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1. 風入盈庭, 壽命長願
2. 回回와 雙花
3. 山象
4. 鄭石
5. 오소다
6. 므슴다
7. 가고신, 닛고신뎌, 겨샤다
8. 단어의 관용적 생략

Ⅱ.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Ⅲ.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Ⅳ.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Ⅴ.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1. 노랫말
2. 작품 해설
1. 1연(기)
2) 2연(승)
3) 3연(전)
4) 4연(결)

Ⅵ.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

참고문헌

본문내용

록들이다. 따라서 그것들을 노래한 음악은 궁중 음악이어서 민간 가요적 성격과는 더욱 거리가 멀다. 이런 이유로 속요라는 명칭이 부적당함을 지적하고 그 대신에 장가, 별곡 등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이들 도한 전체의 속성을 다 포괄하는 명칭이라 하기는 어렵다. 이렇게 명칭이 혼란을 보이고 있음은 이 노래들이 각기 매우 다양한 성격과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두드러진 양식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남아 전하는 것들만 보더라도 매우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 고려시대의 노래가 한 가지 양식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이 노래들을 기록한 문헌이 궁중음악으로 연행되던 것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실제는 더욱 다양했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고려속요 전체에 드러나는 공통적으로 독특한 여음 혹은 후렴구의 존재를 지적할 수 있다. 정읍사의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 다리 동동의 아으 動動다리 서경별곡의 아즐가 와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쌍화점의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청산별곡의 얄리얄리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시리의 나 과 위증즐가 太平成代 사모곡의 위 덩더둥셩 이상곡의 나 드이 그 대표 예다. 이들 여음은 현재 전해지는 아리랑 계열의 노래에서 볼 수 있는 여음인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요 나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나 어령타령에 나오는 어랑어랑 어허랑 혹은 노동요에서 볼 수 있는 어야두리 더럼마아 등과 흡사해 주목된다. 음악에 맞추어 흥을 돋우면서 한 편의 노래로서 형식적 동질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런가 하면 감탄사로 보이는 표현으로 정읍사의 아으 처용강하 정과정의 아으 ㅇ하 아소 님하 사모곡의 위 덩더둥셩과 아소 이상곡의 아소 님하 등이 많은 점도 눈에 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정과정이 향가의 형식의 잔영이라는 점도 주목된다. 그러나 감탄 표현이 있다고 해서 다른 노래들까지 모두 그러한 형식성과 관련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고 노래의 정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정도의 유사성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도 속요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동질성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노래를 일률적으로 규정하는 것보다는 그 유형에 따라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품 전체의 구성상으로 보아 속요의 형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작품 전체가 하나의 연으로 된 단련체로 정읍사 정과정 사모곡 상저가 유구곡 등이 그 예다. 그리고 다음 하나는 분련체 노래들은 한 연을 노래하는 악곡에 맞추어 거듭되는 연들을 노래하는 형식이므로 얼마든지 길어질 수 있으나 현재 전해지는 작품들 가운데 서경별곡이 14연으로 가장 길고 도동이 그 다음으로 13연 정석가는 10연 청산별곡은 8연 만전춘은 6연 쌍화점과 가시리가 4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요를 가리켜 장가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이처럼 연을 거듭함으로써 길어지는 특성을 지칭 하는 것이다. 속요의 제재로 남녀간의 애정에 관한 것이 많고 그 정서의 표출에 거리낌이 없이 대담하다는 점을 고려시대 노래의 특징으로 지적하기도 한다. 물론 일부가 그런 성향을 보이기도 하고 또 조선조 초기에 속요 가운데 여러 작품이 남녀 간의 쾌락을 노래한 것이라 지적을 받아 노랫말을 고치기까지 한 사실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애정의 대담성이 속요 전체의 속성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속요 중에는 처용가처럼 무가 계통의 노래가 있는가 하면 사모곡이나 상저가처럼 부모에 대한 애정을 노래한 것도 있으며 유구처럼 노래하는 자체에 즐거움을 추구한 것도 있어 그 내용의 속성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현재 기록에 남아 전하는 작품들이 궁중 음악에 한정되어 있어 고려시대의 노래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속요의 성격을 애정 일변도의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다. 또 비록 남녀간의 애정을 제재로 한 노래가 많다고는 할지라도 속요가 그 쾌락을 추구 했다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남녀간의 쾌락을 표방한 쌍화점 같은 노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은 애정을 노래하되 변치 않는 사랑과 지속적인 그리움을 노래하고 이다.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정석가 동동 만전춘 이상곡 등 대부분의 작품들이 그러하며 정과정처럼 임금에게 자신의 억울함과 변함없는 사랑을 호소하는 노래 조차도 그 표현은 사랑하는 임에게 드리는 노래로 형상화되어 있다. 서경별곡은 이러한 내용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Ⅳ.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룐 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