 대개는 외래어 범주에서 제외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한자어를 제외한 여러 나라의 말이 국어화 하여 쓰이고 있는 경우를 외래어라 하고, 아직 국어화하지 않고 쓰이는 경우를 외국어라고 정의하기로 했다.
이들 외래어 또는 외국어는 국가간의 문화적 교류나 정치적 접촉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어느 나라에나 다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런 외래어와 외국어의 수용은 외래어와 외국어의 혼동 문제라든지, 외래어의 표기법에 따르지 않은 외래어의 오용 문제 등의 여러 면에서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우리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간판에 나타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외래어 표기법 뿐만 아니라 한글 맞춤법 표기 규범과도 다르게 실현되고 있는 사용 실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요즘 우리말 대신에 외래어로 된 간판이 대부분인데 초등학생들이나 청소년들이 무방비 상태로 틀린 간판들을 받아 들이고 그것을 맞느냥 쓴다는 사실이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어떠한 간판들이 틀리고 틀린 것은 고쳐나가야 한다라는 취지에서 조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간판 상호의 실태와 분석
1) 사진을 통한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
▶ 사례 1.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간판
- 슈퍼마귑, 수퍼마켓 (X) → 슈퍼마켓(O)
- 두 사진에는 Supermarket의 표기를 각각 다르게 하고 있는데, 두 가지 모두 틀린 표기이 다.
첫 번째 자료의 ‘귑’ 의 경우에 우리나라 ‘외래어 표기법’을 보면 역사, 사회문화적 인 관습,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세 번 째가 「받침에는 ‘ ㄱ, ㄴ, ㄹ, ㅁ, ㅂ, ㅅ, ㅇ ’ 만을 적는다.」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Supermarket\' 의 올바른 우리말 표기는 ‘슈퍼마켓’ 이라고 해야 한다.
그런데 두 번째의 ‘수’ 와 같은 경우 외래어의 모음 표기에 있어 ‘u\' 는 ‘ㅜ’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수퍼마켓이 아니라 슈퍼마켓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이것은 ‘외 래어 표기법’ 의 기본원칙 중 마지막 항목인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에 따라 오래전에 국어에 들어와서 굳어진 ‘슈퍼마 켓’ 같은 경우에는 현지 발음과는 다르지만 그 표기를 ‘수퍼마켓’ 으로 변경하지 않고 규정 을 별도로 인정하기로 한 것이다.
▶ 사례 2.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간판
- 썬텐(X) → 선탠(O)
- ‘살갗을 햇볕에 그을려서 고운 갈색으로 만드는 일’ 이라는 뜻의 \'Suntan\'이라는 영어 의 우리말 표기는 ‘썬텐’이 아니라 ‘선탠’이 맞다. 외래어표기법의 기본 원칙에는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조항이 있다.이에따라 우리의 발음은 ‘썬’에 가깝게 나지만 ‘선’이라고 표기한다. 또한 표기의 통일성과 편리성을 위해 외래어의 음운과 국어의 자모를 되도록 일대일로 대응시켜 사용 하는데, ‘-tan\' 의 [] 발음의 경우에 국어에서는 ‘ㅐ’로 표기한다. 따라서 ‘텐’ 이 아니라 ‘탠’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은 표기이다.
▶ 사례 3.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간판
- 바이얼린(X) → 바이올린(O)
-바이올린은 외국어로 \'Violin\'이라고 쓰며, [o]는 국어 로 ‘ㅗ’ 라고 표기한다. 따라서 ‘바이얼린’은 틀린 표기이며, ‘바이올린’이라고 해야 맞다.
▶ 사례 4.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광고 간판.
- 크럽(X) → 클럽(O)
- ‘친목, 취미, 오락 등 공통된 목적으로 모인 모임’이 라는 뜻의 ‘Club\' 의 우리말 표기는 \'크럽’이 아니 라 ‘클럽’ 이다.
▶ 사례 5. 외래어 표기법 오용 사례 - 광고 전단지.
- 알미
추천자료
조직 행동연구 기업 사례분석
현대자동차의 경영환경과 해외진출 사례분석
생명윤리및 안전에 관한 사례
실제 유치원의 교과 사례를 분석
속담을 이용한 마케팅 사례
한국 기업의 마케팅 사례 분석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
광동제약 비타500의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분석/조사] CJ 햇반의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두바이의 knowlege village 사례분석을 통한 인천 송도 국제도시, 제주도의 국제대학 유치에 ...
내가 경험한 응급사례
[가족복지론] 사례를 통해 본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시 창작 수업 사례와 방법
청소년 심리상담 각종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