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과 향후 대응전략 - 국민역량으로 천안함 비극 극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안함 침몰과 향후 대응전략 - 국민역량으로 천안함 비극 극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향후 다섯 가지 과제

2. 원인 규명과 조사결과 기다려야

3. 유족 및 희생자 예우

4. 대응방향 설정의 난관과 딜레마

5 안보체계 점검과 국방선진화

6. 결론: 선진한국의 모습 보여주어야 할 때

본문내용

는 남한의 신형함정을 당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했을 것이다. 이를 보복하고자 강력한 어뢰공격을 선택하여 준비했고, 그 표적도 우리의 소형 경비 함이 아닌 중형 경비함을 선택함으로써 제2연평해전에서 보다 훨씬 더 많은 희생자를 내도록 만들어 우리 국민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기도록 더 강한 처방을 계획하였고 이 를 실행에 옮겼다.
북한이 이러한 과감한 도발방법을 선택한 저의는 천안함 침몰사건 후 전개되는 남한 정치권과 친북세력들의 반응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 북한은 의 도적으로 금강산에서 관광객인 박왕자씨를 피살하고 연천 물폭탄으로 피서객 6명이 실 종케 하고 또 다시 천안함 침몰사건을 일으켜 46명의 장병들이 희생시켜 국민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겨 결정적으로 남북관계를 경색시켜 그 책임을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정 책에 뒤집어 씌워 국민과 이명박 정부를 이간하려 하는 것이다. 북한이 이런 의도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배경에는 지난 좌파정권 10년 동안의 햇볕정책과 교육의 잘못으 로 북한의 실체와 적화통일 전략, 그리고 역사에 무지하여 625전쟁도 그 이후 수많은 북한의 도발도 모르게 만들고 반미사조를 주입하여 좌파정권 10년 동안이 평화스러웠다고 생각하는 20~40대의 주류세대가 있기 때문이다.
5. 결언
천안함 침몰사건의 원인은 앞에서 분석 한대로 좌파정권의 한.미연합사 해체결정과 20~40대의 오도된 세대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정부의 대응책 마련과 군에 대한 문책 인사가 핵심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 러나 정부의 대응책 마련과 군에 대한 책임소재도 북한이 천안함 침몰사건을 왜 이시 기에 이런 방법으로 일으켰는지 그 의도를 정확히 판단한 후 추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북한이 천안함 침몰사건을 일으킨 원인이 바로 우리 내부에 있고 이는 대남적 화 전략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천안함 침몰사건을 계기로 좌파정권이 추진한 한미연합사 해체결정 등 훼손 된 안보태세를 복원하고 왜곡되어있는 국민 특히 20~40대의 안보의식을 바로잡아 북한 이 더 이상 대남도발로 그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인식을 주어야 한다. 이 길만 이 이명박 대통령이 눈물을 흘리며 호명한 46명 장병들의 희생을 헛되지 않게 하는 것 이며,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길이자, 우리의 생명과 재산 그리고 자 녀들의 미래를 보장하는 길인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