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Ⅱ. 곰의 종류
1. 불곰 혹은 큰곰(Brown Bear or Grizzly Bear)
1) 생김새
2) 먹이
3) 번식기 및 임신
4) 겨울잠
2. 아메리카 흑곰(American Black Bears)
3. 반달가슴곰(Asiatic Black Bear)
1) 생김새
2) 서식지
3) 먹이
4) 번식 및 아기
5) 겨울잠
Ⅲ. 곰과 북극곰
1. 생김새
2. 사는 곳
3. 먹이
Ⅳ. 곰과 곰나루설화
1. 곰나루 설화 1
2. 곰나루 설화 2
Ⅴ. 곰과 단군신화
참고문헌
Ⅱ. 곰의 종류
1. 불곰 혹은 큰곰(Brown Bear or Grizzly Bear)
1) 생김새
2) 먹이
3) 번식기 및 임신
4) 겨울잠
2. 아메리카 흑곰(American Black Bears)
3. 반달가슴곰(Asiatic Black Bear)
1) 생김새
2) 서식지
3) 먹이
4) 번식 및 아기
5) 겨울잠
Ⅲ. 곰과 북극곰
1. 생김새
2. 사는 곳
3. 먹이
Ⅳ. 곰과 곰나루설화
1. 곰나루 설화 1
2. 곰나루 설화 2
Ⅴ. 곰과 단군신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한 역할을 하는 발바닥은 물속에서는 물갈퀴 구실을 하고, 얼음위에서는 바닥을 그러잡고, 사냥할 때는 적이나 먹이를 쓰러뜨리는 도구가 된다. 앞발 끝에는 긴 갈고리 발톱이 달려있고, 발가락에는 털 길이의 절반쯤 되는 막이 붙어 있어서 이것을 물갈퀴로 사용하여 교묘하게 물을 가르면서 100M를 36초에 헤엄친다.
네발의 뒤꿈치는 긴 털로 덮여있어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열의 손실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얼음판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해주고 더구나 사냥감을 덮치려고 다가갈 때 발소리를 죽이는 역할도 한다. 또 북극곰은 체구에 비해서 귀나 꼬리가 작은데, 이것은 표면적을 적게 하여 체온의 발산을 될 수 있는 대로 줄이기 위해서이다.
2. 사는 곳
북극해 연안에서 산다.
3. 먹이
물고기, 고리무늬바다표범, 턱수염바다표범이나 그 새끼, 늙은 물개를 즐겨먹지만, 풀, 이끼, 열매나 죽은동물의 고기 따위도 먹는다. 성장한 곰은 하루에 8~23kg의 고기를 먹는데, 그 왕성한 식욕을 채우기위해 멀리까지 사냥을 나설 수밖에 없다. 실제 어떤 곰은 사냥을 하러 320km나 헤엄을 쳤다고 한다. 북극곰이 좋아하는 바다표범의 여러 가지 사냥방법을 살펴보면, 북극곰이 얼마나 영리하고 민첩한지 이해하기가 쉽다.
가령 봄이 되면, 얼음 밑에 뚫린 작은 틈을 찾아내어 그 위에 덮인 눈을 쓸어낸 다음 몸을 일으켜서 앞발에 몸무게 전체를 싣고 매우 세게 주먹질을 하여 얼음을 깨면 얼음 밑에 숨어 있던 바다표범이나 그 새끼는 영락없이 곰의 먹이가 된다. 5월 하순쯤부터 날씨가 따뜻해져서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물 위에 뜬 얼음 조각을 타고 바다표범을 찾아 몇 백 km나 원정을 하는데, 북극곰은 한번에 40km이상을 헤엄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다가 햇볕을 쬐고 있는 바다표범을 발견하면 코와 눈만 내놓고 다리를 놀려 살그머니 헤엄쳐 다가가서 갑자기 물 밖으로 뛰어나가 잡는다. 만약 성엣장이 모여 얼어붙은 얼음 위에서 사냥감을 발견하면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쪽으로부터 얼음장의 그늘을 따라 몸을 숨기고 다가가는데, 몸을 숨길 곳이 없으면 배를 깔고 납작하게 엎드려서 살금살금 접근하다가 바다표범이 머리를 들고 두리번거리면 그대로 가만히 엎드린 채 움직이지 않는다.
흰 털가죽이 곰을 얼음덩이처럼 보이게 하기 때문인데, 이때 까맣게 두드러진 눈과 코는 손으로 가리든가 얼음조각 틈으로 들이밀어 감출 줄도 안다. 매우 가깝게 접근했다고 생각하면 공중으로 뛰어올라 사냥감을 덮친다.
Ⅳ. 곰과 곰나루설화
먼저 곰나루 설화의 여러 변이형을 고찰하고 그 중에 어느 것을 텍스트로 삼을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헌규 교수는 <곰나루 전설의 변이형 고찰>에서 조금씩 차이가 나는 6종의 곰나루 설화를 비교하여 그 상이점을 논하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두드러진 ‘곰과 인간의 결합시 곰의 모습의 차이’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형만 관심의 대상으로 하겠다.
1. 곰나루 설화 1
옛날 공주고을에 어떤 청년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그 고을에 있는 산에 올라 있다가 길을 잃고 돌아오지 못하게 되니 배도 고프고 몸도 피로하여 하는 수 없이 어느 바위굴 속에서 쉬고 있으려니까 한 처녀가 그 앞을 지나가므로 청년은 무섭고 그 처녀를 불러 사정 이야기를 하고 먹을 것을 좀 달라고 애걸하였다. 처녀는 웃으면서 이런 산 속에 입에 맞을 것이 없다면서 곧 나가서 사슴고기와 과일을 가져다 주었다. 청년은 처녀의 호의에 감사하며 친절한 대우를 받으면서 하룻밤을 새우는 동안 처녀와 부부의 의를 맺어 꿈같은 며칠을 지냈다. 그러나 그녀의 집이 어딘지 의심스럽게 생각하던 어느 날 우연히 여자의 나간 뒤를 쫓아 가보니 그 여자는 갑자기 한 마리 곰으로 변해서 나무를 부수면서 사슴의 뒤를 따라 개울을 건너가는 것이었다. 청년은 이것을 보고 어떻게 겁이 나던지 오금아 날 살려라 하고 달음질쳐서 인가를 찾아 달아났다. 조금 후에 여자로 변한 곰은 총각을 부르며 따라 왔다. 큰일났다고 생각한 총각은 온 기운을 다 내어 산아래 금강 물에 뛰어 들었다. 곰도 역시 강물에 뛰어 들었으나 헤엄을 칠 수 없어 소리를 지르다가 마침내 빠져 죽고 말았다. 이러하여 이곳을 ‘곰내’, ‘곰나루’ 또는 ‘웅주’라고 부르게 되었다.<최상수 채록, 1935.6, 공주군 공주읍 이주사(실명.남)제공>
2. 곰나루 설화 2
옛날에 워뜬 사람이 산에 나무하러 갔더래유. 나무를 하르 갔는디 곰이 - 큰 암곰이 나타나가주고서 그 사람을 읍고 굴 속으로 들으가가주고서는 아침즈늑으로
네발의 뒤꿈치는 긴 털로 덮여있어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열의 손실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얼음판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해주고 더구나 사냥감을 덮치려고 다가갈 때 발소리를 죽이는 역할도 한다. 또 북극곰은 체구에 비해서 귀나 꼬리가 작은데, 이것은 표면적을 적게 하여 체온의 발산을 될 수 있는 대로 줄이기 위해서이다.
2. 사는 곳
북극해 연안에서 산다.
3. 먹이
물고기, 고리무늬바다표범, 턱수염바다표범이나 그 새끼, 늙은 물개를 즐겨먹지만, 풀, 이끼, 열매나 죽은동물의 고기 따위도 먹는다. 성장한 곰은 하루에 8~23kg의 고기를 먹는데, 그 왕성한 식욕을 채우기위해 멀리까지 사냥을 나설 수밖에 없다. 실제 어떤 곰은 사냥을 하러 320km나 헤엄을 쳤다고 한다. 북극곰이 좋아하는 바다표범의 여러 가지 사냥방법을 살펴보면, 북극곰이 얼마나 영리하고 민첩한지 이해하기가 쉽다.
가령 봄이 되면, 얼음 밑에 뚫린 작은 틈을 찾아내어 그 위에 덮인 눈을 쓸어낸 다음 몸을 일으켜서 앞발에 몸무게 전체를 싣고 매우 세게 주먹질을 하여 얼음을 깨면 얼음 밑에 숨어 있던 바다표범이나 그 새끼는 영락없이 곰의 먹이가 된다. 5월 하순쯤부터 날씨가 따뜻해져서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물 위에 뜬 얼음 조각을 타고 바다표범을 찾아 몇 백 km나 원정을 하는데, 북극곰은 한번에 40km이상을 헤엄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다가 햇볕을 쬐고 있는 바다표범을 발견하면 코와 눈만 내놓고 다리를 놀려 살그머니 헤엄쳐 다가가서 갑자기 물 밖으로 뛰어나가 잡는다. 만약 성엣장이 모여 얼어붙은 얼음 위에서 사냥감을 발견하면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쪽으로부터 얼음장의 그늘을 따라 몸을 숨기고 다가가는데, 몸을 숨길 곳이 없으면 배를 깔고 납작하게 엎드려서 살금살금 접근하다가 바다표범이 머리를 들고 두리번거리면 그대로 가만히 엎드린 채 움직이지 않는다.
흰 털가죽이 곰을 얼음덩이처럼 보이게 하기 때문인데, 이때 까맣게 두드러진 눈과 코는 손으로 가리든가 얼음조각 틈으로 들이밀어 감출 줄도 안다. 매우 가깝게 접근했다고 생각하면 공중으로 뛰어올라 사냥감을 덮친다.
Ⅳ. 곰과 곰나루설화
먼저 곰나루 설화의 여러 변이형을 고찰하고 그 중에 어느 것을 텍스트로 삼을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헌규 교수는 <곰나루 전설의 변이형 고찰>에서 조금씩 차이가 나는 6종의 곰나루 설화를 비교하여 그 상이점을 논하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두드러진 ‘곰과 인간의 결합시 곰의 모습의 차이’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형만 관심의 대상으로 하겠다.
1. 곰나루 설화 1
옛날 공주고을에 어떤 청년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그 고을에 있는 산에 올라 있다가 길을 잃고 돌아오지 못하게 되니 배도 고프고 몸도 피로하여 하는 수 없이 어느 바위굴 속에서 쉬고 있으려니까 한 처녀가 그 앞을 지나가므로 청년은 무섭고 그 처녀를 불러 사정 이야기를 하고 먹을 것을 좀 달라고 애걸하였다. 처녀는 웃으면서 이런 산 속에 입에 맞을 것이 없다면서 곧 나가서 사슴고기와 과일을 가져다 주었다. 청년은 처녀의 호의에 감사하며 친절한 대우를 받으면서 하룻밤을 새우는 동안 처녀와 부부의 의를 맺어 꿈같은 며칠을 지냈다. 그러나 그녀의 집이 어딘지 의심스럽게 생각하던 어느 날 우연히 여자의 나간 뒤를 쫓아 가보니 그 여자는 갑자기 한 마리 곰으로 변해서 나무를 부수면서 사슴의 뒤를 따라 개울을 건너가는 것이었다. 청년은 이것을 보고 어떻게 겁이 나던지 오금아 날 살려라 하고 달음질쳐서 인가를 찾아 달아났다. 조금 후에 여자로 변한 곰은 총각을 부르며 따라 왔다. 큰일났다고 생각한 총각은 온 기운을 다 내어 산아래 금강 물에 뛰어 들었다. 곰도 역시 강물에 뛰어 들었으나 헤엄을 칠 수 없어 소리를 지르다가 마침내 빠져 죽고 말았다. 이러하여 이곳을 ‘곰내’, ‘곰나루’ 또는 ‘웅주’라고 부르게 되었다.<최상수 채록, 1935.6, 공주군 공주읍 이주사(실명.남)제공>
2. 곰나루 설화 2
옛날에 워뜬 사람이 산에 나무하러 갔더래유. 나무를 하르 갔는디 곰이 - 큰 암곰이 나타나가주고서 그 사람을 읍고 굴 속으로 들으가가주고서는 아침즈늑으로
추천자료
한국의 대표설화
처용가 원문 및 현대어 풀이 배경설화 처용의 실체
월명사와 도솔가, 처용랑과 망해사의 내용풀이와 배경설화, 작품 해석의 문학적 관점, 민속학...
인물 한국사 이야기를 읽고 난 후...
이윤기의 그리스&#8228;로마 신화를 읽고....
설화의 축제적 승화 연구
아침의 사상 / 웅녀신화 다시읽기 비교레포트
[서평]이어령의 '아침의 사상', '웅녀신화' 비교하여 다시읽기
우리나라 고대 신화와 삶의 적용
가야에 관하여
[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설화와 고대가요 구지가의 원문, 고대가요 구지가...
한국과 일본의 건국 신화의 비교
우리 역사 속의 호랑이 [호랑이는 무엇인가][우리 민족 속의 호랑이][고대시대의 호랑이][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비극 소설의 기원과 문학(향가)과 권력의 관계 - 초기서사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