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 심리학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너무 진지하게 생각하거나 생활하면서 유머감각을 잃어 정서적 혼란이 생긴다고 보았다.

행동적 기법
- 행동적 기법은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으 하게 하여 그의 신념체계를 변화시키고 그 변화를 통해 혼란된 정서와 역기능적인 증상에서 벗어나 보다 생산적인 행동을 할수 있도록 돕는다.

사용예
- 행동적 숙제를 낸다.
- 내담자가 실생활에서 새로운 행동의 시도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함으로써 비능률적인 습관을 버리도록 한다.
- 만성적인 불안감을 경험하는 상황에 그대로 처하게 한 다음 그 불안한 감정을 장시간 경험해 보도록 권장한다.
- 일을 미루는 습관을 교정하기 위해서 당장 일을 착수도록 유도한다.
- 내담자가 이미 합리적인 인간이 된 것처럼 연출하여 매사에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시도해보라고 지시한다.

2) 벡의 인지행동상담
주요개념
가. 자동적 사고
- 벡은 스트레스 사건이나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 여러가지 환경적 자극이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고 이를 지속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적 자극을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감정이나 행동의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환경적 자극자체가 어떤 특정한 감정이나 행동반응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각과 심상을 불러일으키는 환경적 사건으로 말미암아 특정한 감정 및 행동 반응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인지를 \"자동적 사고\"라고 불렀다.자동적 사고는 환경적 사건에서 심리적 증상이 생기도록 매개하는 주요 인지적 요인이 된다.
- 특정한 심리적 장애나 증상은 자동적 사고의 내용에 의해서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예를들어 우울증을 경험하는 사람은 흔히 실패, 상실, 손실, 무능함 등의 주제와 관련된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내용의 자동적 사고를 갖는다. 그들은 \"자기자신, 자신의 미래, 자신의 주변환경\"에 대해 부정적인 사고를 하는 습관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 벡은 이를 \"인지삼제(Cognitive triad)\"라고 불렀다.

나. 인지적 오류
- 벡은 심리적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들이 가지고 있는 자동적 사고의 내용이 대부분 비현실적으로 왜곡되거나 과장된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주변의 사건이나 상황의 의미를 해석하는 정보처리과정에서 범하는 체계적인 잘못을 인지적 왜곡 또는 인지적 오류라고 불렀다.

벡이 제시하는 인지적 왜곡
1. 전부 아니면 전무의 사고(흑백논리, 이분법적 사고)
- 빨리 서두르면 10분 늦게라도 수업에 들어갈 수 있는데, 수업을 어차피 늦을 것 들어가면 뭐하냐
2. 긍정적인 면의 평가절하
-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지나치게 낮추어서 보는 것
3. 과장/축소
-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평가할때 비이성적으로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고 긍정적인 면을 최소화하는 것
4. 넘겨짚기
5. 과잉일반화(지나친 일반화)
- 현재상황의 한두부분에 근거하여 극단적으로 부정적 결론을 내리는 것.

상담과정
가. 상담목표
- 벡의 인지행동상담의 목표는 자동적 사고를 변화시키고 부적응적인 도식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사고를 시작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이다.

나. 상담 진행과정
첫째, 내담자가 호소하는 심리적 문제를 구체화하고 내담자와 상의하여 상담목표를 정한다.
둘째,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에 인지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내담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이때 인지상담의 기본원리를 내담자가 이해할 수있도록 설명한다.
셋째, 심리적 문제를 불러일으키는 환경자극과 자동적 사고를 내담자와 함께 탐색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생각을 들여다보게되고, 이러한 생각이 자신의 정서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게 된다.
넷째, 환경적 자극에 대한 내담자의 해석내용 즉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타당성을 검토해본다. 예를들어 중간고사에서 나쁜 점수를 받은 학생이 \"나는 형편없는 학생이고,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라는 자동적 사고를 하게 되면 우울증은 당연하게 찾아온다. 상담을 통해 학생은 자신의 자동적 사고가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다섯째, 환경적 자극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대안적 해석을 탐색해보고 이를 기존의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대치한다. 예를들어 내가 중간고사에서 성적이 나쁜 것은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가 공부하는 습관을 고친다면 다음에 좋은 성적을 거둘수 있을 것이고 좋은 직장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환경적 자극을 왜곡되게 지각하도록 만드는 보다 근원적인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내용을 탐색한다.
일곱째,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내용을 현실성, 합리성, 유용성 측면에서 검토한다.
여덟째, 더욱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적 인지를 탐색하여 내면화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담기법
가. 정서적 기법
- 개인과 세상의 관계에 대한 숨은 의미로서 자동적 사고는 정서경험을 통해 더욱 분명해진다. 정서도식을 활성화하여 자동적 사고를 이끌어내는 기법은 다음과 같다.

# 최근의 정서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게 한다.
- 최근의 경험을 생생하게 이야기하게 하면서 부정적 감정이 언급될때, \"그때 어떤 생각이 들었습니까? 그때 머리를 스쳐지나가는 생각이 무엇입니까? 그때 어떤 이미지가 떠올랐습니까?
# 심상기법을 사용하여 당시의 상황에 몰입시킨다.
- 눈을 감게하고 당시 상황을 현제시제로 말하도록 요청한다. 그때 그곳에서는...지금여기에서는...ㅣ
# 정서경험을 재현하기 위해 역할연기를 사용한다.
# 상담중에 일어나는 내담자의 정서변화에 주목한다.
- 내담자가 어떤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표정이 변하고 긴장된 빛이 역력하다면 \"방금 어떤 생각이 스쳐지나갔습니까?

나. 언어적 기법
-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자동적 사고가 현실적으로 타당한가를 평가하고 좀더 현실적인 생각을 하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질문
#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는 무엇입니까? 어떻게 해서 그런생각을 하게 되었습니까? 어떤 근거로 그것을 알 수 있습니까?
- 이런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근거가 약함을 깨닫게 한다.
# 대
  • 가격3,000
  • 페이지수5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