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정의, 교육적 의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기구, 놀이지도,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활동, 암자치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정의, 교육적 의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기구, 놀이지도,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활동, 암자치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정의
1. 자치기란
2. 준비물
3. 놀이방법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교육적 의의
1. 교육적 가치
2. 교육적 효과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기구
1. 자 만들기
1) 작은 자(새끼자) 만들기
2) 큰 자(어미자) 만들기
2. 놀이 방법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지도
1. 유래
2. 교육 효과
3. 준비물
1) 용구
2) 시설
4. 놀이 방법
1) 방법 1
2) 방법 2
5. 유의점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활동
1. 활동1
2. 활동2
3. 활동3
4. 활동4

Ⅶ.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와 암자치기
1. 자치기
1) 준비물
2) 방법 및 활동 내용
3) 유의점
2. 암자치기
1) 준비물
2) 방법 및 활동 내용
3) 유의점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방법
1. 원 긋고 놀기
2. 땅 구멍 파고 놀기
3. 걸어 던지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하일 경우, 공격자와 수비자가 바뀐다.)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정의
1. 자치기란
대부분의 전래 민속놀이가 그러하듯이 자치기 역시 그 유래를 알 수 없다. 단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뭇가지 그리고 넓은 공터만 있으면 놀이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아이들의 상상력에 의해 행해진 놀이라고 짐작해 볼 수 있다. 자치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비슷한 유형의 놀이로 즐기고 있다.
2. 준비물
긴 막대기(50~60Cm, 어미자), 짧은 막대기(10~15Cm, 새끼 자)
3. 놀이방법
막대기 두 개를 가지고 땅바닥에 금을 긋거나 구멍을 판다. 공격편이 집에서 어미자로 새끼 자를 쳐서 날려 보내면 상대편이 이것을 받거나 주워서 다시 공격 편에게 던지며 논다.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교육적 의의
소년들이 마당에서 막대기를 쳐서 그 길이를 자막대기로 재며 노는 놀이이다. 마당 한편에 두서너 자 되게 동그라미를 그리고 그 안에 한 치 가량 길고 얕게 구멍을 파고 이 위에 두 치 가량 되는 작은 막대기를 놓고 치는 아이가 한 자 넘는 자막대기를 구멍에 꽂았다가 힘껏 앞쪽으로 당겨 작은 막대기를 던지면 받는 아이가 그것을 손으로 받으면 자리를 바꿔 논다. 못 받으면 떨어진 것을 주어 동그라미 쪽으로 던진다. 작은 막대기가 동그라미 안에 떨어지면 바꿔 논다. 밖에 떨어지면 치는 아이는 떨어진 작은 막대기를 땅에 놓은 채 세 번 쳐서 떨어진 것을 동그라미에서부터 자막대기로 재어 먼저 백이 되면 이긴다.
1. 교육적 가치
사회성, 눈과 팔의 협응
2. 교육적 효과
-규칙의 준수, 경쟁심, 판단력
-눈과 손의 협응.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기구
자치기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남자아이들이 주로 하는 놀이다. 주로 겨울철에 많이 하는데,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놀이에 열중하다 보면 어느 새 온몸이 땀으로 젖는다. 날씨가 추워 방안에서 뒹굴다 보면 건강을 잃을 염려도 있는데 친구들과 자치기를 하며 신나게 뛰놀아 보자.
놀이 인원은 10명 이내면 적당하다. 자치기는 적당한 공간이 있어야 하며, 기왕이면 흙바닥으로 된 놀이판이 좋다. 놀이를 하려면 ‘자’라는 장난감이 필요하다.
1. 자 만들기
1) 작은 자(새끼자) 만들기
지름 2.5 - 3 cm의 동그란 나무 막대를 사선으로 평행하게 양끝을 자른다. 길이는 15 - 20 cm 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짧으면 잘 칠 수 없고, 너무 길면 공격 시간이 길어 수비 편이 지루하다.
2) 큰 자(어미자) 만들기
작은 자 정도의 굵기거나 조금 더 굵은 나무 막대를 길이 30 - 50 cm 정도로 준비한다.
2. 놀이 방법
가. 인원을 반으로 나눠 공격 편과 수비 편으로 나눈다.
나. 바닥에 깊이 7cm, 넓이 10cm 내외의 홈을 판다.
다. 몇 자를 채울 것인지 정하는데 보통 50자에서 100자 정도로 정한다.
라. 공격 편이 바닥의 홈에 작은 자를 걸쳐놓고 큰 자를 이용하여 작은 자를 멀리 걷어 낸 후 큰 자를 홈에 걸쳐놓는다. 이 때 수비 편이 걷어 내는 작은 자를 잡거나 발로 찰 수 있는데, 발로 찼을 경우 작은 자가 떨어진 그 곳에서 작은 자를 집어 큰 자를 맞춘다. 큰 자를 맞추거나 공격 편이 걷어 내는 작은 자를 수비 편이 잡으면 그 사람은 죽는다. 또한 작은 자를 수비 편이 홈에 넣어도 공격자는 죽게 된다.
마. 공격자는 수비 편이 던진 작은 자가 떨어진 위치에서 큰 자를 이용하여 작은 자의 끝을 쳐서 튀어 오르게 한 후 작은 자를 힘껏 친다.
바. 힘껏 친 후 공격 편은 홈에서 작은 자까지의 거리를 대충 셈하여 자를 부른다. 예를 들면 홈에서 작은 자까지의 거리가 큰 자로 재어 20자 정도이면 ‘20’자 하고 부르면 수비 편은 눈대중으로 보아 될 것 같으면 ‘먹어’하고, 모자랄 것 같으면 ‘재! ’한 후 실제로 큰 자로 재어 본다. 이때 ‘먹어’ 했으면 공격 편은 20자를 가지고 다시 공격하고 ‘재’해서 쟀는데 20자가 되지 않으면 죽는다.
사. 이리하여 공격 편이 다 죽으면 공격과 수비가 바뀐다.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의 놀이지도
1. 유래
자치기는 놀이 이름 그대로 자 즉, 막대기를 가지고 노는 놀이를 말한다. 땅바닥에 선을 긋거나 홈을 파서 집을 정하고 편을 갈라 한 편은 집에서 어미자(긴 막대기)로 새끼자(짧은 막대기)를 쳐서 날려 보내면, 다른 한 편은 이것을 받거나 주워서 집으로 던지며 노는 것이다.
넓은 장소와 막대기 돌만 있으면 어느 때고 쉽사리 놀이를 벌일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 사이에 성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다른 어린이 돌이처럼 자치기 역시 그 유래를 알 수 없으나 추측하건데 별다른 놀이도구가 없었던 옛 시절에 소년들의 상상력은 흔해빠진 막대기 같은 것을 훌륭한 놀이도구로 응용하여 자치기와 같은 재미있는 놀이를 고안해 낸 것으로 믿어진다.
2. 교육 효과
. 자치기는 초등학교생과 중학교생에게 적합한 놀이로 온몸 운동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 여러 사람이 같이 즐기기 때문에 준법 협동성을 기른다.
. 자로 거리를 재니까 실측 등 셈 연습이 된다.
. 근력, 지구력을 기르고 과감성과 합리적 태도를 기른다.
3. 준비물
1) 용구
어미자 - 긴 막대기 약 50~60Cm
새끼자 - 짧은 막대기 약 10~15Cm
2) 시설
땅바닥에 원을 긋거나 또는 구멍을 파서 집을 만든다.
4. 놀이 방법
1) 방법 1
(1) 우선 땅 바닥에 깊이 3 cm, 길이 10~15cm가량의 홈을 파놓고 그 홈을 이용해서 놀이를 하는 것이다. ‘가위, 바위, 보’에서 이긴 사람과 진 사람별로 청. 백 두 팀으로 나누고 이긴팀은 홈 있는 곳을, 진 팀은 바깥을 각각 차지한다. 자치기는1단계에서 3단계까지 있는데 다음과 같다.
(2) 제 1단계는 파놓은 홈 앞쪽에서 새끼자(작은 막대기)를 홈위에 가로놓고 어미자(큰 막대기)로 청팀이 백팀을 향하여 튕긴다. 백팀은 전면에 서 있다가 어미자로 퉁겨낸 새끼자를 받으려고 한다. 만일 백팀의 아이가 손으로 받으면 무조건 50자를 따는 대신 청팀의 아이는 “아웃”이 되어 버린다. 그런데 백팀이 아무도 새끼자를 받지 못햇을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