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Ⅰ.채만식의 생애
1. 연보
2. 작품 수
Ⅱ. 채만식의 작품세계와 주요작품
1. 1기 1923~1934년 <레디메이드 인생>
2. 2기 1934~1938년 <탁류> <태평천하>
3. 3기 1939~1945년 <패배자의 무덤> <여인전기>
4. 4기 1945~1920년 <논 이야기> <미스터 방> <민족의 죄의식>
Ⅲ. 채만식의 문학세계의 특징
1. 사회계층으로서의 중농층
2. 지적 그룹으로서의 동반자 그룹
3. 식민지현실에 대한 부정과 비판의식
4. 풍자와 아이러니
Ⅳ. 풍자문학
1. 개념
2. 양식
3. 아이러니와 풍자
4. 1930년대 풍자문학의 양상
5. 채만식 풍자문학의 양식
Ⅴ.동반자작가
1.성격
1) 외국의 동반자작가
(1)소련
(2)일본
2) 한국의 동반자작가
(1)유진오
(2)이효석
Ⅵ.「치숙」작품 분석
1. 서지사항
2. 줄거리
3. 구성
4. 인물 분석
1) 나
2) 아저씨
3) 아주머니
5. 배경
6. 시점
7. 기법적 특징
1) 구성
2) 아이러니
3) 풍자
8. 문체적 특징
1) 대화적 문체
2) 칭찬과 비난의 역전
3) 속어나 비어 사용
9. 제목과 주제 의식
Ⅶ. 평가
1. 문단의 평가
Ⅷ. 교과서 속의 치숙
1. 연보
2. 작품 수
Ⅱ. 채만식의 작품세계와 주요작품
1. 1기 1923~1934년 <레디메이드 인생>
2. 2기 1934~1938년 <탁류> <태평천하>
3. 3기 1939~1945년 <패배자의 무덤> <여인전기>
4. 4기 1945~1920년 <논 이야기> <미스터 방> <민족의 죄의식>
Ⅲ. 채만식의 문학세계의 특징
1. 사회계층으로서의 중농층
2. 지적 그룹으로서의 동반자 그룹
3. 식민지현실에 대한 부정과 비판의식
4. 풍자와 아이러니
Ⅳ. 풍자문학
1. 개념
2. 양식
3. 아이러니와 풍자
4. 1930년대 풍자문학의 양상
5. 채만식 풍자문학의 양식
Ⅴ.동반자작가
1.성격
1) 외국의 동반자작가
(1)소련
(2)일본
2) 한국의 동반자작가
(1)유진오
(2)이효석
Ⅵ.「치숙」작품 분석
1. 서지사항
2. 줄거리
3. 구성
4. 인물 분석
1) 나
2) 아저씨
3) 아주머니
5. 배경
6. 시점
7. 기법적 특징
1) 구성
2) 아이러니
3) 풍자
8. 문체적 특징
1) 대화적 문체
2) 칭찬과 비난의 역전
3) 속어나 비어 사용
9. 제목과 주제 의식
Ⅶ. 평가
1. 문단의 평가
Ⅷ. 교과서 속의 치숙
본문내용
모순을 은근히 찌르고 말한다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다.또한 풍자는 시대나 사회의 부조리와 악습, 폐단 등을 익살맞은 조소로써 공격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풍자는 현실을 비판하지만 직접적 공격이 아닌 웃음을 통한 우회적 방법이다.따라서 풍자문학은 작가가 적극적으로 현실을 비판할 수 없는 상황에 소극적으로나마 시대나 사회의 부정적인 면을 폭로하는 것이다.
풍자는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 사회와 모럴과 조직이 권위를 잃지 않고 잔존할 때 신사회의 모럴이나 조직인 반발과 공격적 태도를 취한다.
이에 소급하여 풍자의 특성을 유추해 본다면 “인간과 사회의 악덕, 불합리, 모순, 부조리를 지적하고 조소,비난,공격하여 일종의 반어적 효과를 거두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음한식,「채만식 소설의 풍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6~7쪽
2. 풍자에 사용되는 양식
풍자는 유사한 개념의 다양한 양식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풍자문학에 나타나는 의식구조에 대한 이해에 이르기 위해서는 풍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양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풍자에 사용되는 양식이라고 하는 것들은 유머(humor), 아이러니(irony), 위트(wit), 조소(ridicule), 조롱(sadonic), 냉소(cynicism), 역설(paradox) 등으로, 이것들은 근본적으로 풍자와는 다른 개념으로 풍자의 효과를 높이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특별히 유머란 말은 ‘익살스럽고 취미있는 농담’,‘익살스럽고도 풍자가 섞인 말이나 태도’라고 정의되며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유머의 본질은 ‘익살스러움’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유머에서 파생된 웃음은 순수하고 진실한 웃음이며 비웃음이나 냉소,자조의 웃음과는 차이가 있다.유머는 주체가 대상을 내려다보기는 하지만 위트, 아이러니와는 달리 그 대상에 대하여 적대감을 드러내지 않고 따뜻이 감싸주는 특징을 갖는다.
아이러니는 진술된 혹은 외면상의 내용과는 상의한 의미(때로는 반대되는 의미)를 제시하여 주는 언술의 한 유형이다.즉 말하여진 것과 의미되는 것 간에 차이를 갖는 것이 아이러니이며,그들 간의 차이가 청자와 화자에게서 웃음을 유발시킨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이때의 웃음은 풍자에서의 웃음과 같이 통쾌하고 시원스럽지 못하다.아이러니에서 파생되는 웃음은 그저 씁쓸한 쓴웃음 정도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아이어리는 표현의 형식에 있어서는 풍자의 태도처럼 공격적이긴 하지만 직설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태도를 갖고 있다.
위트는 지적 재담, 농담으로 순수한 형식적 웃음이며 지적이고 의지적이며 인공적인 것이다.위트는 말을 무기로 삼아 상대를 직설적으로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시치미를 떼고 있다가 아무도 상대하지 못한 독창적인 각도에서 상대의 허를 찌르는 마치 우리 삶에 있어서의 청량제와 같은 것이다. 음한식,「채만식 소설의 풍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10~12쪽
3. 아이러니와 풍자
아이러니는 그리스의 ‘에이론’에서 유래한 말이다. 에이론은 고대 그리스 희극에 등장하는 인물로 겉보기에는 약하고 몸집도 작지만 꾀가 있는 인물이다. 이에 비하여 알라존은 자기과시형의 허풍선이로서 힘은 세지만 꾀가 없는 우둔한 인물이다. 이 둘은 극중에서 늘 대립되지만 그 결과는 예상과 달리 에이론의 승리로 끝난다.겉보기에는 아무런 특별한 데가 없지만 속으로는 대단한 힘을 발휘하는 인물인 에이론의 뜻이 아이러니라는 추상명사에 살아남아 있다. 이러한 의미로부터 아이러니는 겉으로 나타난 말과 실질적은 의미 사이의 괴리라는 뜻을 담게 된 것이다. 양동희,「채만식 소설의 아이러니 구조 연구」,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2005,2쪽
아이러니는 사물을 파악하는 객관적 정신으로, 겉으로 드러난 사물의 외관과 감추어진 실제를, 거리를 두고 파악함으로써 사물을 공정하게 평가하는 인식방법이다. 또한 아이러니는 인생의 양면성을 밝히거나 진실을 왜곡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진실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아이어리는 재현적 예술인 문학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작가는 무엇인가를 말하면서도 그와 상반된 다른 어떤 것을 말하려고 한다. 이러한 서술 상황은 소설 텍스트 내에서 서술자가 서술대상을 피서술자에게 전달할 경우, 서술 대상에 대한 서술자의 진술이 실제로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이때 아이러니의 작가가 포착한 인생은 이중적이거나 왜곡된 현실을 드러낸다.
바람직한 의미에서 삶의 질서의 연속성, 즉 전통의 해체 시대에 그 환멸감을 웃음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풍자는 아이러니 양식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표면의 깊이, 모호함과 투명성의 양면을 공히 지녀야 하며, 우리들 주의를 내용인 면으로 돌리는 한편 형식면으로도 지탱해야 하는 아이러니의 양면성은 풍자와 일맥상통한다. 즉 환멸감을 웃음으로 표현하는 것은 달리 말하면 풍자 대상에 대한 공격성을 지니면서 한편으로 웃음의 힘으로써 대상에 대한 풍자 주체의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아이러니가 양면성을 지니는 것은 그것이 외관과 현실의 상반 또는 부조화를 요구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다른 조건들이 같은 상태에서는 대조가 크면 클수록 아이러니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이러니는 이와 같은 대조의 효과로 말미암아 희극적 요소는 아이러니의 형식상의 특성에 내재하게 된다. 이러한 희극적 요소가 공격성을 띨 때 풍자의 효과를 낳게 된다.
아이러니와 풍자 사이의 긴밀한 내적 연관 관계는 원형비평 이론가인 노드롭 프라이의 신화 이론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된다. 그에 따르면 아이러니와 풍자는 둘 다 겨울의 미토스에 해당하는 것들로 공통적 본질을 갖는다. 풍자는 무엇보다도 아이러니의 양식으로 나타나며, 그것은 공격적인 아이러니이자 공상 또는 그로테스크한 느낌, 부조리한 느낌에 근거를 둔 기지, 유머를 지닌 희극에 가까운 아이러니이다.한편 풍자와 아이러니가 겨울의 미토스에 위치하는 데서 암시받을 수 있는 바와 같이 풍자는 어떤 역사적 전환기에 등장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양동희,「채만식 소설의 아이러니 구조 연구」,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2005,9~10쪽
풍자는 상당 부분 아이러니에 의존하고 있기
풍자는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공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 사회와 모럴과 조직이 권위를 잃지 않고 잔존할 때 신사회의 모럴이나 조직인 반발과 공격적 태도를 취한다.
이에 소급하여 풍자의 특성을 유추해 본다면 “인간과 사회의 악덕, 불합리, 모순, 부조리를 지적하고 조소,비난,공격하여 일종의 반어적 효과를 거두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음한식,「채만식 소설의 풍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6~7쪽
2. 풍자에 사용되는 양식
풍자는 유사한 개념의 다양한 양식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풍자문학에 나타나는 의식구조에 대한 이해에 이르기 위해서는 풍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양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풍자에 사용되는 양식이라고 하는 것들은 유머(humor), 아이러니(irony), 위트(wit), 조소(ridicule), 조롱(sadonic), 냉소(cynicism), 역설(paradox) 등으로, 이것들은 근본적으로 풍자와는 다른 개념으로 풍자의 효과를 높이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특별히 유머란 말은 ‘익살스럽고 취미있는 농담’,‘익살스럽고도 풍자가 섞인 말이나 태도’라고 정의되며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유머의 본질은 ‘익살스러움’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유머에서 파생된 웃음은 순수하고 진실한 웃음이며 비웃음이나 냉소,자조의 웃음과는 차이가 있다.유머는 주체가 대상을 내려다보기는 하지만 위트, 아이러니와는 달리 그 대상에 대하여 적대감을 드러내지 않고 따뜻이 감싸주는 특징을 갖는다.
아이러니는 진술된 혹은 외면상의 내용과는 상의한 의미(때로는 반대되는 의미)를 제시하여 주는 언술의 한 유형이다.즉 말하여진 것과 의미되는 것 간에 차이를 갖는 것이 아이러니이며,그들 간의 차이가 청자와 화자에게서 웃음을 유발시킨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이때의 웃음은 풍자에서의 웃음과 같이 통쾌하고 시원스럽지 못하다.아이러니에서 파생되는 웃음은 그저 씁쓸한 쓴웃음 정도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아이어리는 표현의 형식에 있어서는 풍자의 태도처럼 공격적이긴 하지만 직설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태도를 갖고 있다.
위트는 지적 재담, 농담으로 순수한 형식적 웃음이며 지적이고 의지적이며 인공적인 것이다.위트는 말을 무기로 삼아 상대를 직설적으로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시치미를 떼고 있다가 아무도 상대하지 못한 독창적인 각도에서 상대의 허를 찌르는 마치 우리 삶에 있어서의 청량제와 같은 것이다. 음한식,「채만식 소설의 풍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10~12쪽
3. 아이러니와 풍자
아이러니는 그리스의 ‘에이론’에서 유래한 말이다. 에이론은 고대 그리스 희극에 등장하는 인물로 겉보기에는 약하고 몸집도 작지만 꾀가 있는 인물이다. 이에 비하여 알라존은 자기과시형의 허풍선이로서 힘은 세지만 꾀가 없는 우둔한 인물이다. 이 둘은 극중에서 늘 대립되지만 그 결과는 예상과 달리 에이론의 승리로 끝난다.겉보기에는 아무런 특별한 데가 없지만 속으로는 대단한 힘을 발휘하는 인물인 에이론의 뜻이 아이러니라는 추상명사에 살아남아 있다. 이러한 의미로부터 아이러니는 겉으로 나타난 말과 실질적은 의미 사이의 괴리라는 뜻을 담게 된 것이다. 양동희,「채만식 소설의 아이러니 구조 연구」,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2005,2쪽
아이러니는 사물을 파악하는 객관적 정신으로, 겉으로 드러난 사물의 외관과 감추어진 실제를, 거리를 두고 파악함으로써 사물을 공정하게 평가하는 인식방법이다. 또한 아이러니는 인생의 양면성을 밝히거나 진실을 왜곡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진실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아이어리는 재현적 예술인 문학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작가는 무엇인가를 말하면서도 그와 상반된 다른 어떤 것을 말하려고 한다. 이러한 서술 상황은 소설 텍스트 내에서 서술자가 서술대상을 피서술자에게 전달할 경우, 서술 대상에 대한 서술자의 진술이 실제로 다른 상황에서 발생한다. 이때 아이러니의 작가가 포착한 인생은 이중적이거나 왜곡된 현실을 드러낸다.
바람직한 의미에서 삶의 질서의 연속성, 즉 전통의 해체 시대에 그 환멸감을 웃음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풍자는 아이러니 양식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표면의 깊이, 모호함과 투명성의 양면을 공히 지녀야 하며, 우리들 주의를 내용인 면으로 돌리는 한편 형식면으로도 지탱해야 하는 아이러니의 양면성은 풍자와 일맥상통한다. 즉 환멸감을 웃음으로 표현하는 것은 달리 말하면 풍자 대상에 대한 공격성을 지니면서 한편으로 웃음의 힘으로써 대상에 대한 풍자 주체의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아이러니가 양면성을 지니는 것은 그것이 외관과 현실의 상반 또는 부조화를 요구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다른 조건들이 같은 상태에서는 대조가 크면 클수록 아이러니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이러니는 이와 같은 대조의 효과로 말미암아 희극적 요소는 아이러니의 형식상의 특성에 내재하게 된다. 이러한 희극적 요소가 공격성을 띨 때 풍자의 효과를 낳게 된다.
아이러니와 풍자 사이의 긴밀한 내적 연관 관계는 원형비평 이론가인 노드롭 프라이의 신화 이론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된다. 그에 따르면 아이러니와 풍자는 둘 다 겨울의 미토스에 해당하는 것들로 공통적 본질을 갖는다. 풍자는 무엇보다도 아이러니의 양식으로 나타나며, 그것은 공격적인 아이러니이자 공상 또는 그로테스크한 느낌, 부조리한 느낌에 근거를 둔 기지, 유머를 지닌 희극에 가까운 아이러니이다.한편 풍자와 아이러니가 겨울의 미토스에 위치하는 데서 암시받을 수 있는 바와 같이 풍자는 어떤 역사적 전환기에 등장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양동희,「채만식 소설의 아이러니 구조 연구」,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2005,9~10쪽
풍자는 상당 부분 아이러니에 의존하고 있기
추천자료
192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일반적 특징
김승옥 감상 -‘서울 &#8228; 1964년 겨울’을 통해 본 1960년대 문학 특성-
현대문학사 - 희곡(일제강점기 - 1990년대)
[1990년대 한국 문학][1990년대][한국 문학][문학][포스트모더니즘][리얼리즘][민족문학]1990...
[1950년대 한국 문학][1950년대][한국 문학][문학][모더니즘][실존주의]1950년대 한국 문학(...
[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한국 시문학]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 시 경향, 낭...
1945~1980년대 시문학사
1920년대 문학 절대주의와 신지식의 수용
1920년대 문학사와 염상섭
1970~1980년대 한국문학사
1950년대 전후문학 대표작 쑈리킴
근대소설의 변화와 2000년대 문학을 통해 알아본 앞으로 소설 모습
70년대 문학과 대중문화
1910년대 문학사 이광수, 최남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