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사진의 개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사진의 개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요.그리고 ISO 200인 경우는 90이상을 ISO 300이면 80이상을....이런식으로 신호로 인식하는 기준갑슬 조정하게 됩니다.그러면 신호와 잡음비 즉, singal to noise ratio (S/N)값을 보면ISO 100: 100/1ISO 200: 90/1ISO 300: 80/1 이런식이 되겠지요.당연히 ISO를 높이면 신호로 인식한 부분에 노이즈에 의한 특성이 덧붙여지게 됩니다.사진의 밝기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간단히 하기 위해서 만약 사람의 눈으로 구분되는 S/N의
기준치가 80/1이라면 이경우는 ISO 300부터 눈에 뛰는 노이즈가 보이기 시작하겠지요.따라서 좋은 센서는 우선 dark noise를 최대한 줄인경우이며 이는 CMOS나 CCD 제조 공정에서 결정되게 됩니다.또하나는 동일한 noise라도 같은 빛이 들어올 경우 신호의 크기가 크면 되겠지요.그리고, 또하나 image processing의 능력입니다. 이는 특별히 고안된 칩으로 신호는 증폭하고 노이즈는 증폭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하는 기술입니다.예를 들어 80/1의 경우 신호는 2배로 증폭하고 노이즈는 1.5배로 증폭한다면신호대 잡음비는 image porcessing 칩을 거치고 나면 160/1.5 = 100.6/1이 되겠지요?그러면 ISO 300의 경우에도 노이즈는 눈에 띠지 않게 될것입니다.대표적으로 캐논사는 DIGIC 이라는 processor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DIGIC 4를 사용하고 있는거 다 아시죠?이상은 ISO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과 노이즈에 대한 상관관계를 가급적 쉽게 설명한 글입니다.
그리고, 위에 든 수치는 설명을 위한 저의 임의적인 예이며, 실제를 반영한것은 아님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경향을 설명한것이지 100/1 이런것은 실제의 수치는 아닙니다.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은염사진이나 디지털 사진 모두 공통적으로 빛이 없으면 촬영할 수 없다.촬영시에 가장 좋은 광선은 자연광이나 항상 자연광이 있는 곳에서만 촬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실내에서 실내광선을 이용한 촬영이라든지 플래시를 이용한 촬영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렇다고 모두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에는 일반카메라와는 다른 특성이 있고 이 특성을 제대로 이용하게 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자연광선과 인공광선(백열등, 형광등, 플래시)은 사람이 볼 때는 큰 차이가 없지만 필름이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다른 색으로 인지된다. 색온도 차이 때문인데, 이런 현상은 필름이나 디지털카메라에서 비슷하게 인지한다. 이럴 경우 필름은 데이라이트/텅스텐 타입의 필름을 선택해서 촬영하거나 색온도 변화 필터 등을 이용해 미묘한 색온도차를 극복한다. 디지털에서도 이와 비슷한 화이트 밸러스 조절이란 기능이 있다. 현재 액정상에 보이는 피사체가 배경을 화이트 밸러스 조절을 통해서 맑은날, 흐린날, 형광등, 백열등 등 조명마다 선택할 수 있고, 액정화면을 보면서 실제로 변화는 장면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를 예측 가능하고 빠르게 재활영할 수 있다는 것이 편리한 점이다. 기본적으로 화이트 밸런스는 오토로 설정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임의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해가며 촬영을 해주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출시되었던 디지털카메라들은 화이트 밸런스가 자동으로 완벽하게 전환이 안되어으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들은(FP-4700z/FP-40i/FP-4900z)오토기능이 한층 강화되어 특별히 신경써서 촬영해야 할 상황이 아니라면 상당히 뛰어난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다.<>색온도에 대하여사람의 눈은 하늘, 흐린 하늘, 백열전구 및 형광등의 실내 등 광원의 색에 관계없이 흰 피사체는 희게 보입니다. 이에 대해 디지털카메라에서 사람의 눈에 희게 보이는 색을 화상에서도 희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명광의 색에 맞추어 조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조정을 "화이트밸런스를 맞춘다"고 합니다.빛의 색에는 빨간색을 띤 것과 파란색을 띤 것이 있으며, 사람의 주관으로 빛의 색을 표현하면 보는 사람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빛의 색을 절대온도(K: 켈빈)라고 하는 객관적인 숫자로 나타낸것이 색온도입니다. 색온도가 낮아질수록 빨간색을 띤 광색이 되며,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파란색을 딘 광색이 됩니다.2000[K] 촛불 불꽃3000 백열전구/할로겐전구4000 백색4200 형광등5000 맑은 하늘/주간광/주간백색5400 플래쉬7000 흐린하늘10000 쾌청하늘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