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작은 일들을 대중에게 긍정적인 첫인상을 주고 인지를 심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행사의 풍선과 음악 그리고 깃발들은 PR의 목적을 전달하는 수단이 된다.
(4) 공고(announcements)
공고는 짧은 소식으로 흔히 기업의 종사원에 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발표되는 것은 새로운 관리자의 채용, 보상, 관리의 성과 등에 관한 것들이며, 공고는 인적관리를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특집기사(feature story)
특집기사는 사람들이 흥미를 갖는 기사이다. 이것은 신문이나 잡지의 부록이 발간되거나 방송의 특집물이 방영되는 것과 비슷하다.
(6) 언론과 여행업 세미나(press and trade seminars)
기업이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기자회견보다 긴 회의인데 이것은 판매촉진의 한 방법이며 PR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휴양지 관련 기업이나 여행도매업자가 새로운 휴가 패키지를 소개할 때 여행세미나를 개최한다.
(7) 마케팅 조사(marketing research)
마케팅조사는 대중에게 호의적으로 보이도록 PR과 홍보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은 훌륭한 음식을 준비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설문조사결과를 발표 할 수 있다.
6. PR성과의 측정과 평가
(1) PR책임자에 의한 평가(evaluation by those responsible)
PR감독, 위원회/대행업자의 의견과 판단에 의한 평가이다. 이 방법은 긍정적 평가에 근간을 두게 되므로 단독적으로 이용되지 않는다. 다른 다섯 가지 방법과 결합되어 이용 될 수 있다.
(2) 가시도에 의한 평가(visibility)
기업에 대한 PR의 양(신문발표, 다른 긍정적인 진술 등)을 측정한다. 이것은 PR부문에 집중되어 있고, 부정적 PR이 평가에서 제외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방법 또한 단독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다른 평가방법과 혼용되어 사용된다.
(3) 조직화의 유용성(organizational utility)
부정적 PR 혹은 다른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PR조직은 그것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예측불가능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이 평가방법의 장점이다.
(4) 예술적 기준(artistic standards)
조직은 정확한 단계를 밟아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그러나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에 있어서는 조직의 노력만큼 효과가 크지 않다. 따라서 평가는 성취 여부뿐만 아니라 PR팀이 각 활동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5) 의견, 태도, 이미지 그리고 이슈에 있어서의 변화
이러한 평가는 대개 계획이나 개인활동이 실행되기 이전과 이후의 여론조사를 통해 실시된다. 마케팅 연구에서는 특정 이슈, 의견, 태도, 조직이미지, 서비스에 대한 사람들의 입장 변화 등을 조사하는데 종종 서베이(survey) 방식을 이용한다. 이것은 특히 다음 단계의 평가와 결합될 때 더 가치있는 측정?평가 방법이 된다.
(6) 목표에 의한 평가
이것은 PR계획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좋은 방법이다. 이 방법을 쓰기 위해서는 모든 목표가 수치화되어야 하며, 측정법은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 즉, 우리는 우리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얼마만큼 개선시키길 원했으며, 우리의 PR계획으로 우리가 원한만큼의 변화를 달성할 수 있었는가?를 측정, 평가하는 것이다.
인적판매
1. 인적 판매의 개념
인적 판매는 판매를 목적으로 1인 혹은 그 이상의 잠재고객과 대화하는 구두상의 제시활동이며 쌍방적인 전달수단이다. 즉, 고객과의 직접면담을 통해 그들의 욕구나 필요를 환기시키거나 판매저항을 배제시켜 구매행동을 야기시키는 설득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관광상품은 특성상 직접 보거나 경험한 후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객들은 관광상품을 구입할 때 인적 판매, 즉 판매원에게 주로 의존한다. 그러므로 거의 모든 관광상품판매는 인적 판매과정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 인적 판매의 특성
(1) 쌍방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광고 등의 촉진활동은 고객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피드백이 아주 느리거나 어려운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인 데 반해, 인적 판매는 면접을 통해 구매를 자극하는 쌍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러므로 판매원은 고객에게 프리젠테이션을 하며 상품을 구매하도록 부추길 수 있다.
(2)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인적 판매는 잠재고객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토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