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떤 사람이며, 나는 어떤 사람인가? 다 같은 사람으로 순은 성인으로 존경받는데, 나는 왜 그렇지 못한가?
-<수연(粹然)>: 순수하여 꾸밈이 없음
文王我師(문왕아사) 豈欺我哉(기기아재) 周公之道(주공지도) 大矣(대의)로다.
문왕아사 기기아재 주공지도 대의로다.
글월문, 임금왕, 나아, 스승사, 어찌기, 속일기, 어조사재, 두루주, 공변될공, 그것지, 말할도, 큰대, 어조사의
-<문왕아사기기아재(文王我師豈欺我哉)>: 주 나라 문왕은 나의 스승이신데, 어찌 나를 속이시겠는가?
-<주공지도대의(周公之道大矣)>: 주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을 단이라고 하는 주공이 나이 어린 조카를 보필하여 주 나라의 기틀을 잡아준 도리는 위대함
丘隅綿蠻(구우면만) 喚友鶯(환우앵)이 於止知其(어지지기) 所止(소지)니
구우면만 환우앵이 어지지기 소지하니,
언덕구, 모퉁이우, 이어질면, 오랑캐만, 부를환, 벗우, 꾀꼬리앵, 어조사어, 그칠지, 알지, 그기, 바소
-<구우면만환우앵(丘隅綿蠻喚友鶯)>: 나무숲이 무성하고 조용한 산 언덕이 줄줄이 뻗어 있는 데서 벗을 부르며 지저귀는 꾀꼬리들.
-<어지지기소지(於止知其所止)>: 그만두거나 머물러야 할 곳을 알고 그곳에서 멈춤.
天地中間(천지중간) 이 生(생)이 止善(지선) 줄 모소야?
천지중간 이내 생이 지선할 줄 모를소냐?
하늘천, 땅지, 가운데중, 사이간, 날생, 그칠지, 착할선
-<지선(至善)>: 최고의 선
丹山夜月(단산야월) 墮卵鳳(타란봉)이 以德知其(이덕지기) 覽德(남덕)니
단산야월 타란봉이 이덕지기 남덕하니
붉을단, 산산, 밤야, 달월, 떨어질타, 알란, 봉새봉, 써이, 덕덕, 알지, 그기, 볼람, 덕덕
-<단산야월타란봉(丹山夜月 墮卵鳳)>: 단산은 중국의 단혈산. 단산의 달밝은 밤에 알을 뚝 떨어뜨린 봉새.
-<이덕지기남덕(以德知其覽德)>: 그 덕으로 그 덕성스러움을 헤아림.
萬物之靈(만물지영) 이 몸이 覽德(남덕) 줄 모소냐?
만물지영 이내 몸이 남덕할 줄 모를소냐?
일만만, 물건물, 그것지, 신령영, 볼람, 덕덕
臥龍先生(와룡선생) 諸葛亮(제갈량)은 南陽(남양) 의 밧슬 갈며
와룡선생 제갈량은 남양땅에 밭을 갈며
누울와, 용룡, 먼서선, 날생, 모두제, 칡갈, 밝을량, 남녘남, 볕양
-<와룡(臥龍)>: 누워 있는 용이란 뜻으로, ①앞으로 큰 일을 할 사람의 비유(比喩ㆍ譬喩) ②때를 만나지 못한 큰 인물(人物)
-<제갈량(諸葛亮)>: 중국(中國) 삼국(三國) 시대(時代) 촉한(蜀漢)의 정치가(政治家). 자는 공명(孔明), 뛰어난 전략가(戰略家)
逐燕處士(축연처사) 陶淵明(도연명)은 北(북창) 아 술을 건너
축연처사 도연명은 북창 아래 술을 거러
쫓을축, 제비연, 곳처, 선비사, 질그릇도, 못연, 밝을명, 북녘북, 창창
-<도연명(陶淵明)>: 중국(中國) 진(晋)나라의 시인(詩人). 이름은 잠(潛). 일명 연명(淵明).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자(字)는 무량(无亮)
各得其志(각득기지) 을 즐겨 不求聞達(불구문달) 조흘시고.
각득기지 뜻을 즐겨 불구문달 좋을시고.
각각, 얻을득, 그기, 뜻지, 아니불, 구할구, 들을문, 통달할달
-<각득기지(各得其志)>: 각각 그 뜻을 얻어
-<불구문달(不求聞達)>: ①출세(出世)하여 이름이 세상(世上)에 드날리기를 바라지 않음 ②명예(名譽)를 구(求)하지 않음
陋巷簞瓢(누항단표) 자바다가 安貧(안빈)이나 여 보.
누항단표 잡아다가 안빈이나 하여 보세.
좁을누, 거리항, 대광주리단, 박표, 편안할안, 가난할빈
-<누항단표(陋巷簞瓢)>: 누항(陋巷)에서 사는 사람의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生活) 형편(形便)을 이르는 말
-<안빈(安貧)>: 가난하여도 평안(平安)히 지냄
平原食客(평원식객) 三千中(삼천중)의 毛遂自薦(모수자천) 우숩도.
평원식객 삼천 중에 모수자천 우습도다.
평평할평, 근원원, 먹을식, 손객, 셋삼, 일천천, 가운데중, 터럭모, 이를수, 스스로자, 천거할천
-<평원식객(平原食客)>: 중국 전국시대 조 나라 평원객의 문객
-<모수자천(毛遂自薦)>: 평원군의 식객이던 모수가 스스로 자신을 천거함
風蓑雨笠(풍사우립) 쳐 입고 負郭田(부곽전)을 가라 니
풍사우립 떨쳐입고 부곽전을 갈아내니
바람풍, 도롱이사, 비우, 우리립, 질부, 성곽곽, 밭전
-<풍사우립(風蓑雨笠)>: 바람막이 도롱이와 바 가릴 것
-<부곽전(負郭田)>: 성에서 가까운 밭. 좋은 밭.
遊說六國(유세육국) 蘇季子(소계자)의 腰佩黃金(요패황금) 불버랴?
유세육국 소계자의 요패황금 불워하랴?
놀유, 달랠세, 여섯육, 나라국, 차조기소, 끝계, 아들자, 허리요, 찰패, 누를황, 쇠금
-<소계자(蘇季子)>: 중국 전국시대 달변가 소진(蘇秦)
竹裏獨坐(죽리독좌) 彈琴(탄금)니 王摩詰(왕마힐)이 故人(고인)이오.
죽리독좌 탄금하니 왕마힐이 고인이오.
대나무죽, 속리, 홀로독, 앉을좌, 튀길탄, 거문고금, 임금왕, 갈마, 물을힐, 연고고, 사람인
-<죽리독좌(竹籬獨坐)>: 대나무 숲 속에 혼자 앉아있음
-<왕마힐(王摩詰)>: 당 나라 시인 왕유(王維)
川邊盡日(천변진일) 訪花(방화)니 程明道(정명도)가 賢師(현사)로다.
천변진일 방화하니 정명도가 현사로다.
내천, 가변, 다할진, 날일, 찾을방, 꽃화, 단위정, 밝을명, 말할도, 어질현, 스승사
-<천변진일방화(川邊盡日訪花)>: 시냇가에서 해가 지도록 꽃을 구경함
-<정명도(程明道)>: 송 나라 유학자 정호(程顥)
書不盡意(서불진의) 圖不盡情(도불진정) 이 事業(사업) 뉘 알소냐?
서불진의 도불진정 이내 사업 뉘 알소냐?
글서, 아니불, 다할진, 뜻의, 그림도, 아니불, 다할진, 뜻정, 일사, 업업
-<서불진의(書不盡意) 도불진정(圖不盡情)>: 글은 아무리 잘 표현하려 해도 뜻을 다 펴지 못하며, 그림은 아무리 잘 그려도 그 정을 다 드러내지 못함
仲長統(중장통) 樂志論(낙지론)을 我亦私淑(아역사숙) 여셔라.
중장통의 낙지론을 아역사숙 하자꾸나.
버금중, 길장, 큰줄기통, 즐거울락, 뜻지, 논할론, 나아, 또역, 사사로울사, 맑을숙
-<중장통(仲長統)>: 중국 한 나라의 지사
夢漢零稿에서
-<수연(粹然)>: 순수하여 꾸밈이 없음
文王我師(문왕아사) 豈欺我哉(기기아재) 周公之道(주공지도) 大矣(대의)로다.
문왕아사 기기아재 주공지도 대의로다.
글월문, 임금왕, 나아, 스승사, 어찌기, 속일기, 어조사재, 두루주, 공변될공, 그것지, 말할도, 큰대, 어조사의
-<문왕아사기기아재(文王我師豈欺我哉)>: 주 나라 문왕은 나의 스승이신데, 어찌 나를 속이시겠는가?
-<주공지도대의(周公之道大矣)>: 주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을 단이라고 하는 주공이 나이 어린 조카를 보필하여 주 나라의 기틀을 잡아준 도리는 위대함
丘隅綿蠻(구우면만) 喚友鶯(환우앵)이 於止知其(어지지기) 所止(소지)니
구우면만 환우앵이 어지지기 소지하니,
언덕구, 모퉁이우, 이어질면, 오랑캐만, 부를환, 벗우, 꾀꼬리앵, 어조사어, 그칠지, 알지, 그기, 바소
-<구우면만환우앵(丘隅綿蠻喚友鶯)>: 나무숲이 무성하고 조용한 산 언덕이 줄줄이 뻗어 있는 데서 벗을 부르며 지저귀는 꾀꼬리들.
-<어지지기소지(於止知其所止)>: 그만두거나 머물러야 할 곳을 알고 그곳에서 멈춤.
天地中間(천지중간) 이 生(생)이 止善(지선) 줄 모소야?
천지중간 이내 생이 지선할 줄 모를소냐?
하늘천, 땅지, 가운데중, 사이간, 날생, 그칠지, 착할선
-<지선(至善)>: 최고의 선
丹山夜月(단산야월) 墮卵鳳(타란봉)이 以德知其(이덕지기) 覽德(남덕)니
단산야월 타란봉이 이덕지기 남덕하니
붉을단, 산산, 밤야, 달월, 떨어질타, 알란, 봉새봉, 써이, 덕덕, 알지, 그기, 볼람, 덕덕
-<단산야월타란봉(丹山夜月 墮卵鳳)>: 단산은 중국의 단혈산. 단산의 달밝은 밤에 알을 뚝 떨어뜨린 봉새.
-<이덕지기남덕(以德知其覽德)>: 그 덕으로 그 덕성스러움을 헤아림.
萬物之靈(만물지영) 이 몸이 覽德(남덕) 줄 모소냐?
만물지영 이내 몸이 남덕할 줄 모를소냐?
일만만, 물건물, 그것지, 신령영, 볼람, 덕덕
臥龍先生(와룡선생) 諸葛亮(제갈량)은 南陽(남양) 의 밧슬 갈며
와룡선생 제갈량은 남양땅에 밭을 갈며
누울와, 용룡, 먼서선, 날생, 모두제, 칡갈, 밝을량, 남녘남, 볕양
-<와룡(臥龍)>: 누워 있는 용이란 뜻으로, ①앞으로 큰 일을 할 사람의 비유(比喩ㆍ譬喩) ②때를 만나지 못한 큰 인물(人物)
-<제갈량(諸葛亮)>: 중국(中國) 삼국(三國) 시대(時代) 촉한(蜀漢)의 정치가(政治家). 자는 공명(孔明), 뛰어난 전략가(戰略家)
逐燕處士(축연처사) 陶淵明(도연명)은 北(북창) 아 술을 건너
축연처사 도연명은 북창 아래 술을 거러
쫓을축, 제비연, 곳처, 선비사, 질그릇도, 못연, 밝을명, 북녘북, 창창
-<도연명(陶淵明)>: 중국(中國) 진(晋)나라의 시인(詩人). 이름은 잠(潛). 일명 연명(淵明).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자(字)는 무량(无亮)
各得其志(각득기지) 을 즐겨 不求聞達(불구문달) 조흘시고.
각득기지 뜻을 즐겨 불구문달 좋을시고.
각각, 얻을득, 그기, 뜻지, 아니불, 구할구, 들을문, 통달할달
-<각득기지(各得其志)>: 각각 그 뜻을 얻어
-<불구문달(不求聞達)>: ①출세(出世)하여 이름이 세상(世上)에 드날리기를 바라지 않음 ②명예(名譽)를 구(求)하지 않음
陋巷簞瓢(누항단표) 자바다가 安貧(안빈)이나 여 보.
누항단표 잡아다가 안빈이나 하여 보세.
좁을누, 거리항, 대광주리단, 박표, 편안할안, 가난할빈
-<누항단표(陋巷簞瓢)>: 누항(陋巷)에서 사는 사람의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生活) 형편(形便)을 이르는 말
-<안빈(安貧)>: 가난하여도 평안(平安)히 지냄
平原食客(평원식객) 三千中(삼천중)의 毛遂自薦(모수자천) 우숩도.
평원식객 삼천 중에 모수자천 우습도다.
평평할평, 근원원, 먹을식, 손객, 셋삼, 일천천, 가운데중, 터럭모, 이를수, 스스로자, 천거할천
-<평원식객(平原食客)>: 중국 전국시대 조 나라 평원객의 문객
-<모수자천(毛遂自薦)>: 평원군의 식객이던 모수가 스스로 자신을 천거함
風蓑雨笠(풍사우립) 쳐 입고 負郭田(부곽전)을 가라 니
풍사우립 떨쳐입고 부곽전을 갈아내니
바람풍, 도롱이사, 비우, 우리립, 질부, 성곽곽, 밭전
-<풍사우립(風蓑雨笠)>: 바람막이 도롱이와 바 가릴 것
-<부곽전(負郭田)>: 성에서 가까운 밭. 좋은 밭.
遊說六國(유세육국) 蘇季子(소계자)의 腰佩黃金(요패황금) 불버랴?
유세육국 소계자의 요패황금 불워하랴?
놀유, 달랠세, 여섯육, 나라국, 차조기소, 끝계, 아들자, 허리요, 찰패, 누를황, 쇠금
-<소계자(蘇季子)>: 중국 전국시대 달변가 소진(蘇秦)
竹裏獨坐(죽리독좌) 彈琴(탄금)니 王摩詰(왕마힐)이 故人(고인)이오.
죽리독좌 탄금하니 왕마힐이 고인이오.
대나무죽, 속리, 홀로독, 앉을좌, 튀길탄, 거문고금, 임금왕, 갈마, 물을힐, 연고고, 사람인
-<죽리독좌(竹籬獨坐)>: 대나무 숲 속에 혼자 앉아있음
-<왕마힐(王摩詰)>: 당 나라 시인 왕유(王維)
川邊盡日(천변진일) 訪花(방화)니 程明道(정명도)가 賢師(현사)로다.
천변진일 방화하니 정명도가 현사로다.
내천, 가변, 다할진, 날일, 찾을방, 꽃화, 단위정, 밝을명, 말할도, 어질현, 스승사
-<천변진일방화(川邊盡日訪花)>: 시냇가에서 해가 지도록 꽃을 구경함
-<정명도(程明道)>: 송 나라 유학자 정호(程顥)
書不盡意(서불진의) 圖不盡情(도불진정) 이 事業(사업) 뉘 알소냐?
서불진의 도불진정 이내 사업 뉘 알소냐?
글서, 아니불, 다할진, 뜻의, 그림도, 아니불, 다할진, 뜻정, 일사, 업업
-<서불진의(書不盡意) 도불진정(圖不盡情)>: 글은 아무리 잘 표현하려 해도 뜻을 다 펴지 못하며, 그림은 아무리 잘 그려도 그 정을 다 드러내지 못함
仲長統(중장통) 樂志論(낙지론)을 我亦私淑(아역사숙) 여셔라.
중장통의 낙지론을 아역사숙 하자꾸나.
버금중, 길장, 큰줄기통, 즐거울락, 뜻지, 논할론, 나아, 또역, 사사로울사, 맑을숙
-<중장통(仲長統)>: 중국 한 나라의 지사
夢漢零稿에서
추천자료
[법원][조선시대의 법원][법원의 권한][법원의 종류][헌법재판][법원의 재판][재판][조선시대...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시조]고려시대 시조 배열부전,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고려시대 시조 송인, 조선시대 시조 ...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건축역사] 조선시대 한옥의 이해 - 한옥의 개념, 특징(지역별 구분, 계층별 구분), 조선시대...
[한국문화사] 조선시대 의복사 - 옷, 의복, 조선시대 의복의 특징과 배경, 남성의 의복, 여성...
[한국문화사] 조선시대의 의복 - 옷, 의복,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복식금제), 남자의 의복,...
[한국문화사] 조선 시대 의복의 역사 - 의복, 옷의 기원, 조선시대 여성의 옷, 조선시대 남성...
[한국문화사] <조선시대 의복> 조선시대 의복의 특징과 남자 의복 및 여자 의복, 조선시대 수...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및 문화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고려시대의 문화, 조선시대의 문...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
조선후기 산문문학 -소설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국문소설, 조선시대 군담소설, 조선시대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