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청소년 교육현황과 발전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장애청소년 교육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Ⅱ.장애청소년 교육과 장애청소년
1. 장애청소년 교육
1). 장애청소년 교육의 개요
2). 장애청소년의 분류
3). 교육재활 영역의 실태
4). 장애청소년 교육대상 출현율 및 장애인구수
5). 법률
2 장애청소년
1). 장애청소년의 개념
2). 장애청소년의 유형
3). 장애청소년의 대책
4). 장애청소년의 문제와 과제
3. 장애청소년의 교육권과 장애청소년 교육의 이해
1). 문명과 교육
2). 장애인의 교육권
3). 장애인 교육의 개념과 역사
4). 인식의 변화와 장애인교육
5). 정상화. 주류화에서 통합교육으로
6). 교육계의 열린 의식
4. 장애인 교육의 이론과 실제
1). 시대적으로 변화된 인식
2). 통합교육의 원리
3).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교육 주권
4). 조기교육의 의무화
5. 서로 변화하고 서로 도와야 하는 교육활동
1). 일반 교사들의 인식변화부터 시작하자
2). 학교 안에서 장애청소년 교육교사의 자리 찾기
3).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의 교육

Ⅲ. 한국 장애청소년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 장애청소년 추정
2. 특수학교 현황
3. 시도별 특수학교 취업상황
4. 취업현황
5. 특수학교 운영비
6. 시도별 특수학교현황
7. 시. 도별 특수학급현황
8. 각. 시도별 장애청소년 교육 대상자 현황 및 장애청소년 교육기관수, 학급수, 취학율 현황

Ⅳ. 장애청소년 교육의 발전과제
1. 장애청소년 교육기회의 제공
2. 장애청소년 교육의 질 향상

Ⅴ.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현 등으로 넓어진 장애인 교육 행정을 교육부 보통교육국 유아교육과에서 연구관 1명과 연구사 1명만이 담당하고 있다. 최소한 교육자치의 행정부격인 시도 교육청에 장애인 교육 전담 부서의 설치와 그 임무를 의회에서 정식 의결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움직임이 지역별로 일어난다면 두 명의 연구 인력으로 다른 부서의 보조 업무만으로 여기고 있는 정부의 장애인 교육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 놓을 수 있을 것이며, 장차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94년 새로 개정된 특수교특진흥법에 장애인교육을 의무교육으로 하는 조항이 신설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법에 따른 교육환경을 만들어야 하는데도 올해 교육환경개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아 실질적인 의무교육이 안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빠른 시일 안에 일반학교 시설을 개선하여 장애청소년 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동들이 공부할 수 있는 시설 등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지금의 장애청소년 교육기관으로는 의무교육에 따른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
세째, 새로 개정된 장애청소년 교육진흥법에 의하면 조기교육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으나 6개월 이내에 시행할 수 있는 하부규정을 만들게 되어 있으나 1년이 훨씬 지나도록 별 대책을 세우고 있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빠른 시일 안에 시행규칙을 제공하여 조기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표 -17> 특수학교(급) 현황 (교육부 자료, 1997. 4. 1. 현재)
구 분
학 교 수
학 급 수
학 생 수
교 원 수
비 고
특수학교
106
2,006
21,262
3,272
중도장애
특수학급
2,665(578)
3,400(659)
27,669(4,870)
3,400(659)
경도장애

2,771
5,406
48,931
6,672
* ( )는 중·고등학교 설치 특수학급
<표 -18> 국·공·시립 특수학교 예산 (교육부 국정감사 자료, 1997.)
시·도별
인 건 비
운 영 비
시 설 비

비 고
서 울
13,068,410
(4,714,573)
2,083,518
(810,166)
337,544
(532,971)
15,489,472
(6,057,710)
※ ’96 예산
84,849백만원
부 산
6,852,219
1,016,775
50,700
7,919,694
대 구
6,060,110
700,708
213,280
6,974,098
인 천
3,225,437
454,323
3,679,760
광 주
5,108,447
667,622
11,705
5,787,774
대 전
2,887,952
357,568
3,245,520
경 기
8,040,608
(943,145)
957,428
(1,470,319)
3,290,800
(211,174)
12,288,836
(2,624,638)
강 원
3,959,617
411,552
4,371,169
충 북
4,861,234
680,430
5,541,664
충 남
2,009,185
526,515
2,625,700
전 북
5,178,277
543,206
580,206
6,301,689
전 남
4,114,936
701,330
35,240
4,851,506
경 북
6,332,134
762,489
335,000
7,429,623
경 남
5,582,614
817,409
30,000
6,430,023
제 주
1,645,188
198,373
350,005
2,193,566

84,674,086
(5,657,718)
13,159,731
(2,280,485)
5,978,625
(744,145)
103,812,442
(8,682,348)
* ( )는 국고로 본 수에 포함.
우리 나라 조기교육기관은 현재 전국적으로 사설기관 250여개가 있다. 지금의 조기교육기관은 주당 3~5일, 하루 1~2시간 장도의 수업일수로 월 20~30만원정도의 고액의 수강료를 받고 있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장애아를 가진 많은 부모들의 부담이 큰 형편이다. 이를 위해 97년에 개정된 법률에 근거한 조기교양양성화 방안이 빠른 시일안에 만들어 져야 할 형편이다.
네째, 전체 교육비의 0.44%밖에 되지 않는 장애청소년 교육비의 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지금의 학급당 인원 15명으로는 개별화교육이 불가능하므로 장애인의 통합교육은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다. 정신지체 학교에서는 학급당 인원을 5명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학교 교육환경이 만들어 져야 한다. 이를 위해 95년에 보사부령으로 발표된 편의시설 설치 기준규칙에 따른 수준에 일반학교 편의시설을 갖추기 위한 재원지원이 절실하다.
-참 고 문 헌-
이효자 외4인.“장애청소년교육”,정일, 서울 : 1998
권도용 외3인.“현대장애인복지개론”, 서울 : 홍익제,1998
곽승철 외.“지체부자유아교육”.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1995
구본권 외9인.“장애청소년 교육학”.서울 : 교육과학사
김동연.“시각 장애아의 직업지도의 이론과 실제”.교육부,특수학교 직
업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삼진인쇄주식회사.1993
김정권한현민 “장애청소년의 이해와 교육”.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 육.1996
김효선.“지체부자유 교수-학습모델” 국립장애청소년 교육원.1995
김승국.“장애청소년 교육학”서울 : 양성원.1995
백은희 외 역3.“중복장애청소년교육”.서울 : 양성원.1994
최중옥 외.“장애청소년의 이해와 지도”.서울 : 교육과학사.1995
최영하 역 .“중증 및 최중도장애아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1995
한기정 .“특수유아 교육방법”.서울 : 교육과학사.1996
서현아.“조기교육”.장애청소년의 이해와 지도 : 이론과 실제. 서울 : 교
육과학사.1997
안병준.“지체부자유아교육” 대구 : 한국사회사업대학 출판부. 1978
송준만유효순,“장애청소년교육”.서울 : 교문사. 1990
이유훈정대영정동영.“한국특수학교 교육과정변천사연구”. 국립특
수교육원.1994
정범오. “교육과 교육학”.서울 : 배영사
최성규. “정각장애아교육, 특수아도의 이해와 지도”교육과 학사정동일.“지체장애학교 교사자질에 관한 연구”,공주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정진이효자정애동.“특수유치원설치 모형.”국립장애청소년 교육원,199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