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입
정착
문제인식
계획
관찰 및 탐색
정착
평가
차시예고
※ 판서계획
※ 본 차시 학습 평가
정착
문제인식
계획
관찰 및 탐색
정착
평가
차시예고
※ 판서계획
※ 본 차시 학습 평가
본문내용
.
T. 가장 아래 부분은 구부 라고 불려요. 구부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Ss. 화면을 본다.
S1. 머리, 몸통, 팔다리요.
S2. 머리, 팔, 다리요.
S1. 머리요.
S2. 고리요.
S1. 어디 걸려구요.
S2. 실에 매달아서 걸려구요.
Ss. 설명을 듣는다.
S1. 빨간 물이 들어있어요.
S2. 빨간 공이 들어있어요.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정착
평가
실험계획
실험실행
평가 및 정리
T. 구부에는 관으로 올라갈 빨간 물이 들어있어요. 눈금부분의 눈금은 큰 눈금과 작은 눈금으로 구성되어있어요. 여러분이 쓰는 자처럼 큰 눈금 안에는 작은 눈금이 여러 개 들어있고, 정 가운데에는 중간 길이의 눈금이 있어서 읽기 편하게 되어있어요. 큰 눈금 하나가 10도를 나타내고 작은 눈금 하나가 1도를 나타냅니다.
T. 우리는 기온을 재려고 온도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부에 손을 대서는 안되요. 그리고 온도계는 표면이 둥글기 때문에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아래에서 올려다보면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어요. 그래서 온도계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기 위해선 눈의 높이와 온도계의 눈금이 수평이 되어야 해요.
T. 눈과 눈금이 수평일 때 보이는 눈금 부분이 이렇다면, 주어진 눈금을 단위를 붙여 직접 읽어볼까요?
T. 그런데 항상 눈금에 딱 맞게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다음과 같은 사진에서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T. 눈금 사이에 있을 때에는 눈금 사이를 눈대중으로 10개를 나눈 후 읽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두 온도는 대략 얼마정도 될까요?
T. 모두 온도계 구조와 사용법을 익혔으니 기온을 재 보도록 합시다. 선생님이 우선 찬물에 온도계를 담궈뒀어요. 물에 온도계를 담그면 뭘 재는 걸까요?
Ss. 설명을 듣는다.
Ss. 설명을 듣는다.
S1. 섭씨 15도요.
S2. 15도요.
S1. 왼쪽은 26.3이요
S2. 오른쪽은 26.9요.
S1. 대충 눈어림으로 읽습니다.
S2. 찍습니다.
Ss. 물의 온도요.
7\'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차시
예고
다음 차시 내용 학습
T. 그렇다면 기온을 잴 때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T. 선생님이 물에서 꺼낸 후 닦아서 여러분에게 나누어 줄 거에요. 물이 기온보다 차가우니까, 공기중에 놔두면 온도계는 어떻게 될까요?
T. 온도계로 기온을 잴 때 손으로 잡고 잰다면 어떤 일이 있을까요?
T. 스탠드에 실로 온도계를 고정한 후 온도계의 눈금에 멈추어졌을 때 그때 눈금을 읽어보도록 합시다. 온도계는 떨어지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실로 단단히 고정해야해요.
T. 실험이 끝났다면 실험관찰 52쪽의 문항과 실험결과를 3분동안 기입해봅시다.
T. 선생님과 함께 답을 맞춰봅시다.
T. 각 모둠별로 실험했을 때, 기온은 몇 도로 측정되었나요?
T. 지금 교실의 기온을 기준으로 생각해봅시다. 그렇다면 선생님이 긴 팔을 입고 있던 독일은 기온이 몇도 정도
T. 가장 아래 부분은 구부 라고 불려요. 구부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Ss. 화면을 본다.
S1. 머리, 몸통, 팔다리요.
S2. 머리, 팔, 다리요.
S1. 머리요.
S2. 고리요.
S1. 어디 걸려구요.
S2. 실에 매달아서 걸려구요.
Ss. 설명을 듣는다.
S1. 빨간 물이 들어있어요.
S2. 빨간 공이 들어있어요.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정착
평가
실험계획
실험실행
평가 및 정리
T. 구부에는 관으로 올라갈 빨간 물이 들어있어요. 눈금부분의 눈금은 큰 눈금과 작은 눈금으로 구성되어있어요. 여러분이 쓰는 자처럼 큰 눈금 안에는 작은 눈금이 여러 개 들어있고, 정 가운데에는 중간 길이의 눈금이 있어서 읽기 편하게 되어있어요. 큰 눈금 하나가 10도를 나타내고 작은 눈금 하나가 1도를 나타냅니다.
T. 우리는 기온을 재려고 온도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부에 손을 대서는 안되요. 그리고 온도계는 표면이 둥글기 때문에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아래에서 올려다보면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어요. 그래서 온도계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기 위해선 눈의 높이와 온도계의 눈금이 수평이 되어야 해요.
T. 눈과 눈금이 수평일 때 보이는 눈금 부분이 이렇다면, 주어진 눈금을 단위를 붙여 직접 읽어볼까요?
T. 그런데 항상 눈금에 딱 맞게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다음과 같은 사진에서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T. 눈금 사이에 있을 때에는 눈금 사이를 눈대중으로 10개를 나눈 후 읽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두 온도는 대략 얼마정도 될까요?
T. 모두 온도계 구조와 사용법을 익혔으니 기온을 재 보도록 합시다. 선생님이 우선 찬물에 온도계를 담궈뒀어요. 물에 온도계를 담그면 뭘 재는 걸까요?
Ss. 설명을 듣는다.
Ss. 설명을 듣는다.
S1. 섭씨 15도요.
S2. 15도요.
S1. 왼쪽은 26.3이요
S2. 오른쪽은 26.9요.
S1. 대충 눈어림으로 읽습니다.
S2. 찍습니다.
Ss. 물의 온도요.
7\'
교 수 학 습 과 정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반응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차시
예고
다음 차시 내용 학습
T. 그렇다면 기온을 잴 때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T. 선생님이 물에서 꺼낸 후 닦아서 여러분에게 나누어 줄 거에요. 물이 기온보다 차가우니까, 공기중에 놔두면 온도계는 어떻게 될까요?
T. 온도계로 기온을 잴 때 손으로 잡고 잰다면 어떤 일이 있을까요?
T. 스탠드에 실로 온도계를 고정한 후 온도계의 눈금에 멈추어졌을 때 그때 눈금을 읽어보도록 합시다. 온도계는 떨어지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실로 단단히 고정해야해요.
T. 실험이 끝났다면 실험관찰 52쪽의 문항과 실험결과를 3분동안 기입해봅시다.
T. 선생님과 함께 답을 맞춰봅시다.
T. 각 모둠별로 실험했을 때, 기온은 몇 도로 측정되었나요?
T. 지금 교실의 기온을 기준으로 생각해봅시다. 그렇다면 선생님이 긴 팔을 입고 있던 독일은 기온이 몇도 정도
추천자료
초등학교 3학년 과학 지도안
초등 3학년 과학과 지도안 (약안)
초등과학수업안 3학년 2학기 `1.식물의 잎과 줄기`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실태,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지도중점과 지도내...
수업지도안-3학년)과학-4.날씨와 우리의생활-시간에따른기온의변화
수업지도안)3학년)과학-4.날씨와우리생활-구름을관찰해봅시다
3학년-과학-4.여러가지가루녹이기-가루를빨리녹이는방법
3학년 과학 우수 지도안-혼합물의 분리-알갱이 크기 차이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세안)
3학년 과학 우수 지도안-3.혼합물의 분리-물과 기름 분리하기(세안)
3학년 2학기 학부모공개수업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약안} (2/10)> 2. 동물의 세계 - 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