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민족국가를 수립하자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나의 민족국가를 수립하자 -통일 민족국가 수립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좌우대립의 소용돌이 속에서
2.‘좌우합작운동’을 추진하다
3. 민족 내부의 분열이 심화되다
4. 김구와 김규식의‘남북협상’

본문내용

이로써 민족 분단을 저지하고 통일된 민족 국가를 수립하려던 정치 세력은 정치 일선에서 사라졌다. 그 후 현재까지 우리 민족은 분단의 어둡고 긴 질곡 속에서 몸부림쳐야만 했다.
남북요인회담은 독립운동과 마찬가지로 당장에는 실현될 수 없더라도, 또 북측의 입장과 국제관계 등으로 여러 사항을 충분히 담아내지는 못하였지만, ‘통일독립’의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는 점, 동족상잔의 전쟁을 명시적으로 막아보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두 김 등 민족주의자들의 북행과 남북좌우합작을 지지해 온 좌파 인사들의 노력은 남과 북이 자주적으로 머리를 맞대고 남과 북의 화해와 통일 방안을 마련하려 할 때 여러 면에서 격려와 참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남북협상은 앞의 좌우합작 운동과 더불어 좌우파 사이의 분열과 대립을 해소함으로써 남북한의 분단을 저지하고 단일한 민족 국가를 수립하려 한 주체적이고 평화적인 통일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표◁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 광복
12월 28일: 모스크바 3상회의(신탁통치 결정)
1946년 3월 20일: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결렬됨)
6월 3일: 이승만의‘정읍발언(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 주장)’
6월 30일: 미국, 김규식과 여운형의 합작통일노력을 지지한다는 특별성명 발표
7월 10일: 좌우합작위원회 설립
1947년 5월 20일: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결렬됨)
7월 19일: 여운형 암살
9월: 한반도 문제 유엔으로 이관
12월 6일: 좌우합작위원회 해체
20일: 민족자주연맹 조직(후에 남북협상 추진세력)
1948년 1월 8일: 유엔조선임시위원단의 입국(한반도 분단의 반대)
2월 16일: 김구와 김규식, 북한의 김두봉과 김일성에게 서신 보냄
19일: 유엔소총회(남한총선거안과 남북지도자회담에 대해 연설,1:3의 비중)
26일: 유엔소총회(남한총선거안 결정됨)
4월 19일~30일: 남북협상(‘연석회의’와 ‘남북지도자회의’)
5월 10일: 남한 단독 선거(510총선)
1949년 6월 26일: 김구 암살
【참고 문헌】
류승렬,《뿌리깊은 한국사, 샘이깊은 이야기⑦》, 솔출판사, 2004
신규수김우숙 공저,《새롭게 쓴 한국현대사》, 원광대학교출판국, 2003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52, 탐구당 문화사, 2002
이민식 외,《한국사강좌》, 홍문당, 2001
강만길,〈좌우합작과 남북협상〉,《한국사시민강좌》12, 일조각, 1993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