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생활과 패션-중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생활과 패션-중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루의 빛’에 나오는 여주인공
- 사회적 상황에 따라서 패션도 변해야 함
- 자신에 대한 관리가 철저하다는 평
- 실제로 이런 사람들이 능력도 있음
“건어물 녀/남이 되지 않기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
01. 집안에서와 외출복은 구분해서 사용
- 비싼 옷도 집안에서 입고 뒹굴 때에는 옷의 형태가 망가지기 마련
- 외출복의 사이즈나 스타일을 너무 헐렁한 의상으로만 입는 것도 no!!
02. 캐주얼 복장과 편안한 옷과 구분
- 캐주얼한 옷이 곧 편안 옷이라는 인식을 버려야 함
- 캐주얼 복장을 아무데서나 남발해서 입는 것도 주의 사항
2) 개인적 시각에 가두지 마라
자기자신에 대한 과신
‘나는 내 스타일을 잘 알아. 이런 스타일뿐이 안 어울려’
→ 자신이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여성에게서 잘 나타남
‘어두운 색의 진’이 자기를 날씬하게 보이게 해줄 것이라는 편견
→ 더욱 더 그녀를 날씬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해 줄 스타일은 얼마든지 많음
- 자신의 시각에 자신의 스타일을 가두는 일은 하지 말도록 함
오히려 반대의 효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음
- 넓은 시각으로 정보를 찾고, 조언 듣는 일을 해 보도록 함
2. 패션은 튀어야 산다??
1) 자신감과 튀는 의상
패션의 목적을 오로지 튀는 것에 둠
→ 자신의 스타일에 일관성이 없게 됨, 패션 아닌 코스튬으로 빠질 확률이 있다는 뜻
옷이 사람을 데리고 다니는 꼴
- 의상을 입고 움직이기 어렵고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음
- 옷이 아닌 코스튬으로 전락
- 개성시대라고 해도 남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는 디자인 역시 자제
→ 남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해서도 자신의 스타일을 만들어야 함
거부감 주는 의상 → 사람 취향에 거부감 → 인상마저 부정적으로 볼 수 있음
자신감과 튀는 의상은 결국 별개의 문제
3. 패션을 위한 추천 영화
1) 영화 속 패션
* 마리앙트와네트(Marie-Antoinette, 2006)
1920년대 로코코시대의 영국의 귀족풍 궁중 복식
* 골든 에이지(Elizabeth : The Golden Age, 2007)
1500년대의 영국(유럽)의 궁중복식
* 클레오파트라(Cleopatra, 1963)
당대의 이집트 패션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부활시켰으며 당시 로마패션도 동시에 감상 가능
* 사랑의 전주곡(Desk Set, 1957)
1950 ~ 1960년대 복식
* 이브의 모든 것(All about Eve, 1950)
1950년대의 미국 복식
* 티파니에서의 아침을(Breakfast at Tiffany\'s, 1961)
1950년대 복식
* 로마의 휴일(Roman Holiday, 1953)
1960년대 복식
* 웨딩 싱어(The Wedding Singer, 1998)
1980년대 복식
* 키카(kika 1993)
1990년대 복식
* 제 5원소(The Fifth Element, 1997)
근 미래의 복식
* 오스틴 파워(Austin Powers : The Spy 쫴 Shagged Me, 1999)
1960, 70년대의 복식(포스트 모더니즘)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The Devil Wears Prada, 2006)
2000년대 이후의 복식
* 섹스 앤 더 시티(Sex and the City, 2008)
2000년대 이후의 복식
※ Quiz
1. 다음 중에 체형에 맞게 코디한 경우는?
① 힙이 큰 체형 - 감추면 더욱 더 눈에 띄므로 되도록 달라붙는 의상이 어울린다.
② 배가 나온 체형 - 허리 라인이 잡혀 있는 재킷이 어울린다.
배가 나온 체형은 허리라인이 잡혀 보이는 의상이 오히려 날씬하고 배가 나와 보이지 않는다.
③ 키가 작은 경우 - 상하의가 분리되어 보이게 코디한다.
④ 모래 시계형 - 소위 글래머라고 불리는 이 체형은 허리선을 강조하는 옷이 좋다.
2. 패셔니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신의 체형을 파악한다.
② 의상 및 패션 용품을 구입할 때에는 자신의 나이도 고려한다.
③ 얼굴형을 고려한다.
④ 남과 비교한다.
진정한 패셔니스타는 남과 비교하고 고통 받지 않는다. 단점은 누구나 있으며 얼마든지 커버 할 수 있다.
3. 다음에 일반적으로 오해 받기 쉬운 패션상식 중에서 잘못 된 것은?
① 옷은 편안함만 추구 하지 말고 장소와 상황에 맞춰서 입어야 한다.
② 스타일에 대해서 과신하고 있고 있지 않은 지 점검해 본다.
③ 패션니스타들은 무조걱 시각적으로 튀게 입는다.
패션 스타일을 튀는 것에 목적을 두면, 자신의 스타일에 일관성이 없게 되고 그 의상은 패션 아닌 코스튬으로 빠질 확률이 있단 뜻이다. 즉 사람이 옷을 입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옷이 사람을 데리고 다니는 꼴이 된다.
④ 외출복과 집안에서 입는 옷은 구분해서 입는다.
※ 정리하기
1. 자기 자신 파악하기
① 자신의 나이를 생각하자.
② 자신의 체형을 파악하자. 체형에 장, 단점이 없는 사람은 없으므로 체형을 잘 파악해서 단점이 보완되는 의상을 골라보자.
③ 얼굴형 또는 자신이 파악해야 할 항목이다. 얼굴형에 따라서 화장과 헤어스타일도 생각해보자. 좀 더 완성도 높은 나만의 스타일을 연출 할 수 있다.
④ 스타일을 바꾸는데 두려움을 갖지 말자. 오히려 한평생 같은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이 더 무섭다.
⑤ 자기 자신을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사랑하자. 자신의 내면과 외모 모두 사랑했을 때 자신감이 나오면 단점도 과감히 고쳐나갈 수 있다.
◆ 3주차 1교시
1. 패션 스타일에 대해서 알기
1) 모던(modern) 스타일
- 기능주의(simple is best, or 장식이 적을수록 아름답다) 원칙의 영향으로 생겨남
- 절제미를 강조한 베이직한 스타일의 의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차갑고 도시적이며 엘리트적인 이미지
2) 클래식(classic) 스타일
- 다른 스타일과 비교하여 비교적 유행을 타지 않는 스타일
- 전통적인 서양 정장
- 우아하고 보수적이며 안정감과 같은 이미지
유행에 민감하지 않고 자신의 스타일을 중요시 하는 사람들에게는 많이 보이는 스타일
- 색상
뉴트럴한 색상 : 베이지, 자주색, 어두운 그린 혹은 올리브 그린 등
- 문양
전통적인 문양 : 헤링본, 체크, 하운드투스, 물방울 무늬(폴카 도트),
  • 가격12,6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3.10.2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