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회복지 실천모델
1. 정신분석이론
1) 기본 가정
정신분석이론은 사회복지실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1900년대 초 사회복지가 전문적인 훈련을 시작하게 되면서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게 되었을 때 정신분석이론은 사회과학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특히 개별사회사업(casework)의 실천과정에서 정신분석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으며, 이 이론의 주요 기술을 수용ㆍ활용하게 되었다. 또한 정신분석이론은 심리사회적 모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정신분석이론에서는 개인의 행동과 감정, 생각 등이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인 성적ㆍ공격적 충동에 의한 것이라 여기며 결정론적 관점(endogenous perspective)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과거의 경험, 특히 무의식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성적, 공격적 충동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가 이러한 경험과 충동을 통찰력을 갖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 현재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정신분석이론에서는 현 문제에 대한 치료적 처방을 제공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의 통찰력 혹은 문제인식능력과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Freud는 인간의 성격 구조를 몇 개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에는 ①구조적 관점, ②지정학적 관점, ③유전학적 관점, ④정신역동 관점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관점들은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무석, 1995; Brandell &Perlman, 1997; Strean, 1996).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구조적 관점
이 관점은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구성되어 있다. 이드는 무의식에 속하면서 원시적이고 본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에너지가 충만하여 끊임없이 욕구와 충동이 일어나는 역동적인 성향을 갖는다. 자아는 이드와 초자아를 중재하며 내부세계와 외부세계 사이에서의 기능이 잘 집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때로 자아기능의 강약에 따라 그 사람의 기능의 정도를 판단하기도 한다. 초자아는 선악을 판단하는 것과 자아 이상의 두가지로 나뉜다. 선악 판단의 기준으로서의 초자아는 금지의 개념이 강하고 자아 이상은 동일시의 결과로 나타나 개인이 닮고 싶은 이상적인 모습들을 의미한다(이무석, 1995; Strean, 1996).
(2)지정학적 관점
지정학적 관점은 인간의 내면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의식은 전적으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영역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활동들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전의식은 평소에는 의식의 영역에 없지만 집중을 하거나 기억을 떠올리는 등의 행위를 하면 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영역이다. 이는 무의식과 의식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며 무의식에서 떠오르는 감당하지 못하는 충동이나 욕구를 검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의식은 본능적인 역동, 성적 본능으로 이루어져 이
1. 정신분석이론
1) 기본 가정
정신분석이론은 사회복지실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1900년대 초 사회복지가 전문적인 훈련을 시작하게 되면서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게 되었을 때 정신분석이론은 사회과학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특히 개별사회사업(casework)의 실천과정에서 정신분석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으며, 이 이론의 주요 기술을 수용ㆍ활용하게 되었다. 또한 정신분석이론은 심리사회적 모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정신분석이론에서는 개인의 행동과 감정, 생각 등이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인 성적ㆍ공격적 충동에 의한 것이라 여기며 결정론적 관점(endogenous perspective)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과거의 경험, 특히 무의식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성적, 공격적 충동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가 이러한 경험과 충동을 통찰력을 갖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 현재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정신분석이론에서는 현 문제에 대한 치료적 처방을 제공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의 통찰력 혹은 문제인식능력과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Freud는 인간의 성격 구조를 몇 개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에는 ①구조적 관점, ②지정학적 관점, ③유전학적 관점, ④정신역동 관점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관점들은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무석, 1995; Brandell &Perlman, 1997; Strean, 1996).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구조적 관점
이 관점은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구성되어 있다. 이드는 무의식에 속하면서 원시적이고 본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에너지가 충만하여 끊임없이 욕구와 충동이 일어나는 역동적인 성향을 갖는다. 자아는 이드와 초자아를 중재하며 내부세계와 외부세계 사이에서의 기능이 잘 집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때로 자아기능의 강약에 따라 그 사람의 기능의 정도를 판단하기도 한다. 초자아는 선악을 판단하는 것과 자아 이상의 두가지로 나뉜다. 선악 판단의 기준으로서의 초자아는 금지의 개념이 강하고 자아 이상은 동일시의 결과로 나타나 개인이 닮고 싶은 이상적인 모습들을 의미한다(이무석, 1995; Strean, 1996).
(2)지정학적 관점
지정학적 관점은 인간의 내면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의식은 전적으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영역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활동들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전의식은 평소에는 의식의 영역에 없지만 집중을 하거나 기억을 떠올리는 등의 행위를 하면 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영역이다. 이는 무의식과 의식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며 무의식에서 떠오르는 감당하지 못하는 충동이나 욕구를 검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의식은 본능적인 역동, 성적 본능으로 이루어져 이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모델 파워포인트
사회복지실천모델 중 하나를 선정해서 사례연구를 하여 제출하시오.
임파워먼트모델-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모델-정신역동모델
에이원-사회복지실천기술론-정신역동모델,심리사회모델,인지행동모델,행동수정모델,과제중심모델
사회복지실천모델 과제물
사회복지실천모델 중에서 1개 모델 사례를 제출
사회복지실천모델 중에서 1개 모델 사례를 제출하세요.
사회복지실천모델 중 정신역동모델과 인지행동모델의 주요개념을 정리하여 기술하고, 이 두기...
사회복지실천모델에 있어 합리정서행동모델에 대해 설명
급진사회복지실천모델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유형.
사회복지실천기술론_사회복지실천모델 3가지 (인지행동모델, 위기개입모델, 과제중심모델) 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