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핵심 명심보감 (明心寶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기 쉬운 핵심 명심보감 (明心寶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계선편(繼善篇) ………………………………………………7
천명편(天命篇) ………………………………………………11
순명편(順名篇) ………………………………………………13
효행편(孝行篇) ………………………………………………14
정기편(正己篇) ………………………………………………15
안분편(安分篇) ………………………………………………20
존심편(存心篇) ………………………………………………21
계성편(戒性篇) ………………………………………………24
근학편(勤學篇) ………………………………………………26
훈자편(訓子篇) ………………………………………………28
성심편(省心篇)·상 …………………………………………29
성심편(省心篇)·하 …………………………………………36
입교편(立敎篇) ………………………………………………41
치정편(治政篇) ………………………………………………43
치가편(治家편) ………………………………………………44
안의편(安義篇) ………………………………………………생략
준례편(遵禮篇) ………………………………………………45
언어편(言語篇) ………………………………………………46
교우편(交友篇) ………………………………………………47
부행편(婦行篇) ………………………………………………생략
증보편(增補篇) ………………………………………………생략
팔반가(八反歌) ………………………………………………생략
효행편(孝行篇) 속편(續篇)…………………………………생략
염의편(廉義篇) ………………………………………………생략
권학편(勸學篇) ………………………………………………49

본문내용

인이 갖추어야 할 사덕(四德)을 설명하고 더불어 그 역할과 사명을 밝혀 놓고 있다.
기타 증보판의 경우, 앞의 내용을 보완하였거나, 추가 발췌해서 편찬하였다,
본 농축 명심보감에서는 권학편만 삽입했다.
명심보감이 널리 읽히게 된 것은, 옛날 우리의 서당교육에서 중요한 교재의 하나였다는 점과, 평범한 진리이자 우리들에게 삶의 지혜를 가르쳐 주었다는 점 등 일 것이다.
본 농축 명심보감은 지금시대에 다소 걸맞지 않는 부분들과 지나치게 길거나 중복성 있는 부분들은 생략하고 쉬우면서 귀감이 가는 금언들만 발췌 농축시킴으로서 고전을 처음 대하는 사람이 쉬우면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배려했다.
아무쪼록 본 농축 명심보감을 읽고 한문공부에 도움이 되에 논어를 위시하여 여러 동양 고전을 쉽게 접하는 발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며, 또한 성현들의 금언(金言)들을 좌우명(座右銘)으로 삼아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고, 선(善)을 꾸준히 베풀어 훌륭한 인격자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3.5. 소담 김무성
목차
계선편(繼善篇) ………………………………………………7
천명편(天命篇) ………………………………………………11
순명편(順名篇) ………………………………………………13
효행편(孝行篇) ………………………………………………14
정기편(正己篇) ………………………………………………15
안분편(安分篇) ………………………………………………20
존심편(存心篇) ………………………………………………21
계성편(戒性篇) ………………………………………………24
근학편(勤學篇) ………………………………………………26
훈자편(訓子篇) ………………………………………………28
성심편(省心篇)·상 …………………………………………··29
성심편(省心篇)·하 …………………………………………··36
입교편(立敎篇) ………………………………………………41
치정편(治政篇) ………………………………………………43
치가편(治家편) ………………………………………………44
안의편(安義篇) ………………………………………………생략
준례편(遵禮篇) ………………………………………………45
언어편(言語篇) ………………………………………………46
교우편(交友篇) ………………………………………………47
부행편(婦行篇) ………………………………………………생략
증보편(增補篇) ………………………………………………생략
팔반가(八反歌) ………………………………………………생략
효행편(孝行篇) 속편(續篇)…………………………………·생략
염의편(廉義篇) ………………………………………………생략
권학편(勸學篇) ………………………………………………49
繼善篇 계선편

子 曰爲善者 天報之以福 爲不善者 天報之以禍.
자 왈 위선자 천보지 이복 위불선자 천보지 이화.
譯解
공자가 말씀하시길, 善을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福으로서 보답하고, 善을 행하지 않는 자에게는 하늘이 禍로서 갚아준다.
도움말
子; 남자의 존칭, 여기서는 공자(孔子)의 높인 말, BC551-479, 이름은 구(丘), 자(字)는 중니(仲尼), 중국 춘추시대 말기 노(魯)나라 추읍(邑)에서 출생 (지금의 山東省), 인(仁)을 근본 사상으로 하는 윤리도덕을 주창(主唱)함,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의 편찬과 춘추(春秋)를 저술함. 석가모니, 예수와 더불어 세계 3대 성인으로 추앙되며 유학(儒學)의 시조(始祖). 유학은 동양에 사상과 정치 문화 교육 가정생활 처세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끼침. 왈(曰); 말씀 하시기를, ♣본 농축 명심보감 이하(以下) 문구에서는 “말씀 하시기를” 생략하고 “왈(曰)”로 표시하였음♣.
爲; …을 하다, …행하다. 以; …로서. 之; …하다, 동사화 하는 허사(虛詞). 報; 보답하다. 禍; 재앙.

漢昭烈 將終 勅後主 曰勿以善小而不爲 勿以惡小而爲之.
한소열 장종 칙후주 왈 물 이선소 이불위 물 이악소 이위지.
譯解
촉한 소열황제가 임종에 임하여, 후주에게 조칙을 내려 말하길, 善은 작다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惡은 작다하여 행하면 안 된다.
도움말
漢昭烈;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소열황제(昭烈皇帝), 성은 유(劉) 이름은 비(備). 자(字)는 현덕(玄德), 昭烈은 시호(諡號). 將終; 임종에 임하여. 勅; 조칙(詔勅) 임금이 내리는 글. 後主; 소열황제 아들, 이름은 선(禪), 어리석은 임금으로 제갈량이 죽은 후 위(魏)에 항복하여 촉한 망함. 勿; …은 안 된다, 금지사(禁止詞). 以;이유로.

莊子 曰一日 不念善 諸惡 皆自起.
장자 왈 일일 불념선 제악 개자기.
譯解
장자 왈, 하루라도 善을 생각하지 아니하면, 모든 惡이 모두 스스로 일어난다.
도움말
莊子; 이름은 주(周), 호(號)는 남화진인(南華眞人),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송(宋)나라 사람, 노자(老子)의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계승 발전시켜 노장사상(老莊思想)을 이룸, 不念; 생각하지 않으면. 諸惡; 모든 악. 皆; 모두, 다.

太公 曰見善如渴 聞惡如聾 又曰善事 須貪 惡事 莫樂.
태공 왈 견선여갈 문악여롱 우왈 선사 수탐 악사 막락.
譯解
태공 왈, 善을 보면 목마른 듯 하고, 惡을 들으면 귀머거리같이 하라. 또 말씀하시길, 善한 일은 모름지기 탐내고, 惡한 일은 즐겨하지 마라.
도움말
太公; 강태공(姜太公), 성은 강(姜) 이름은 여상(呂尙), 여망(呂望)이라고도 함, 주(周)나라 건국 공신, 위수(渭水)가에서 낚시하다 서백(西伯)[후에 문왕(文王)으로 추대됨]에게 기용(起用)되어 군사(軍師)가 되었다. 문왕이 죽은 후 그 아들 무왕(武王)을 도와 은(殷)나라 폭군(暴君) 주(紂)를 멸하고 주왕조(周王朝)를 창건함, 그 공로로 제(齊)나라 제후로 봉하여짐, 정치가이면서 병략가임, 저서로는 육도삼략(六韜三略)이 있음. 如渴; 목마른 듯이 서두르다. 如聾; 귀먹은 듯이. 須; 모름지기, 마땅히. 莫; 말다, 없다.

馬援 曰終身行善 善猶不足 一日行惡 惡自有餘.
마원 왈 종신행선 선유부족 일일행악 악자유여.
譯解
마원 왈, 평생 善을 행하여도 善은 오히려 부족하고, 하루만 惡을 행하여도 惡은 스스로 남음이 있다.
도움말
馬援;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때 장군(將軍), 자(字)는 문연(文淵), 티

키워드

동양,   고전,   명심보감,   공자,   논어,   동양고전의이해,   한자,   정리,   중국,   문화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