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신석기문화의 다원성과 그 유산
2. 문명의 탄생과 특징
3. 하왕조 실체의 탐색
4. 왕조체제의 형성과 발전
5. 맺음말
1. 신석기문화의 다원성과 그 유산
2. 문명의 탄생과 특징
3. 하왕조 실체의 탐색
4. 왕조체제의 형성과 발전
5. 맺음말
본문내용
상왕조는 주대에 비해 매우 미숙하였고 왕권의 안정이 약한 인상을 준다. 상대의 제도적 미숙성을 보완해주는 것은 종교적 관념과 그에 부수된 제사체계이다. 제는 자연신과 조선신의 성격을 겸한 존재이다. 제의 절대성 강조는 곧 왕권의 절대화를 의미하였고 이것을 위한 제사가 발전한 것은 당연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신성왕조로 칭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주대의 ‘天’은 이미 조선신의 성격도 없고 주왕에게 샤먼킹의 성격이 인정하기 어렵다면 신성왕조로 규정할 수 없을 것이다. 사만천은 상의 장단점을 경(敬)과 귀(鬼) 주는 문(文)과 색(僿)으로 지적하기도 하였다.
5. 맺음말
중국 고대문명이 B.C 2,000년을 상회하는 시기에 탄생, 상·주왕조를 거쳐 완숙한 단계로 발전하였고, 이 시기에 거대한 정치적 통합이 이루어진 것도 분명하다. 그러나 특정 인물에 의해 된 것이 아니라 다수의 익명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전 되었다. 이 과정에서 화하족뿐 아니라 소수민족의 조상이 될 수 있는 많은 민족과 부족이 참가하였다. 새로운 자료가 나오면서 지금까지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지만 다원론적 발생론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필자는 아시아적 생산양식, 노예제사회, 봉건제 사회 등을 반대하며 중국의 자료에 입각한 장광직의 노력에 동조한다. 다만 ‘중국적’모델이 아니라 ‘동아시아’적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끝으로 기후의 변화문제로 신석기 시대 또는 문명 초기단계의 기후환경조건이 현재와 다를 가능성을상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의 조건으로만 문화·문명에 대해 논할 경우 물질 생활의 기본적인 성격에 대해 오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맺음말
중국 고대문명이 B.C 2,000년을 상회하는 시기에 탄생, 상·주왕조를 거쳐 완숙한 단계로 발전하였고, 이 시기에 거대한 정치적 통합이 이루어진 것도 분명하다. 그러나 특정 인물에 의해 된 것이 아니라 다수의 익명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전 되었다. 이 과정에서 화하족뿐 아니라 소수민족의 조상이 될 수 있는 많은 민족과 부족이 참가하였다. 새로운 자료가 나오면서 지금까지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지만 다원론적 발생론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필자는 아시아적 생산양식, 노예제사회, 봉건제 사회 등을 반대하며 중국의 자료에 입각한 장광직의 노력에 동조한다. 다만 ‘중국적’모델이 아니라 ‘동아시아’적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끝으로 기후의 변화문제로 신석기 시대 또는 문명 초기단계의 기후환경조건이 현재와 다를 가능성을상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의 조건으로만 문화·문명에 대해 논할 경우 물질 생활의 기본적인 성격에 대해 오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