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불교적 상상력
Ⅱ. 불교적 진리판별
Ⅲ. 불교적 역사의식
Ⅳ. 불교적 사생관
Ⅴ. 불교적 청소년
1. 미륵보살(彌勒菩薩)의 청소년
2. 원시불교(原始佛敎)에서의 청소년
3.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의 청소년
참고문헌
Ⅱ. 불교적 진리판별
Ⅲ. 불교적 역사의식
Ⅳ. 불교적 사생관
Ⅴ. 불교적 청소년
1. 미륵보살(彌勒菩薩)의 청소년
2. 원시불교(原始佛敎)에서의 청소년
3.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의 청소년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서는 성인과 같은 존재로 보면서도 심신상의 문제에 있어서 미성숙한 사실을 직시하고 진심과 정감어린 태도로 깨우침을 주어야 하는 시기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3.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의 청소년
대승불교의 흥기는 그 성격상 원시불교사상으로서의 회복과 부흥 및 그 실현을 위한 일종의 불교적 르네상스 운동이다. 대승불교는 소승불교가 교리에 대하여 매우 분석적이고 형식적인 방향을 지향하는 데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서 나온 불교운동이다. 소승불교가 나의 이로움을 더 중하게 여기는 데 비해, 대승불교에서는 중생을 제도하는 자리이타적(自利利他的)인 보살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청소년관이 지배적이다. 대승불교의 반야중관 계통에서는 불교적 청소년인 동자(童子)가 단지 축소된 성인으로서의 미성숙자가 아니라, 대승불교의 현실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인 보살로 표상되고 있다. 이는 자아완성과 중생구제의 생활, 즉 자리이타행을 항상 실천함으로써 끊임없이 이상향으로 전진하고 있는 이상적 구도자로서 표상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청소년의 불법의 구도자, 즉 보살로 표상되고 심지어는 청소년의 순수성은 성인도 본받아야 한다는 다분히 아동을 신성시하는 모습도 있다.
이러한 점은 연기론에 있어서 대승불교사상의 최고 극치를 보여 주고 있는 화엄경의 입법계품에 나타나 있다. 선재동자가 대승보살의 구도적 실천자의 대표적 상징으로 그려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대보적경과 법화경에는 동녀들이 대승보살행자로 묘사되고 있다.
대보적경 98권에는 8세의 묘혜동녀(妙慧童女)가 부처님으로부터 대승보살의 10가지 행법(行法)을 듣고 그 수행을 발원하여 대승법을 설교하였다고 한다. 또 같은 경 111권에는 파사익 왕의 어린 딸 정신동녀(淨信童女)가 선의 근본을 심고 대승법을 성취하였음을 인정받아 부처님이 성불(成佛)을 수기(授記)하였다고 한다.
특히 법화경의 방품편에는 아동들이 장난으로 모래를 쌓아 불탑을 만들거나 또는 나뭇가지나 손가락으로 불상을 그려도 그 공덕으로 성불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리고 같은 경의 보문품에는 동자나 동녀를 위해 관세음보살이 동자나 동녀의 모습으로 나타나 설교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대반열반경에는 보살이 닦아야 할 오행(五行) 가운데 영아행(兒行)이 나오는데, 영아행은 자비심으로 나타나는 선한 행동을 말한다. 즉 보살이 지녀야 할 행동은 청소년과 같은 깨끗하고 거짓없는 행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밀교의 중심 경전인 대일경에서도 영동심(童心)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위경을 보면 해탈을 구하는 중생이 선심을 지속시켜 점차 완성해 가는 과정을 8단계로 표현하고 있는데, 맨 마지막 단계를 영동심으로 하고 있다. 즉 청소년의 그 마음에 잡념이 없이 신앙에 의해 모든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순수한 존재로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대승경전을 살펴본 청소년관은 몇 가지의 특징이 있다. 먼저 대승불교에서는 청소년들이 성(性)의 구별없이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인 보살로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청소년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경작하고 도야하면서 끊임없이 미래를 추구하며 전진해 가는 발전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박종민, 만가에 반영된 불교적 사생관에 관한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박태원, 돈점 논쟁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2001
여승민, 가치 교육에 있어서 불교적 접근법의 의의, 윤리철학교육학회, 2008
이병열, 청소년 비행 문제의 불교적 대응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2005
장영우, 불교적 상상력과 현대시의 세계관,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4
최성종, 불교적 평등의 현대적 수용,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3.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의 청소년
대승불교의 흥기는 그 성격상 원시불교사상으로서의 회복과 부흥 및 그 실현을 위한 일종의 불교적 르네상스 운동이다. 대승불교는 소승불교가 교리에 대하여 매우 분석적이고 형식적인 방향을 지향하는 데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서 나온 불교운동이다. 소승불교가 나의 이로움을 더 중하게 여기는 데 비해, 대승불교에서는 중생을 제도하는 자리이타적(自利利他的)인 보살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청소년관이 지배적이다. 대승불교의 반야중관 계통에서는 불교적 청소년인 동자(童子)가 단지 축소된 성인으로서의 미성숙자가 아니라, 대승불교의 현실에 있어서의 이상적 인간상인 보살로 표상되고 있다. 이는 자아완성과 중생구제의 생활, 즉 자리이타행을 항상 실천함으로써 끊임없이 이상향으로 전진하고 있는 이상적 구도자로서 표상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청소년의 불법의 구도자, 즉 보살로 표상되고 심지어는 청소년의 순수성은 성인도 본받아야 한다는 다분히 아동을 신성시하는 모습도 있다.
이러한 점은 연기론에 있어서 대승불교사상의 최고 극치를 보여 주고 있는 화엄경의 입법계품에 나타나 있다. 선재동자가 대승보살의 구도적 실천자의 대표적 상징으로 그려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대보적경과 법화경에는 동녀들이 대승보살행자로 묘사되고 있다.
대보적경 98권에는 8세의 묘혜동녀(妙慧童女)가 부처님으로부터 대승보살의 10가지 행법(行法)을 듣고 그 수행을 발원하여 대승법을 설교하였다고 한다. 또 같은 경 111권에는 파사익 왕의 어린 딸 정신동녀(淨信童女)가 선의 근본을 심고 대승법을 성취하였음을 인정받아 부처님이 성불(成佛)을 수기(授記)하였다고 한다.
특히 법화경의 방품편에는 아동들이 장난으로 모래를 쌓아 불탑을 만들거나 또는 나뭇가지나 손가락으로 불상을 그려도 그 공덕으로 성불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리고 같은 경의 보문품에는 동자나 동녀를 위해 관세음보살이 동자나 동녀의 모습으로 나타나 설교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대반열반경에는 보살이 닦아야 할 오행(五行) 가운데 영아행(兒行)이 나오는데, 영아행은 자비심으로 나타나는 선한 행동을 말한다. 즉 보살이 지녀야 할 행동은 청소년과 같은 깨끗하고 거짓없는 행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밀교의 중심 경전인 대일경에서도 영동심(童心)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위경을 보면 해탈을 구하는 중생이 선심을 지속시켜 점차 완성해 가는 과정을 8단계로 표현하고 있는데, 맨 마지막 단계를 영동심으로 하고 있다. 즉 청소년의 그 마음에 잡념이 없이 신앙에 의해 모든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순수한 존재로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대승경전을 살펴본 청소년관은 몇 가지의 특징이 있다. 먼저 대승불교에서는 청소년들이 성(性)의 구별없이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인 보살로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청소년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경작하고 도야하면서 끊임없이 미래를 추구하며 전진해 가는 발전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박종민, 만가에 반영된 불교적 사생관에 관한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박태원, 돈점 논쟁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2001
여승민, 가치 교육에 있어서 불교적 접근법의 의의, 윤리철학교육학회, 2008
이병열, 청소년 비행 문제의 불교적 대응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2005
장영우, 불교적 상상력과 현대시의 세계관,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4
최성종, 불교적 평등의 현대적 수용,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추천자료
[역사학, 역사교육론, 역사교육] 역사교육과 역사교육론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회구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NEDLAC, 남아...
[역사][역사진행][역사학][역사 어원][진보][역사 양면성][역사 보편성][역사 특수성]역사의 ...
[역사교육]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성격,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이론적 기초, 초등학교 역사교육...
역사신문제작과 역사신문만들기, ICT활용교육 역사신문만들기수업(역사신문제작학습)의 개념...
역사교육(역사교과, 역사수업) 의미,성격, 역사교육(역사교과, 역사수업) 인식, 역사교육(역...
역사교육(역사과교육)의 중요성, 역사교육(역사과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과 수행평가, 역사...
[역사과교육]역사과교육의 원리, 역사과교육의 지역화, 역사과교육의 수행평가(역사신문만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신세대와 결혼에 대한 고찰과 나의 결혼관 (신세대의 결혼 조건, 신결...
[역사학개론] 역사에 관한 질문을 통한 역사에 대한 이해 - 역사란, 역사형성, 진행, 역사학...
[역사철학, 휠덜린, 벤야민, 아도르노, 칸트, 동서철학, 철학문화, 언어철학]휠덜린의 역사철...
[일본역사인식][일본역사인식과 식민통치][일본역사인식과 제도개혁][일본역사인식과 정치][...
프로이드 (프로이트/Freud) : 자기 자신의 행동을 살펴보고, 그 행동이 어떤 무의식 자료와 ...
유럽의 기업문화-독일을 중심으로-,포드, BMW, 도요타 마케팅사례,독일 문화,지역주의와 국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