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력
-간호과정( 투약, 간호사정, 치료 및 식이,검사)
-간호진단

본문내용

bdomen supine and erect
(방사선 일반 촬영)
장 마비나 폐쇄 시 장내에 존재하는 가스유무 확인
Chest PA
(흉부촬영)
심장의 크기, 폐렴, 기흉, 혈흉, 기관지의 이상 유무(폐의 이상 유무)를 위해 검사
EKG
심방 및 심실의 비대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낭염, 약물의 영향, 전해질 대사의 이상, 인공 심박조율의 기능 확인
Abdomen supine and erect
(방사선 일반 촬영)
장 마비나 폐쇄 시 장내에 존재하는 가스유무 확인
4. 간호 과정 기록
▶간호 진단 (Nursing Diagnoses)
영역
분류
간호진단
영양
수화
구토 및 설사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 위험성
구토 및 설사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위험성
배설
위장계
질병 및 수술과 관련된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
지각/인지
인지
정보자원의 부족 관련된 지식부족(치료적 금식)
대응/스트레스 내성
외상 후 반응
환경변화 관련된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
안전/보호
신체손상
장기간 금식으로 인한 신체적 나약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진단
배액관 삽입(L-tube)과 관련된 불안
정의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막연한 불편감 혹은 두려움(근원을 알 수 없는); 위험을 예상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염려, 이것을 임박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계 신호이며 위협을 처리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게 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코에 붙어있는 테이프가 좀 불편한데...”
- “밥을 안 먹어서 어지러운 것 같은데 괜찮나요?”
객관적 자료
- L-tube 삽입 중
간호계획
대상자는 불안의 원인을 이해하고, 심한 불안을 나타내지 않는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대상자의 불안의 원인을 사정한다.
2.대상자가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어떤 불안을 가지고 있는지 묻고 주의 깊게 경청한다.
3.코 주변 피부를 사정하고 필요하다면 고정된 테이프를 교체하여 준다.
4.대상자에게 L-tube 치료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한다.
5.대상자에게 L-tube 치료에 따른 비경구적 영양법을 시행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1.L-tube 삽입으로 대상자는 건강 상태의 변화 혹은 위협을 느낄 수 있다.
2.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하여 이해하고 경청함으로써 지지와 보호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3.대상자가 불편해 하거나 걱정하는 문제를 개선시켜 줌으로써 신체적 요구를 충족하도록 한다.
4,5.대상자는 장의 압력을 감압시키고 폐색을 완하시키기 위해 L-tube를 삽입하였고, 비경구적 영양법으로 수분과 전해질 등을 공급하고 있다.
평가
대상자가 L-tube 치료에 대해 이해하고 불편한 곳 없이 괜찮다고 표현하였다.
간호진단
정보자원의 익숙하지 못함과 관련된 지식부족(치료적 금식)
정의
특정 주제와 관련된 인지적 정보가 부재 또는 결핍된 상태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언제까지 금식해야 하나요?”
“밥을 안 먹어서 어지러운거 같은데 괜찮나요?”
객관적 자료
이틀동안, L-tube제거 후에도 금식하고 계심.
간호계획
대상자는 치료적 금식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표현한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대상자의 치료적 금식에 대한 지식부족을 사정하기 위하여 알고 있는 것을 표현해 보라고 한다.
2.대상자에게 금식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3.금식으로 비경구적 영양법, 엠지 티엔에이주 페리 1440ml을 시행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4.I&O Check를 하면서 관찰함을 설명한다.
5.설명 후, 대상자가 금식에 대한 부가적인 질문할 수 있도록 시간을 제공하고 피드백을 준다.
1.대상자가 금식행위에 대하여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보충하여 설명하고, 잘못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2.금식은 위장염과 장폐색으로 인한 장의 감소된 연동운동 치유와 노폐물제거, 청결을 도움을 준다.
3.엠지 티엔에이주 페리 1440ml은 경구 또는 위장관 영양보급이 불가능 또는 불충분하거나 또는 제한되어 경정맥 영양공급을 실시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수분, 전해질, 아미노산 및 칼로리 보급한다.
4.I&O Check는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intake 와 output 을 측정하여 잠재적인 신체의 위험상태 및 영양 상태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게 한다.
5.대상자가 충분히 질문하고 피드백을 제공해 줌으로써 정보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돕는다.
평가
대상자가 치료적 금식을 해야함을 이해하고 협조적이다.
간호진단
장기간 금식으로 인한 신체적 나약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정의
신체송상을 유발시키는 낙상 가능성이 높은 상태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몇일 째 밥을 안먹었더니 힘이 없고 쓰러질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간호계획
-대상자의 보호자는 상주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대상자의 낙상위험성을 사정한다.
2.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상주할 것을 교육한다.
3.침상안정 중인 대상자를 위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수면 시 또는 야간에는 꼭 side rail을 올려주고 side rail 사이에 낙상 방지판을 적용할 것을 교육한다.
4.장기간 금식과 유동식으로 쇠약감이 온 대상자에게 연식을 섭취하도록 권한다.
5.처방된 판비콤푸 주 2ml를 투여한다.
6.보호자는 침상주변을 잘 정리하여 대상자가 이동을 요구할 시 보행 및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교육한다.
1.대상자는 위 절제술관과 금식으로 인하여 신체적 쇠약감이 나타났으므로 사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간호수행을 세울 수 있다.
2.대상자의 보호자가 상주함으로써 환자의 안위를 확보하여 낙상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3.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침상난간이 내려가 있을 경우, side rail을 올림으로써 대상자의 평형을 지지하고 보조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음을 교육할 수 있다.
4.당질과 물로만 되어 있어 영양소가 부족한 유동식에 비하여 열량과 영양소가 적절한 연식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대상자가 신체적 나약성에서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5.판비콤푸 주 2ml, 즉 비타민 B1을 투여하여 영양부족 및 체력저하를 개선한다.
6.정리가 잘 되지 않은 것도 낙상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평가
대상자의 가족이 상주 중이며 침상난간을 올리고 대상자의 식사를 돕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3.1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