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기업의 실패 원인 분석과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진출 기업의 실패 원인 분석과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국 진출 기업의 실패 원인 분석과 해결방안

본문내용

문 광장에 초코파이 대형입간판을 설치함은 물 론 버스 광고판 등을 통해 초코파이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한국 정(情)컨셉을 중국인에 맞춘 ‘오리온은 좋은 친구’ 광고는 중국인들에게 크게 어필하는 계기가 됐다.
수년간의 마케팅 결과로 동양 제과는 지난해 중국 내 현지법인(오리온식품유한공사) 생산과 수출물량 을 포함해 중국에서 2500만 달러어치 초코파이를 판매했다.
현재 동양제과 고민은 유사품 난립. 오리온 초코파이가 인기를 끌자 유사한 포장과 이름의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다.
동양제과는 지속적인 마케팅과 고품질 로 이에 맞선다는 전략이다.
<농 심> 신라면 “신라면, 맛있어요” 이름부터 ‘매운(辛)’ 라면인 신라면이 중국인 입맛을 바꾸고 있다.
농심은 신라면을 앞세워 중국에서 지난해 1300만 달러 매출을 올렸다. 올해에는 중국 내 매출이 1300만 달러, 2005년엔 1억5 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심 신라면의 중국 성공시대 는 중국인의 라면습관에 도전한 기록이다.
신라면 이전의 중국라면은 하나같이 물만 부어 간단하게 먹는 것이었다. 끓여 먹는 라면은 흔치 않았다.
농심은 ‘라면은 끓여 먹는 것’이란 인식을 심기 위해 진출 초기 에는 매출액의 절반 가량을 광고에 쏟아 부었다.
중국 거리에서 ‘(아들 ) 라면은 어떻게 먹어야 맛있지요’ ‘(아버지) 끓여 먹어야 제 맛이지 ’라는 문구가 삽입된 신라면 광고를 보는 일은 어렵지 않다.
중국인에겐 익숙지 않는 매운 맛도 문제였다.
농심 측은 각종 시식회와 광고를 통해 ‘매운 맛 알리기’에 총력을 기울였다.
결과는 성공적. 상대적인 고가에도 불구하고 99년을 기점으로 신라면 판매는 1억개를 돌파 하면서 중국 업체들도 끓이는 라면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신랄라면’ 등 카피 제품도 중국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가전제품 ‘LG TV로 드라마를 시청하고, LG 전자레인지로 요리하며, LG 세탁기로 빤 옷을 입고, LG 에어컨으로 더위를 식힌다’ 이런 모습은 이제 중국의 중산층 가정에서 어색하지 않는 모습이다.
LG전자는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중국시장에서 가장 성공한 외국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LG전자 는 현지 업체와 소니, 마쓰시타 등 유수 업체를 제치고 중국 내 기업 중 TV 수출 1위, 중국 내수시장에서 CD롬 드라이브(1위), 전자레인지(2위), 모니터(3위), 세탁기(5위), 에어컨(6위) 등이 10위권 내에 진입해 외국 기업으로는 드물게 성공을 거두고 있다.
LG의 중국 내 성공전략은 한마디로 ‘중국 현지기업으로 중국 국민에게 사랑 받는 것’. LG전자는 종업원 15000여 명 중 전체의 98%를 현지인으로 채용, 현지화 전략을 펼쳤다.
또한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각종 TV 프로그램과 스포츠 행사를 후원하며 중국인들에게 중국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왔다. LG전자는 에어컨, 냉장고 등 전통 가전 부문에서 LCD 모니터, 프로젝션 TV, PDP 등 디지털 관련 첨단 분야를 집중 육성해 중국시장을 거점으로 세계시장 공략에도 나선다는 전략이다.
매일유업 맘마·대상 조미료 식품업계에서 중국시장 진출 선봉은 누가 뭐래도 ‘미원 브랜드’를 앞세운 조미료. 대상은 지난 92년부터 현지 법인을 설립, 중국 시장에 문 을 두드렸다. 95년엔 중국 난시 미정창과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연간 2 만t 규모의 조미료를 생산, 중국 전역에 판매하고 있다. 중국에 있는 조 미료 브랜드는 60여개. 하지만 미원은 가장 고급스런 조미료로 인정을 받고 있다. 중국 측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은 미원은 세계 조미료업계 처음으로 300만 달러의 조미료 기술 이전료를 받기도 했다. 현재 ‘미원 브랜드’는 중국 전역에 있는 120여개 총판을 통해 중국 전역에 판매되고 있다. 중국인의 입맛을 아기 때부터 한국식으로 길들이고 있는 제품도 있다. 매일유업 맘마밀은 올해 초에 비로소 중국 광둥성 광저우 지역에 지사를 설립했지만, 지사 설립 첫 해 1000만 달러 수출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 매일 맘마는 특히 광저우, 선전 등 소득이 높은 경제 특구의 엄마들을 중심으로 소비가 활발하다.
3. 결론
느낀점
처음에 나의 학과인 경영학과 중국을 연계시켜 레포트를 쓰라는 말을 들었을 때 어떻게 레포트를 써야할지 막막했다. 그런데 평소에 기업사례나 경영학 책을 많이 읽어왔었고, 특히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에 대해 여러 권을 책을 읽었기 때문에 나름대로 주제를 정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오래전부터 교역을 해온 사이이기 때문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공산주의로 인해 교역이 중단되었다가 1992년 다시 한중수교를 시작하면서 새로운 관계가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기업은 중국의 값싼 노동력으로 인해 중국으로 많이 진출하였는데, 성공한 기업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준비 부족으로 인해 실패를 거두고 말았다. 나는 도대체 왜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에서 그렇게 참패를 당할 수 밖에 없었는지 분석해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해 보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우리는 중국을 너무 모르고 있었다는 결론이 났다. 중국은 가깝지만 우리와는 너무 다른 나라였다. 지금까지 우리의 잘못으로 인해 톡톡히 수업료를 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중국은 만만한 나라는 아니지만, 우리에게는 기회가 많은 나라이다.
이제 우리나라 기업들도 조금씩 중국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마트나 엘지전자 등 과거와는 달리 중국에서 세계의 대기업들과의 경쟁에서도 당당히 맞서고 있다.
나는 지금까지 가까운 나라 중국을 너무도 모르고 있었다. 그냥 ‘못사는 나라’ , ‘공산주의에서 자유주의 경제체제로 변모하는 나라’ 정도로만 생각했었는데, 절대 만만한 나라가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앞으로 경영이나 무역을 직업으로 하고 싶은 나로서는 중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번 중국 근현대사 수업을 들으면서 중국에 좀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몇 년 후에 중국에 가서 공부도 하고 일도 하고 싶다는 소망도 생겼다. 앞으로도 중국에 대한 정보도 많이 습득하고, 곧 중국어 학원도 알아 볼 생각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