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상부 호흡기계의 장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Ⅳ.상부 호흡기계의 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Ⅳ.상부 호흡기계의 장애

1. 여러 요인에 의한 장애
1) 비출혈 Epistaxis료.
#치료와 간호
2)비용종 Nasal polyps
3)코 성형술 Rhinoplasty
4)비강 내 이물질
5)폐쇄성 수면 중 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6)후두의 비감염성 장애
*호흡기 감염성 장애의 일반적 간호

2.감염성 질환
1)인플루엔자
2)비염
3)부비동염
4)인두염
5)편소선염과 아데노이드염
6)편도 주위 농양
7)후두염

-악성종양은 침윤과 전이에 의해 조직손상 및 감각기관의 장애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1)비강, 부비동의 암
2)두. 경부의 암

4.외상성 장애
1)안면외상

V. 하부 호흡기계의 장애
1.감염성 질환
1)급성 기관지염
2)폐렴
*폐렴의 위험요
3)폐결핵
4)폐농양
5)히스토플라스마증
2. 간질성 폐질환
1)유육종증
2)특발성 폐섬유증
3)직업성 폐질환

3. 폐혈관질환
1) 폐색전증
2)폐고혈압

4.늑막질환
1)건성 늑막염
2)늑막삼출
3)폐농흉

5.호흡부전증
1)급성 호흡부전
2)급성 호흡장애증후군

본문내용

색증이 나타나며 후두폐색이 일어나 사망할 수도 있다.
-맥관 신경증성 부종은 기도협착이나 기도폐쇄를 초래하는 응급상황으로 Epinephrine을
즉시 투여해야하며 Corticosteroid도 투여한다.
-기도유지를 위해 기관절개술이나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할 수도 있다.
-알레르기로 인한 경우라면 알레르기원을 찾고 원인 질환을 치료한다.
(4)후두 내 이물질
-음식물이나 음식 중의 뼈가 목 안으로 넘어가 후두에 걸리면 기도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 로 폐쇄되는데 전체 폐쇄의 경우는 질식 상태가 된다.
-작업 조중 입에 핀이나 못 등을 물고 있다가 부주의로 삼키거나 음식을 급하게 먹거나
이야기를 하면서 먹는 도중에 발생하기 쉽다.
-노인들은 치아가 좋지 않고 저작작용이 불충분하여 발생률이 높고, 진정제를 복용하는
대상자는 기도반사의 장애로 흔히 발생한다.
-이물질이 흡입된 사람은 곧 이어 질식하게 된다.
-만일 기도가 부분적으로 폐쇄되면 기침이나 숨막힘이 있으나 구개반사는 존재한다.
-기도 전체의 폐쇄는 즉각적인 Heimlich maneuver를 수행해야 한다.
-만일 이 방법이 효과가 없으면 윤상갑상연골절개술을 수행해야 한다.
*호흡기 감염성 장애의 일반적 간호
-침상안정, 적절한 수액요법, 영양, 감염전파 예방 등이 포함된다. 침상안정은 피로를 회 복시키고 휴식을 제공하며, 수분공급은 분비물을 묽게 하여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공기가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건조한 분비물은 점막의 섬모운동이나 기침으로 쉽게
제거되지 않고 결국 유스타키오관, 부비동, 기관이나 기관지 폐쇄를 초래한다.
-감염전파를 예방하도록 교육하고 또한 면역기능이 떨어진 대상자와 접촉해서는 안된다.
2.감염성 질환
1)인플루엔자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염력이 높은 유행성 급성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이다.
-흔히 폐렴이 발생된다.
-Influenza는 몇몇의 바이러스로 보통 A, B, C형이 관련된다.
①임상증상
-처음 1주일 이상 인후통, 기침, 비루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급성
증상이 나타난 후 1~2주일동안 피로감을 느낀다.
-심한 두통, 근육통, 발열, 오한, 피로, 허약, 식욕부진 등을 호소한다.
-인플루엔자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접종을 한다.
-만성 질환이나 면역력이 억제된 50세 이후의 성인에게 매년 접종하도록 권장한다.
②치료와 간호
-바이러스 감염은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다.
-항바이러스제제는 예방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제로는 zanamivir(Relenza), oseltamivir(Tamiflu)를 사용한다.
-항바이러스 제제는 바이러스를 호흡세포에 침투하게 하는 바이러스 효소인
neuraminidase를 억제하여 호흡기계에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예방한다.
-A, B형 인플루엔자의 증상이 시작된 후 24~48시간 이내에 투여하면 인플루엔자의 기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예방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항히스타민은 비루를 감소시킨다.
2)비염
-비강 점막의 염증으로 목과 부비동에 염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원인에 따라 급성 바이러스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비알레르기성 혈관운동성 비염,
약물성 비염 등으로 나눈다.
(1)원인
#알레르기성 비염
-흔히 초고열(hay fever)이라고도 하며, 특히 꽃가루와 곰팡이 같은 알레르기원에 대한 과민 반응에 의해 유발된다.
-주로 계절적으로 발생한다.
-만성비염은 계절적 패턴이 없을 때도 나타난다.
#약물성 비염
-비강점적이나 스프레이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cocaine을 만성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급성 바이러스성 비염
-감기 또는 코감기(coryza)라고 부르는 전영섬 질환으로, 감염된 대상자의 재채기나 기침을 통해 전파된다.
(2)임상증상
-감기는 증상이 나타난 후 2~3일에 가장 전염력이 있다.
-감기는 박테리아 감염이 없다면 자체적으로 조절된다.
-합병증은 면역이 억제된 사람이나 노인에게 종종 나타나고, 특히 사람이 많은 곳에서
일하거나 그룹으로 사는 곳에 거주할 때 자주 일어난다.
(3)치료와 간호
-증상을 완화시키고 감염전파를 예방하며 세균성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①약물요법
-약물은 항히스타민제와 점막울혈 제거제가 처방된다.
-현기증(vertigo), 고혈압, 소변 정체,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박테리아로 인한 비염의 경우는 항생제가 처방된다.
*비점적의 시행순서
-손을 씻는다.
-약물이 흘러들어가기 쉬운 자세들은 다음과 같다.
ㆍ의자에 앉아 머리를 뒤로 젖힌다.
ㆍ누운 자세에서 침대 위 가장자리에 머리를 걸쳐 신전시킨다.
ㆍ누운 자세에서 어깨 밑에 베개를 받쳐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
-머리를 옆으로 돌린다.
-1회 점적시 한쪽 비공에 3방울 이상 넣지 않는다.
-후비공에 약물이 도달하도록 머리를 뒤로 젖힌 자세를 3~5분 정도 유지하도록 한다.
-약물 점적 10분이 지나서도 비울혈이 심하면 다른 약물을 점적한다.
-가장 흔히 사용하는 충혈제거제는 Oxymetazolin(Afrin 0.05%)과 Xylometazoline(Otrivin 0.1%)이 있다.
3)부비동염
-부비동 점막에 염증성 변화가 초래된 상태이며, 주 증상은 비루이다.
-비루의 특징은 양측성이며 화농성 혹은 점액성이다.
-전체 부비동이 침범된 경우를 범부비동염이라 한다.
-이환 빈도는 상악동, 전사골동, 전두동의 순이고 후사골동이나 접형동의 이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주로 그람양성균으로 streptococcus pneumonia, Haemophilus Influenza, Diplococcus, Bacteroides 등이다.
(1)임상증상
-증상은 비점막이 붉고 종창이 있으며 두통, 안병 압박감, 통증(머리를 숙이면 더 심해짐.), 침범 받은 부위 촉진시 압통, 미열, 기침. 화농성 혹은 혈액 섞인 분비물 등이다.
-염증이 있는 부비동의 위치에 따라 통증부위가 다르게 나타난다.
-항생제 사용으로 합병증은 흔하지 않으나 봉와직염, 농양, 뇌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2)치료와 간호
-적절한 항생제 투여, 자연 개구부를 통한 부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