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절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딛고 걸어보게 한다.
비록 이러한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기능을 충분히 알 수는 있지만 정확한 측정과 분리된 운동의 평가를 할 수가 없다. 만일 환자가 이 과정을 시행할 수 없다면 운동 제한의 원인을 판정하기 위하여 수동 관절운동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2) 수동 관절운동 범위(passive range of motion)
(1) 족관절( ankle joint)
족관절 배측 굴곡(ankle dorsiflexor) -20。
족관절 족저 굴곡(ankle plantarflexor) -50。
배측굴곡과 족저 굴곡은 과상간 과열와(ankle mortise)내에서 경골과 비골 그리고 거골사이에서 일어난다. 외과와 내과의 중심선을 그어보면 거의 족관절 운동의 축이 된다.
검사자는 환자에게 진찰대 끝에 양 다리를 늘어트리고 앉으라고 지시한다. 양쪽 무릎을 구부리면 비복근은 이완되며(비복근의 기시와 정지가 가까워진다) 배측 굴곡이 제한 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게 된다. 종골을 잡고서 거골하 관절을 고정한다. 단지 족관절 운동만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전족부의 대용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후족부에서 전족부를 내반시켜 고정시킨다. 검사자는 전족부를 잡고 족관절을 족저굴곡, 배측굴곡 시킨다. 발을 족저 굴곡 시켰을 때 정상적으로 양쪽과 사이에서 거골은 약간 외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기록하기는 곤란하지만 염두에는 두고 있어야 한다. 거골의 등쪽면은 경골과 비골로 형성된 소귑 또는 과간 관절와에 맞게 되어있으며 소귑과 거골은 모두 전면이 넓게 되어 있다.
족관절을 배측 굴곡 했을 때는 거골은 양쪽과 사이에 단단히 고정된다. 그러나 족저 굴곡을 했을 때에는 좁은 거골 후부가 양쪽과 사이에 놓이게 되며 약간 외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양쪽과 사이의 내경이 외상으로 인하여 좁아지게 되거나 발과 족관절을 첨족위(position of equinus)로 장기간 석고붕대로 고정해 놓으면( 양쪽 과사이의 구축) 거골 돔의 넓은 전방부는 과간 관절와에 쉽게 잘 맞지 않게 되기 때문에 족관절의 배측 굴곡을 제한시킨다.
족관절의 운동 제한은(염좌나 심주전으로 인한 부종등으로) 족관절 외의 종창 때문일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종창은 마치 붕대나 석고 붕대를 한 것처럼 갑감하게 느껴질 것이다. 관절 내의 종창 역시 족관절을 고정하거나 관절낭이 구축된 것처럼 족관절 운동을 감소시킨다.
(2) 거골하 관절(subtalar joint)
내반(inversion) -5。
외반(eversion) -5。
이 운동은 발이 울퉁불퉁한 면을 딛어도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이 운동은 거종(talocalcaneal), 거주(talonavicular) 그리고 종입방(calcaneocuboid)관절에서 주로 일어난다. 내반과 외반을 검사하려면 환자를 진찰대 끝에 그대로 앉아 잇게 하고 경골 하단을 잡아서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종골을 잡고 뒷꿈치를 교대로 내반, 외반한다. 종골 골절이 거골하 관절(subtalar joint)까지 파급되어 2차적으로 생긴 거골하 관절염(subtalar arthritis)환자는 이 운동을 할 때는 동통을 호소할 것이다. 젊은 환자와 노인 환자의 거골하 관절 운동에는 명백하고도 분명한 차이가 잇을 것이다.
(3) 중족 관절(midtarsal joint)
내전(adduction) -20。 외전(abduction) -10。
전족부의 내전과 외전 운동은 주로 횡족근 관절( midtarsal joint) (거주관절, 종입방 관절)에서 일어난다. 이 운동을 검사하려면 한 손으로 환자의 중골을 잡고 검사하는 동안 중립위에서 뒷꿈치를 고정한 다음 검사자의 다른 손으로 전족부를 내측과 외측으로 움직인다. 이 운동 각도는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어느 정도쯤 되는지는 느껴 볼 수 있다.
비록 내반과 외반 운동은 내전과 외전 운동과 분리해서 검사할 수 있지만, 정상적으로는 이 네 개의 운동이 결합하여 내전을 동반한 내반(회외, supination), 외전을 동반한 외반(회내, pronation)운동을 하게 된다.
(4) 제 1 중족지절 관절(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굴곡(flexion) -45。
신전(extension) -70。~90。
제 1중족지절 관절의 운동은 보행주기의 발끝 떼기(toe-off)에서 주로 일어나기 때문에 정상 보행에서 매우 중요한 운동이다. 이것을 검사하려면 환자의 발을 고정하고 엄지 발가락을 중족지절 관절에서 굴곡과 신전을 한다. 정상적인 발끝 떼기는 최소 35~40。의 신전이 요구 된다. 만일 운동이 제 1 중족지절 관절에서 현저히 감소되거나 관절이 고정 또는 부분 고정(강직성 굴지증, hallux rigidus)이 되어 있으면 발을 보호하려는 보행을 하게 되어 발끝 떼기의 시기는 짧아지게 되고 제1 중족지절 관절에 받는 압력을 피하기 위하여 발을 비스듬히 하여 발짝을 떼게 될 것이다. 사실상 발끝 떼기는 네 개의 작은 발가락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보행은 부자연 스럽게 되고 동통을 유발하게 될 것이다. 또한 환자의 구두 위에는 수평이 아니 사선의 주름이 생기게 된다. 강직성 굴지증의 경우에 있어서는 발가락을 신전시키면 심한 통증 때문에 별로 신전을 할 수 없으마 굴곡 운동은 거의 정상이 된다. 엄지 발가락의 근위 지절간 관절은 단지 굴곡만 가능하다(약 90도)
(5) 작은 발가락 운동(엄지 발가락 제외)
비록 작은 발가락들의 능동 굴곡(active flexion)은 근위와 원위 지절간 관절에서 일어나지만 능동 신전은 정상적으로 중족지절 관절에서 일어난다. 그리하여 네 개의 작은 발가락들은 중족관절에서 그리고 근위와 원위 지절간 관절에서 수동적으로 굴곡신전해야 한다. 정상적으로 보행의 입각기에 있어서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네 개의 작은 발가락들이 개별적으로 굴곡해서 지면이나 구두의 밑바닥을 고정한다.
갈퀴 발가락(claw toe)은 근위와 원위 지절간 관절의 신전과 중족지절 관절의 굴곡 운동을 제한한다. 그에 반하여 망치 발가락(hammer toe)에서는 원위지절간 관절의 굴곡, 근위지절간 관절의 신전, 그리고 중족지절 관절의 굴곡을 제한시킨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0.2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