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어깨관절의 특징과 기능
1. 관절
2. 어깨의 구조와 기능
3. 어깨관절
1) 견갑골
2) 쇄골
1. 관절
2. 어깨의 구조와 기능
3. 어깨관절
1) 견갑골
2) 쇄골
본문내용
관절의 안쪽, 인대의 내부, 관절면의 접촉부분에는 위치각이나 운동각을 감지하는 수용기가 존재한다. 이 수용기는 관절각이라 하여 자율적이거나 타율적인 운동에 관계 없이 관절의 운동을 지각하는 역할을 한다.
2. 어깨
어깨는 견갑흉곽관절(scapluothora cic articulation), 어깨관절(glenohmeral joint), 위상완관절(suprahumeral joint), 견봉쇄골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및 흉골쇄골관절(sternoclavicular joint)로 구성된다. 위상완관절은 관절 낭이 있는 해부학적 관절이라기보다는 기능적인 관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관절은 오구견봉궁(coracoacromial arch)과 상완골 머리(humeral head)에 의해 만들어
2. 어깨
어깨는 견갑흉곽관절(scapluothora cic articulation), 어깨관절(glenohmeral joint), 위상완관절(suprahumeral joint), 견봉쇄골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및 흉골쇄골관절(sternoclavicular joint)로 구성된다. 위상완관절은 관절 낭이 있는 해부학적 관절이라기보다는 기능적인 관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관절은 오구견봉궁(coracoacromial arch)과 상완골 머리(humeral head)에 의해 만들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