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처용랑 망해사 설화 소개
3. 처용랑 망해사
3-1. 처용랑 망해사 내용 소개
3-2. 처용랑 망해사 설화의 비유적 의미
3-3.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문학적 성격
3-4. 당대인들의 상상력
4.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5. 나오는 말
2. 처용랑 망해사 설화 소개
3. 처용랑 망해사
3-1. 처용랑 망해사 내용 소개
3-2. 처용랑 망해사 설화의 비유적 의미
3-3.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문학적 성격
3-4. 당대인들의 상상력
4.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해석
5. 나오는 말
본문내용
한다. 그렇다면 이 또한 지위의 부여를 통해 신이한 존재로 하여금 국왕을 위해 봉사케 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헌강왕의 권위와 위력 앞에 각 지역의 동해용의 동, 남산신은 남, 금강령의 북악신은 북에 해당하는 방위를 가진 지역의 신이다. 동례전의 지신은 알 수 없으나 설화의 구조가 사방신의 등장으로 유추할 수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서쪽에 해당하는 지역의 신으로 처용처럼 궁내에 들어와 왕정을 보좌한 것이 아닐까 한다.
호국 신들은 감복하거나 봉사하게 되었고, 헌강왕은 제신들의 상위에 군림하는 신성함과 종교적인 지위를 확보한 것이다.
지금까지 헌강왕과 제신들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독 헌강왕 앞에 산신 지신들이 나타나고 남산신의 춤은 그만이 볼 수 있었다는 것은 헌강왕의 신이한 능력과 관련이 있다. 헌강왕은 신령들과 교통할 수 있는 샤만적 능력을 소유하였으며, 나아가 국왕의 권위를 통하여 신이한 존재들을 포용하고 감복시키며 도움을 얻어내기에 이른다. 왕은 망해사를 매개로 동해용의 감복을 얻어냈으며, 민간신앙의 주제자로 귀신을 다룰 수 있는 처용에게는 급간의 지위와 혼인을 통해, 동례전의 지신에게는 급간의 위계로, 각기 제신들로부터 보좌를 이끌어내고 있다. 처용과 비형의 신비한 능력이 각기 범상치 않은 출생에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헌강왕의 권위와 능력은 경문왕의 혈통을 이은 인물이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보충> 처용랑의 성격
첫째, 처용랑은 랑으로 호칭되고 있다. 이 랑이라는 호칭은 일반적으로 젊은 사내를 부르는데 사용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삼국유사나 사기에서 일반 청년을 랑이라고 칭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화랑을 높여 부르는 경칭으로, 혹은 신이한 능력을 가진 인물에게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oo랑의 형태로 이름에 호칭이 붙은 화랑으로는 무관랑 설원랑 미시랑 근랑 호세랑 거열랑 실처랑 보동랑 죽지랑(죽만랑) 부례랑 준영랑(영랑) 술랑 남랑 기파랑 요원랑 예흔랑 숙종랑 효종랑 난랑 원랑 등 대다수를 차지하며, 비록 이름에는 랑이 없지만 본문 중에 랑으로 부른 경우는 거진 김유신 명기 안락 김응렴 등의 경우가 보인다. 사다함 김흠춘(순) 김령윤 관창 문노 안상 계원 등 칭호가 붙지 않은 예도 있으나 이는 랑이 생략되었거나 구참공처럼 다른 직함, 경칭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화랑의 호칭은 oo랑의 형태가 기본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낭도의 경우에는 랑의 호칭을 붙이지 않았다. 그런데 화랑인지 확실히 알 수 없는 사람 가운데에서도 랑의 호칭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비형랑 장춘랑 파랑 처용랑 연오랑 선종랑 등이 그렇다. 그런데 이들은 자장율사의 출가 전 이름이었던 선종랑은 제외하더라도 각기 죽은 왕의 영혼이 낳은 아들, 전사한 영혼, 동해용의 아들, 해와 달의 정령이라서 신이함과 연관이 있다. 그밖에 울주천전리서석에서 보이는 oo랑의 형태도 이곳이 화랑들이 자주 출유하던 신성지역이라는 점에서 역시 종교적 신성함과 관련이 있다.
처용랑에 사용된 랑의 경우도 단순한 호칭이라기보다는 화랑, 또는 종교적 신이함과 관련된 특별한 지위를 의미하는 경칭으로 보아야 하겠다.
둘째, 이와 관련하여 밤늦도록 유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처용은 동경 밝은 달 아래 밤늦도록 유행하다가 돌아오고 있다. 처용의 유도 단순히 서울의 거리를 헤매고 다닌 것이 아니라 종교적 행위, 귀신과 관련된 활동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처용은 벽사의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처용은 역신을 춤과 노래로 물리쳤으며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그려 문에 붙여 벽사경진의 부적으로 삼았던 것이다. 가무로 역신을 물리친 처용의 행위는 헌강왕대의 독특한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넷째, 처용은 신이한 존재의 아들로 상정되고 있다. 처용은 동해용의 아들이라고 하였다. 이는 처용의 신이한 행적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힘을 범상치 않은 존재의 혈통에 의하여 부여받은 것으로 설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다섯째, 두 사람은 왕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관직을 보유하였다. 처용은 헌강왕을 따라 왕경에 와서 보좌왕정 하였으며 왕은 그에게 급간의 지위를 급간은 신라 관등의 제9위에 해당하며 6두품 이상만이 오를 수 있는 위계이다. 처용이 본래 6두품 출신의 왕경인이 아니라면, 지방출신의 인물로써 6두품에 해당하는 지위를 얻은 셈이다. 이는 그가 가진 신이한 능력에 대한 보상일 것이다. 한편 모죽지랑가의 작가이며 효소왕대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와 동례전 지신의 위계도 급간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런 인물들에게 주어지는 지위는 6두품의 급간직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하사하였다. 즉 귀신을 다루는 능력을 가진 처용은 관직을 가지고 등용되어 왕정에 참여하였다. 이것은 신이한 능력을 가진 자가 왕정에 참여함으로써 왕정의 권위를 높이는데 기여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3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문학적 성격
삼국유사가 쓰여 진 시기는 원나라와의 30년간의 기나긴 투쟁 끝에 원에 굴복하게 된 13세기였는데 이시기에는 원에 대항하여 민족자주의식이 대두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삼국유사의 전반적인 성격에는 이러한 민족자주의식과 초월적인 종교적입장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14수의 향가가 전해지는데 전반적으로 주술적인 면과 종교적 사상에 기인한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여기에는 모든 향가가 주술적, 종교적 목적으로 쓰여 졌다기 보다는 작가의 사상에 기반을 두어 선택되어진 작품들만 수록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옳다.
3-4 당대인들의 상상력
처용가뿐만 뿐만 아니라 당시에 쓰여 진 향가를 보면 그것을 향유한 계층의 정신세계를 알 수 있다. 처용랑 망해사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민속신앙과 불교적 종교관이 융합된 정신세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땅과 산과 물의 신들이 각각 등장하여 나라의 앞날을 경고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은 자연물에 정령이 있다는 믿음인 토테미즘적 사고관이 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 처용가에서도 처용이 역신에 대한 분노를 참아내고 용서하면서 유연하게 역신을
호국 신들은 감복하거나 봉사하게 되었고, 헌강왕은 제신들의 상위에 군림하는 신성함과 종교적인 지위를 확보한 것이다.
지금까지 헌강왕과 제신들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독 헌강왕 앞에 산신 지신들이 나타나고 남산신의 춤은 그만이 볼 수 있었다는 것은 헌강왕의 신이한 능력과 관련이 있다. 헌강왕은 신령들과 교통할 수 있는 샤만적 능력을 소유하였으며, 나아가 국왕의 권위를 통하여 신이한 존재들을 포용하고 감복시키며 도움을 얻어내기에 이른다. 왕은 망해사를 매개로 동해용의 감복을 얻어냈으며, 민간신앙의 주제자로 귀신을 다룰 수 있는 처용에게는 급간의 지위와 혼인을 통해, 동례전의 지신에게는 급간의 위계로, 각기 제신들로부터 보좌를 이끌어내고 있다. 처용과 비형의 신비한 능력이 각기 범상치 않은 출생에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헌강왕의 권위와 능력은 경문왕의 혈통을 이은 인물이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보충> 처용랑의 성격
첫째, 처용랑은 랑으로 호칭되고 있다. 이 랑이라는 호칭은 일반적으로 젊은 사내를 부르는데 사용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삼국유사나 사기에서 일반 청년을 랑이라고 칭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화랑을 높여 부르는 경칭으로, 혹은 신이한 능력을 가진 인물에게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oo랑의 형태로 이름에 호칭이 붙은 화랑으로는 무관랑 설원랑 미시랑 근랑 호세랑 거열랑 실처랑 보동랑 죽지랑(죽만랑) 부례랑 준영랑(영랑) 술랑 남랑 기파랑 요원랑 예흔랑 숙종랑 효종랑 난랑 원랑 등 대다수를 차지하며, 비록 이름에는 랑이 없지만 본문 중에 랑으로 부른 경우는 거진 김유신 명기 안락 김응렴 등의 경우가 보인다. 사다함 김흠춘(순) 김령윤 관창 문노 안상 계원 등 칭호가 붙지 않은 예도 있으나 이는 랑이 생략되었거나 구참공처럼 다른 직함, 경칭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화랑의 호칭은 oo랑의 형태가 기본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낭도의 경우에는 랑의 호칭을 붙이지 않았다. 그런데 화랑인지 확실히 알 수 없는 사람 가운데에서도 랑의 호칭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비형랑 장춘랑 파랑 처용랑 연오랑 선종랑 등이 그렇다. 그런데 이들은 자장율사의 출가 전 이름이었던 선종랑은 제외하더라도 각기 죽은 왕의 영혼이 낳은 아들, 전사한 영혼, 동해용의 아들, 해와 달의 정령이라서 신이함과 연관이 있다. 그밖에 울주천전리서석에서 보이는 oo랑의 형태도 이곳이 화랑들이 자주 출유하던 신성지역이라는 점에서 역시 종교적 신성함과 관련이 있다.
처용랑에 사용된 랑의 경우도 단순한 호칭이라기보다는 화랑, 또는 종교적 신이함과 관련된 특별한 지위를 의미하는 경칭으로 보아야 하겠다.
둘째, 이와 관련하여 밤늦도록 유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처용은 동경 밝은 달 아래 밤늦도록 유행하다가 돌아오고 있다. 처용의 유도 단순히 서울의 거리를 헤매고 다닌 것이 아니라 종교적 행위, 귀신과 관련된 활동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처용은 벽사의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처용은 역신을 춤과 노래로 물리쳤으며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그려 문에 붙여 벽사경진의 부적으로 삼았던 것이다. 가무로 역신을 물리친 처용의 행위는 헌강왕대의 독특한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넷째, 처용은 신이한 존재의 아들로 상정되고 있다. 처용은 동해용의 아들이라고 하였다. 이는 처용의 신이한 행적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힘을 범상치 않은 존재의 혈통에 의하여 부여받은 것으로 설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다섯째, 두 사람은 왕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관직을 보유하였다. 처용은 헌강왕을 따라 왕경에 와서 보좌왕정 하였으며 왕은 그에게 급간의 지위를 급간은 신라 관등의 제9위에 해당하며 6두품 이상만이 오를 수 있는 위계이다. 처용이 본래 6두품 출신의 왕경인이 아니라면, 지방출신의 인물로써 6두품에 해당하는 지위를 얻은 셈이다. 이는 그가 가진 신이한 능력에 대한 보상일 것이다. 한편 모죽지랑가의 작가이며 효소왕대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와 동례전 지신의 위계도 급간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런 인물들에게 주어지는 지위는 6두품의 급간직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하사하였다. 즉 귀신을 다루는 능력을 가진 처용은 관직을 가지고 등용되어 왕정에 참여하였다. 이것은 신이한 능력을 가진 자가 왕정에 참여함으로써 왕정의 권위를 높이는데 기여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3 삼국유사 소재 향가의 문학적 성격
삼국유사가 쓰여 진 시기는 원나라와의 30년간의 기나긴 투쟁 끝에 원에 굴복하게 된 13세기였는데 이시기에는 원에 대항하여 민족자주의식이 대두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삼국유사의 전반적인 성격에는 이러한 민족자주의식과 초월적인 종교적입장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14수의 향가가 전해지는데 전반적으로 주술적인 면과 종교적 사상에 기인한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여기에는 모든 향가가 주술적, 종교적 목적으로 쓰여 졌다기 보다는 작가의 사상에 기반을 두어 선택되어진 작품들만 수록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옳다.
3-4 당대인들의 상상력
처용가뿐만 뿐만 아니라 당시에 쓰여 진 향가를 보면 그것을 향유한 계층의 정신세계를 알 수 있다. 처용랑 망해사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민속신앙과 불교적 종교관이 융합된 정신세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땅과 산과 물의 신들이 각각 등장하여 나라의 앞날을 경고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은 자연물에 정령이 있다는 믿음인 토테미즘적 사고관이 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 처용가에서도 처용이 역신에 대한 분노를 참아내고 용서하면서 유연하게 역신을
키워드
추천자료
고려 <처용가> 연구
안민가 연구
어부사시사(작가, 작품 분석, 형식, 의미, 성격, 특징)
[모더니즘]모더니즘의 정의, 모더니즘의 이론, 모더니즘의 등장, 모더니즘의 전성, 모더니즘...
고전문학사 내용 정리(상고시대~조선시대)
처용가 작품론
[니체]니체의 생애와 작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짜라투스트라)의 구성, 니체 ...
[한국문학][해학][근대문학][리얼리즘문학][해외출판 사례]한국문학의 역사, 한국문학의 성격...
고전시가론 중간과제 - <모죽지랑가>, <정석가> 파헤치기
즐거운 경제학을 읽고 감상내용 및 요약정리 기술
빅터 터너 주요 생애, 핵심 이론, 제의와 수수께끼, 제의, 카니발, 의례의 과정을 읽고 줄거...
[박완서 소설 나목][박완서 소설][나목][박완서][작품분석]박완서 소설 나목의 내용요약, 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