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복지론] 가족사정(Family Assessment)과 가족사정의 사례
Ⅰ. 서론
Ⅱ. 본 론
1장. 가족사정(family assessment)의 개념
2장.가족중심 실천에서의 사정(Sandau Beckler가 제기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1. 일반적 가족사정의 기준
1) 가족성원 의식규정?
2. 가족의 강점(Strength) 사정
3. 가족의 스트레스와 회복력
4. 문제해결과 해결책 발견에 있어서의 가족의 능력 및 과거 성공경험
5. 가족의 변화에 대한 준비성의 사정
6. 가족 안전에 대한 사정
7. 세대 간 양상의 사정
8. 자원체계에 대한사정
9. 사정도구
2장. 가족사정의 사례: 우리 친 아버지 맞나요
1부. 제시된 문제
1. 아버지의 관점
2. 딸의 관점
2부. 사정의 도구
1. 생활력 표 (클라이언트 : 큰 딸)
2. 사회적지지 관계망
3부. 사정
1. 가족의 문제 분석 (골든버그가 제시한 6가지 틀)
2. 사정도구
4부. 문제와 목표설정
1.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
2. 상담 목표설정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 론
1장. 가족사정(family assessment)의 개념
2장.가족중심 실천에서의 사정(Sandau Beckler가 제기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1. 일반적 가족사정의 기준
1) 가족성원 의식규정?
2. 가족의 강점(Strength) 사정
3. 가족의 스트레스와 회복력
4. 문제해결과 해결책 발견에 있어서의 가족의 능력 및 과거 성공경험
5. 가족의 변화에 대한 준비성의 사정
6. 가족 안전에 대한 사정
7. 세대 간 양상의 사정
8. 자원체계에 대한사정
9. 사정도구
2장. 가족사정의 사례: 우리 친 아버지 맞나요
1부. 제시된 문제
1. 아버지의 관점
2. 딸의 관점
2부. 사정의 도구
1. 생활력 표 (클라이언트 : 큰 딸)
2. 사회적지지 관계망
3부. 사정
1. 가족의 문제 분석 (골든버그가 제시한 6가지 틀)
2. 사정도구
4부. 문제와 목표설정
1.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
2. 상담 목표설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ffiliative attitude)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일관성을 유지한다고 지적한다. 밀레이는 기능적인 가족은 특정 구조와 생활스타일을 가진 가족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와 생활스타일을 가진 가족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가족의 건강성은 가족원들의 상호작용의 본질 그리고 가족원들이 주고 받는 지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Miley et al., 1995: 203).
2장. 가족사정의 사례: 우리 친 아버지 맞나요
1부. 제시된 문제
인쇄소를 운영하는 보수적이며 가부장적인 성향의 아버지(49세)와 우울증세와 건강이 좋지 않은 어머니 그리고 네 딸이 함께 사는 가족으로 가정 경제는 넉넉하지 않았으며 가족간에 의사소통이 단절된 소원한 관계의 가정이다.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의 관계, 그리고 아버지와 큰 딸과의 관계가 오랫동안 갈등관계로 유지됨에 따라 가족관계가 역기능적으로 나타난 문제의 가정이 되었다.
1. 아버지의 관점
보수적이며 가부장적인 성향으로 본래 말수가 적은 사람으로서 본인의 결정을 모든 가족은 응당히 따른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가족을 대하며 또 가정의 어려운 형편을 빨리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족이 합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인의 건강이 좋지 않고 부부간의 관계가 소원하게 되자 자신을 뒷바라지 해 주며 부인의 역할을 대신하여 가정의 살림살이를 도맡아 해결하고 인쇄소의 일을 잘 처리해 주는 어른스러운 딸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는 마음으로 기울여졌다. 또, 부인과 딸들이 어른(조부·조모)들과 친척들과의 관계에 대한 문제점을 알지 못하고 소원한 관계에 대한 섭섭함만 가지고 있다.
2. 딸의 관점
어머니의 건강 악화와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집안의 살림살이와 아버지가 운영하는 인쇄소의 일을 도와 열심히 일했는데 학생의 신분이기에 학교생활도 잘 해야 하는데 늦은 일처리로 수업시간에 졸기가 일쑤고 도시락도 반찬이 없어 3년 내내 김치만 싸가지고 가고 아버지 도시락 반찬을 걱정해야 했으며 시험 준비를 위한 공부도 해야 하는데 그런 시간은 조금도 배려하지 않았다. 그리고 다른 가족들과 같이 여행이나 외식 등을 하고 싶은 마음을 가졌으나 아버지는 가족들의 그러한 마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주변에서 자신을 인정한다는 뿌듯함을 얘기 하며 인쇄소의 일을 열심히 해야 가난을 빨리 극복한다는 등의 다그침만 하고 늦게까지 술을 마시며 자신만 알고, 비가 많이 올 때 1분도 안되는 거리인데 데리러 오지 않아 비를 많이 맞아 몸살을 앓았을 때 몸 아픈 것에 대한 배려도 전혀 없는 아버지가 정말 미웠다. 그리고 조부, 조모와 친척들도 어머니에게 종가집의 며느리로서 딸만 넷을 출산하였다고 20년 전부터 무시하고 미워하며 명절 때면 일만 시키는 모든 사람들도 밉게 생각한다.
2부. 사정의 도구
1. 생활력 표 (클라이언트 : 큰 딸)
년도
연령
가족
학교
친척
건강
문 제
1982
출생
아버지(49세)
어머니
조부·모
.
.
세 여동생
출생
딸 네 명 출산으로 조모의 종손 없음을 탓하며 모친 구박.
1995
14. 중1
친척들
과 왕래
단절
조모가 어머니와 딸들을 미워하고 무시하는 태도로 인해 마음이 닫힘 -친척들 모임에 동행하지 않음
1998
17. 고1
-가정형편
의 어려움
을 학교에
편지로
호소 함.
-아버지 일거리를 밤새 도와 학교에서 졸음 등 지장을 받음
-화목한 가정의 학교친구들을 부러워 함.
-주부습진 에 걸림
-몸살
앓음
-아버지에게 힘듦을 호소하지만 이해해주지 않아 답답하고 서운함
-일을 제대로 하지 못했을 때
아버지의 꾸중으로 스트레스
받음.
-시험기간에도 일 때문에 공부할 시간이 부족함
-몸이 아플 때 아버지에게
위로받지 못함
-아버지가 인상을 찌푸리고 있으 면 무섭고 대화하기 어려움
1999
18. 고2
2000
19. 고3
취업준비로 바쁨 - 여전히 일을 해야 함.
2001
20.
아버지가 음주후 힘 듦을 얘기 함
딸 감동했으나 이 후 계속 혼자 힘들다 얘기 함
2002
21.
아버지와 크게 다툼-가족이 자신을 미워한다고 아버지 가출 함
2003
22.
아버지와 2년 동안 대화 단절
2004
23.
2005
24.
TV에 출연
-관계 개선의 노력, 화해시도
2. 사회적지지 관계망
< 가 족 >
아버지 ① 음주 즐김. ② 보수적, 가부장적 성격-가족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 부족 ③ 가정 형편의 어려움에 대한 극복 의지 강함. 어머니 ① 시부모로부터의 무시와 남편의 무관심 등으로 우울증 증세 있음 ② 병세로 가정 살림하기 어려워 큰 딸에게 의지 함. ③ 여동생 : 세 명이 있으며 막내만이 아버지와의 관계가 원만 함. 아버지는 친구들에게 인쇄소의 ① 어머니에 대한 조모님의 무시와 구박으로 가족들과의 관계가 원만치 않다. 일 처리와 딸이 집안일과 인쇄소의 일을 도와주는 것에 대한 자랑으로 주변으로부터 칭찬을 받음 사회적지지 관계망에서는 상담 때 나타난 자료를 참고로 작성하였으며 큰 딸의 학교생활과 관련한 사항은 아버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 되었다.
3부. 사정
1. 가족의 문제 분석 (골든버그가 제시한 6가지 틀)
1) 가족 하위체계의 경계선
① 부부 하위체계
남편의 보수적, 가부장적인 성향으로 자기중심적 사고로 횡적관계가 아닌 종적관계 즉, 직선적 인과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경직된 경계로 역기능적이다.
② 부모와 자식의 경계
어려운 가정 형편을 위해 모든 가족이 무조건적으로 열심히 일하고 도와야 한다는 생각으로 가족의 힘듦에 대한 이해와 위로에 소홀한 아버지와 서로를 위로하고 이해하는 대화를 원하는 큰 딸과의 관계는 직선적 인과 관계로 단절되었으며 큰 딸과 어머니의 관계는 서로 의사가 통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머니는 병으로 어머니의 역할을 원만히 수행할 수 없는 지경이기에 큰 딸이 동정과 사랑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아버지는 막내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뿐이고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보건데 나머지 두 딸과도 결코 좋은 관계라 생각되진 않는다. 그러므로 이 체계도 경직된 경계로 보아진다.
③ 형제자매체계
힘들지만 헌신적인 큰 언니의 가정에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기에 다른 형제들은 언니의 뜻에
2장. 가족사정의 사례: 우리 친 아버지 맞나요
1부. 제시된 문제
인쇄소를 운영하는 보수적이며 가부장적인 성향의 아버지(49세)와 우울증세와 건강이 좋지 않은 어머니 그리고 네 딸이 함께 사는 가족으로 가정 경제는 넉넉하지 않았으며 가족간에 의사소통이 단절된 소원한 관계의 가정이다. 특히 아버지와 어머니의 관계, 그리고 아버지와 큰 딸과의 관계가 오랫동안 갈등관계로 유지됨에 따라 가족관계가 역기능적으로 나타난 문제의 가정이 되었다.
1. 아버지의 관점
보수적이며 가부장적인 성향으로 본래 말수가 적은 사람으로서 본인의 결정을 모든 가족은 응당히 따른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가족을 대하며 또 가정의 어려운 형편을 빨리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족이 합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인의 건강이 좋지 않고 부부간의 관계가 소원하게 되자 자신을 뒷바라지 해 주며 부인의 역할을 대신하여 가정의 살림살이를 도맡아 해결하고 인쇄소의 일을 잘 처리해 주는 어른스러운 딸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는 마음으로 기울여졌다. 또, 부인과 딸들이 어른(조부·조모)들과 친척들과의 관계에 대한 문제점을 알지 못하고 소원한 관계에 대한 섭섭함만 가지고 있다.
2. 딸의 관점
어머니의 건강 악화와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집안의 살림살이와 아버지가 운영하는 인쇄소의 일을 도와 열심히 일했는데 학생의 신분이기에 학교생활도 잘 해야 하는데 늦은 일처리로 수업시간에 졸기가 일쑤고 도시락도 반찬이 없어 3년 내내 김치만 싸가지고 가고 아버지 도시락 반찬을 걱정해야 했으며 시험 준비를 위한 공부도 해야 하는데 그런 시간은 조금도 배려하지 않았다. 그리고 다른 가족들과 같이 여행이나 외식 등을 하고 싶은 마음을 가졌으나 아버지는 가족들의 그러한 마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주변에서 자신을 인정한다는 뿌듯함을 얘기 하며 인쇄소의 일을 열심히 해야 가난을 빨리 극복한다는 등의 다그침만 하고 늦게까지 술을 마시며 자신만 알고, 비가 많이 올 때 1분도 안되는 거리인데 데리러 오지 않아 비를 많이 맞아 몸살을 앓았을 때 몸 아픈 것에 대한 배려도 전혀 없는 아버지가 정말 미웠다. 그리고 조부, 조모와 친척들도 어머니에게 종가집의 며느리로서 딸만 넷을 출산하였다고 20년 전부터 무시하고 미워하며 명절 때면 일만 시키는 모든 사람들도 밉게 생각한다.
2부. 사정의 도구
1. 생활력 표 (클라이언트 : 큰 딸)
년도
연령
가족
학교
친척
건강
문 제
1982
출생
아버지(49세)
어머니
조부·모
.
.
세 여동생
출생
딸 네 명 출산으로 조모의 종손 없음을 탓하며 모친 구박.
1995
14. 중1
친척들
과 왕래
단절
조모가 어머니와 딸들을 미워하고 무시하는 태도로 인해 마음이 닫힘 -친척들 모임에 동행하지 않음
1998
17. 고1
-가정형편
의 어려움
을 학교에
편지로
호소 함.
-아버지 일거리를 밤새 도와 학교에서 졸음 등 지장을 받음
-화목한 가정의 학교친구들을 부러워 함.
-주부습진 에 걸림
-몸살
앓음
-아버지에게 힘듦을 호소하지만 이해해주지 않아 답답하고 서운함
-일을 제대로 하지 못했을 때
아버지의 꾸중으로 스트레스
받음.
-시험기간에도 일 때문에 공부할 시간이 부족함
-몸이 아플 때 아버지에게
위로받지 못함
-아버지가 인상을 찌푸리고 있으 면 무섭고 대화하기 어려움
1999
18. 고2
2000
19. 고3
취업준비로 바쁨 - 여전히 일을 해야 함.
2001
20.
아버지가 음주후 힘 듦을 얘기 함
딸 감동했으나 이 후 계속 혼자 힘들다 얘기 함
2002
21.
아버지와 크게 다툼-가족이 자신을 미워한다고 아버지 가출 함
2003
22.
아버지와 2년 동안 대화 단절
2004
23.
2005
24.
TV에 출연
-관계 개선의 노력, 화해시도
2. 사회적지지 관계망
< 가 족 >
아버지 ① 음주 즐김. ② 보수적, 가부장적 성격-가족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 부족 ③ 가정 형편의 어려움에 대한 극복 의지 강함. 어머니 ① 시부모로부터의 무시와 남편의 무관심 등으로 우울증 증세 있음 ② 병세로 가정 살림하기 어려워 큰 딸에게 의지 함. ③ 여동생 : 세 명이 있으며 막내만이 아버지와의 관계가 원만 함. 아버지는 친구들에게 인쇄소의 ① 어머니에 대한 조모님의 무시와 구박으로 가족들과의 관계가 원만치 않다. 일 처리와 딸이 집안일과 인쇄소의 일을 도와주는 것에 대한 자랑으로 주변으로부터 칭찬을 받음 사회적지지 관계망에서는 상담 때 나타난 자료를 참고로 작성하였으며 큰 딸의 학교생활과 관련한 사항은 아버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 되었다.
3부. 사정
1. 가족의 문제 분석 (골든버그가 제시한 6가지 틀)
1) 가족 하위체계의 경계선
① 부부 하위체계
남편의 보수적, 가부장적인 성향으로 자기중심적 사고로 횡적관계가 아닌 종적관계 즉, 직선적 인과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경직된 경계로 역기능적이다.
② 부모와 자식의 경계
어려운 가정 형편을 위해 모든 가족이 무조건적으로 열심히 일하고 도와야 한다는 생각으로 가족의 힘듦에 대한 이해와 위로에 소홀한 아버지와 서로를 위로하고 이해하는 대화를 원하는 큰 딸과의 관계는 직선적 인과 관계로 단절되었으며 큰 딸과 어머니의 관계는 서로 의사가 통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머니는 병으로 어머니의 역할을 원만히 수행할 수 없는 지경이기에 큰 딸이 동정과 사랑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아버지는 막내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뿐이고 여러 정황으로 미루어 보건데 나머지 두 딸과도 결코 좋은 관계라 생각되진 않는다. 그러므로 이 체계도 경직된 경계로 보아진다.
③ 형제자매체계
힘들지만 헌신적인 큰 언니의 가정에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기에 다른 형제들은 언니의 뜻에
추천자료
치매노인의 특징, 사정방법 및 도구, 케어방안
간호사정 사정도구 CS case - STEMI(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간호사정 사정도구 NS case - C-SDH(chronic subdural Hemorrage)
간호사정 사정도구 OS case - Spinal stenosis, lumbar region
사정의 개념
[통증][통증 의미][통증 전달과정][통증 조절][통증 지각][통증 측정도구][통증 간호사정]통...
나의가족 사정하기 질문지표에 의거하여 자신의 가족을 대입하여 전문적 사정(Assessment)을 ...
[가족복지론] 가족중심실천에서의 사정 요소(가족의 강점사정, 가족의 스트레스와 회복력, 가...
뇌졸중의 신경학적 사정 도구인 NIHSS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사의 교육 프로그램 효과 요...
가족을 사정 하는데 있어서 내가 사회복지사라면 어떻게 사정 할 것인지 사정과정과 개입방안...
나의 가족에 대한 사정 및 개입방안 (사회복지)
가족을 사정 하는데 있어서 내가 ‘사회복지사(Social Worker)’라면 어떻게 사정 할 것인지 사...
(가족 사정하기) 가족개입실천모델을 적용한 사정하기 -구조적관점에서의 사정방법(가족지도)...
가족에 대한 이해 & 가족문제 사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