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환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환경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습을 촉진하는 환경구성
2. 영유아동발달과 환경과의 관계
3. 발달 지원적 환경구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필요로 한다. 많은 자폐성 영유아들이 특정 음식만을 고집하거나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편식 형태를 나타내는 데다, 밤새 울거나 불을 꺼도 오랜 시간을 혼자 깨어있는 등의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기 때문에 적절하고 충분한 영양과 수면의 중요성은 거듭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자폐성 영유아의 영양 및 수면을 위해 권장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동의 편식이 지속적이어서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소 섭취를 적절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문의사나 약사와 상의하여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 연구에 의하면, 비타민의 적절한 섭취가 상동행동의 감소와 언어행동의 증가와 같은 긍정적 행동결과를 나타냈다는 보고가 있다 (Rimland, 1973). 또한, 적절한 영양소의 섭취는 영유아동의 식욕을 회복시켜 이전에 거부하던 음식을 다시 섭취하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라면이나 햄버거 등의 인스턴트 음식, 콜라나 사이다 등의 첨가물이 포함된 음료, 많은 양의 초콜릿과 같이 지나치게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 농약이나 화학비료 함유가 많다고 여겨지는 음식 등은 절대 삼가한다. 연구에 의하면, 지나치게 많은 양의 우유섭취도 자폐성 영유아에게 카세인(casein)이라는 성분이 영향을 미쳐 자폐성 행동양상을 더욱 강화시킨다는 지적이 있다(Reichelt, 1990). 또한, 씹는 운동은 뇌 발달촉진에 도움이 되므로, 다른 음식은 먹지 않고 유동식만 먹는 경우에도 전문가와 상의하여 적절한 식사습관으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가능하면 무공해 농법으로 생산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농약이나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로부터 영유아동을 보호하는 노력이 바람직하다. 넷째, 밤 9시 이후에는 영유아동이 수면에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낮 동안 감각자극놀이활동을 많이 하고, 가족이 밤늦게 까지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등의 시청시간을 갖지 않도록 한다. 밤늦게 까지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등을 시청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 시각이나 청각에 있어서 과다선택성의 특징이 있는 자폐성 영유아동에게는 매우 민감한 자극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디오나 텔레비전 등은 발작이나 신경장애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를 방출하여 영유아동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쿠마루 시노부, 1991). 다섯째, 잠자기 전 영유아에게 충분한 애정표현과 긍정적 기대를 전달함으로써, 영유아동이 심리적 안정상태에서 충분한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심리적 안정감과 충분한 애정을 받고 있다는 신뢰감은 영유아동의 뇌, 면역계, 내분비계와 연결되어,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분비 및 문제 행동 해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Blalock, 1997).
참고문헌
김기채, 도쿠마루 시노부, 전파는 위험하지 않은가, 전파과학사, 1991
박신자(2000), 심리학의 이해, 형설출판사
임창재(1999), 교육심리학, 서울 : 학지사
최정훈 외(1998), 인간행동의 이해, 법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8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