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아들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자리 잡아야 하고 다양한 소리기구와 악기를 동시에 갖추어야 하는데 이왕이면 연계학습을 위하여 언어 영역이나 비슷한 성격의 놀이 영역과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음악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나 움직임이 다른 영역에 방해되지 않도록 조용한 놀이 영역과는 분리시켜 배치해야 한다. 될 수 있으면 유아들이 신체표현도 병행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바닥에는 카펫보다는 마루를 깔아주어 바닥활동에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 그리고 별도의 악기장을 설치하여 악기장에 비치된 다양한 소리기구와 악기를 자유롭게 만져보고 두드려 봄으로써 유아 스스로 소리를 탐색하고 연주해 볼 수 있도록 음악기기의 사용에 대한 사전 소개가 바람직하다. 피아노에는 바퀴가 달려 있어서 상황과 활동내용에 따라 항상 유동적이어야 하고, 녹음된 음악 테이프, 노랫말 카드, 유아가 다루기 쉬운 적당한 크기의 간단한 리듬악기를 비롯한 여러 가지 시청각 자료들은 항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달린 카트 위에 놓여져 교수의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피아노나 디지털 피아노와 같은 악기는 물론 CD player 카세트와 같은 소리 시스템은 성공적인 음악교수의 기초 자료로서 슬라이드 프로젝트 그리고 VTR과 함께 갖추어져야 하며 특별히 카세트와 헤드폰은 유아가 직접 조작하고 들어볼 수 있도록 접촉이 손쉬운 장소에 놓여져야 한다.
다음은 음악 영역의 일차적 환경에 관하여 다루어 보자. 다른 어떤 곳보다도 유치원 내의 음악영역은 밝아야 한다. 또한 신선한 공기가 있어야 하므로 창문이 많은 공간에 자리 잡아야 하고 적당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에 무리가 없는 장소이어야 한다. 또한 벽면이 유아들을 매혹시킬 수 있는 밝은 색으로 꾸며져야 하며 벽면이나 융판과 게시판을 이용하여 악보나 아이콘 악보(브루너가 제시하듯 새나 과일모양 등의 상징적인 그림으로 그려진 악보)와 음악 관련 포스터 등이 다양하게 전시되어야 한다. 만약 실제 악기의 구입이 어려울 경우에는, 실제 악기와 유사하게 만든 것이나 악기를 찍어놓은 사진자료의 활용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교사에 의한 엄격한 규제보다는 서로 격려하고, 협조하는 분위기에서 유아 스스로 악기나 소리기구의 사용방법을 익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소리의 성질(세기, 고저, 장단, 음색)을 이해하고 실제 음악활동에 응ㅇ요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소리기구나 악기(예: 북, 장고, 징, 꽹과리, 피아노, 신디사이저, 오토하프, 바이올린, 피리, 마라카스, 소리상자, 차임, 멜로디언, 기로 등)를 비치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전시를 주(主) 목적으로 삼지 말고 실제로 유아들이 직접 만져서 소리를 내 볼 수 있도록 악기설치방법이나 위치, 사용방법 등을 유아의 입장에서 세밀히 검토하고 배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금주의 악기’ 코너를 만들어 3-5개 정도의 악기를 돌아가며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여 소개하고 노래지도나 율동지도, 감상지도 그리고 배경음악 사용을 미리 정해진 금주의 악기에
다음은 음악 영역의 일차적 환경에 관하여 다루어 보자. 다른 어떤 곳보다도 유치원 내의 음악영역은 밝아야 한다. 또한 신선한 공기가 있어야 하므로 창문이 많은 공간에 자리 잡아야 하고 적당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에 무리가 없는 장소이어야 한다. 또한 벽면이 유아들을 매혹시킬 수 있는 밝은 색으로 꾸며져야 하며 벽면이나 융판과 게시판을 이용하여 악보나 아이콘 악보(브루너가 제시하듯 새나 과일모양 등의 상징적인 그림으로 그려진 악보)와 음악 관련 포스터 등이 다양하게 전시되어야 한다. 만약 실제 악기의 구입이 어려울 경우에는, 실제 악기와 유사하게 만든 것이나 악기를 찍어놓은 사진자료의 활용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교사에 의한 엄격한 규제보다는 서로 격려하고, 협조하는 분위기에서 유아 스스로 악기나 소리기구의 사용방법을 익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소리의 성질(세기, 고저, 장단, 음색)을 이해하고 실제 음악활동에 응ㅇ요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소리기구나 악기(예: 북, 장고, 징, 꽹과리, 피아노, 신디사이저, 오토하프, 바이올린, 피리, 마라카스, 소리상자, 차임, 멜로디언, 기로 등)를 비치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전시를 주(主) 목적으로 삼지 말고 실제로 유아들이 직접 만져서 소리를 내 볼 수 있도록 악기설치방법이나 위치, 사용방법 등을 유아의 입장에서 세밀히 검토하고 배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금주의 악기’ 코너를 만들어 3-5개 정도의 악기를 돌아가며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여 소개하고 노래지도나 율동지도, 감상지도 그리고 배경음악 사용을 미리 정해진 금주의 악기에
추천자료
유아놀이의 본질
유아놀이지도 게임활동계획안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 방법
원게임 만3세 동물 동물의종류 소그룹활동 TC안 유아놀이지도활동계획안 동물의자뺏기
유아놀이지도 - 탐색놀이활동
유아음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중요성,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의미와 필요성, 유아국...
[유아음악교육]유아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지도방법
[유아음악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음악교육]유아 음악교육의 의의, 유아 음악교육의 중...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유아 음악학습이론, 지도방법
[유아놀이지도-독후감] 딥스를 읽고… _ 버지니아 M. 액슬린 저
유아전통놀이 지도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이용한 유아미술놀이]
[영유아놀이지도] 유아들을 관찰하면서 놀이가 확장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만3세 유아의 흥...
보육실습, 유아놀이 및 일과지도(이야기나누기, 동화, 동시, 동극) PPT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