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명
2. 단원의 성격
3. 대단원 학습 목표
4. 학습계획
5. 본시 학습목표
6. 판서계획
7. 본시․학습 계획
2. 단원의 성격
3. 대단원 학습 목표
4. 학습계획
5. 본시 학습목표
6. 판서계획
7. 본시․학습 계획
본문내용
남궁억을 백과사전에서 찾아봤었죠?
-이번 시간에는 또 다른 매체를 활용해 볼 거에요.
여러분들 혹시 책을 읽은 후에 내용이 너무 좋아서 영화를 찾아 본 적이 있나요?
-선생님은, 예전에 해리포터를 책으로 읽고 너무 재밌어서 영화까지 챙겨봤는데, 보고는 즐거움과 실망을 동시에 느낀 적이 있어요.
이렇게 같은 내용인데도 글로 읽을 때와 영상매체를 통해서 볼 때에는 많은 차이가 있죠.
오늘 수업할 내용도 바로 이것과 관련이 있답니다.
오늘은요, 소단원 (2)시집가는날의 제2장을 공부할거에요. 본문내용을 날개 문제 위주로 공부한 뒤, 시집가는날 영화와 연극으로 볼거에요.
그럼, 오늘 학습의 목표를 한번 살펴볼까요? 칠판 왼쪽에 나와있죠? 모두 함께 읽어볼까요?
-네 잘했어요.
강의법
문답법
4분
전개1
전개
2
읽기 전 활동
본문학습
감상
(자세히살펴보기)
-교과서 170쪽을 펴 볼까요?
-여러분은 이상적인 결혼 상대자의 조건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경제적 여유, 외모, 자신을 사랑해줌, 예의, 성격 활발, 능력 등)
-그렇다면 옛날 결혼의 조건은 어땠을까요?
(집안, 경제적인 면 등)
-그렇죠. 오늘 배울 ‘시집가는 날’이 바로 옛날 결혼 제도를 제재로 한 뮤지컬 극본입니다.
뮤지컬이 무엇인지는 다들 아시죠? 뮤지컬은 정확히 말해서,
(판서한다)
연극적 요소에 음악이나 무용을 결합시킨 형태로써, 현대 미국에서 발달한 음악극의 한 형식입니다.
-그럼 본문 내용 들어가기 전에, ‘시집가는 날’의 전체적인 줄거리를 알려줄게요.
-맹진사와 부인 한씨 사이에는 외동딸 갑분이가 있어요. 맹진사는 갑분이를 권문세도가인 김 판서 댁 자제 미언과 혼인시키려 하죠. 맹 진사가 미언은 보지도 않고 김 판서 댁의 권력만 보고 혼인시키려하자 맹 효원은 정의에 어긋난다며 반대합니다. 그러나 맹 진사는 말 안 듣고 그대로 진행시키죠. 그러다가 맹 진사는 미언의 용모가 정상이 아니라는 소리를 듣습니다. 다급해진 맹진사는 갑분이 대신 갑분이의 몸종 이쁜이를 미언과 혼인시키죠. 그러나 사실 미언은 용모와 풍채가 뛰어난 이였고, 맹 진사는 땅을 치고 후회하게 됩니다. 착한 이쁜이는 결국 판서 댁 며느리가 되죠. 권선징악의 구조를 띄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어서 본문으로 들어가 볼게요!
-지난 시간에 ‘시집가는 날’ 읽어오라고 숙제를 내줬죠? 다들 읽어왔죠?
-171쪽 16번째 줄을 봐주세요. 미언은 우물가에서 이쁜이의 고운 마음씨와 자태에 매혹되죠. 이 부분은 결말의 사건을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뒷장으로 넘어가 볼까요? 뒷장의 처음부터 7번째 줄 까지는 무대지시문입니다. 무대가 어떻게 꾸며져야 하는지를 나타내주는 부분이죠. 그 밑에 네 줄은 행동지시문입니다. 연기자들의 행동을 지시하는 부분이죠.
-그 밑의 맹 진사의 대사를 한번 볼까요? (가구 집기, 비단 피륙, 금은 보화…) 아, 봉고기는 상징 속의 동물입니다. 그리고 하늘 지렁이 갈비는 비현실적 소재죠? 이 맹 진사의 대사를 통해 우리는 맹 진사의 탐욕스럽고 사치스러운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옆 페이지의 날개문제를 해결해 볼까요? 맹 진사와 한씨가 딸의 혼사에 춤을 추며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요? oo ?
(권문세도가인 김판서네와 결혼해서)
-네, 맹 진사네가 권문세도가인 김판서네와 혼인하는 것을 아주 큰 경사로 생각하기 때문이죠.
인물 보다는 그 집안의 권력을 결혼의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는 모습이죠.
뒷 장으로 넘어갈게요.
-뒷 장의 5번째 줄 까지의 대사들에서 뭘 느낄 수 있어요? oo ?
(신분차별)
-이 부분에서는 조선시대의 신분차별을 알 수 있습니다. 몸종이었던 이쁜이는 차별을 당할 수 밖에 없었던 거죠.
-옆 페이지로 넘어가서 날개문제를 해결해 볼까요?
집안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oo ?
(갑분이의 혼사 때문에)
-그렇죠. 갑분이의 김 판서 댁과의 혼인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그에 대한 의논도 하기 위해서입니다.
-뒷 장으로 넘어갈게요. 뒷 장에서 맹효원과 맹 진사의 대화가 오고가죠? 맹효원은 신랑 될 미언을 보지도 않고 혼인을 허락한 맹 진사를 꾸짖으며 혼인을 반대하죠. 여기서 맹효원과 맹 진사의 성격이 딱 드럽납니다.
(판서)
맹효원은 강직하고 정의로우며 원칙을 중요시하는 사람이지만 맹 진사는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우며 위선적이죠.
-날개 문제를 볼까요? 맹효원과 맹 진사의 대사에는 속담이 두 개가 나오죠. 뭐죠? oo?
(경주 돌이면 다 옥돌이라더냐, 뺨을 맞아도 금가락지 낀 손으로 맞아라)
-그렇죠.
앞의 속담은, 가문 또는 집안이 좋다고 아들까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라는 말로 명문가의 자제라는 것만으로 그 사람을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뒤의 속담은, 어떤 봉변을 당해도 지위가 높거나 부자한테 당하는 것이 낫다는 말로 뭘하든 더 나은 집안과 인연을 맺으려는 것을 뜻합니다.
-이어서 177쪽을 볼게요. 177쪽의 맹 노인의 대사들을 한번 훑어보면, 맹 노인이 어때요? 정정한가요?
-아니죠? 맹 노인은 정신이 혼탁하고 귀도 잘 안들린다는 사실을 대사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22번째 줄의 맹 진사의 대사를 볼까요?
(가구 집기, 비단 피륙, …) 이 부분은 무엇을 나타낼까요?
바로, 맹 진사가 혼인에 집착하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죠? 맹 진사가 혼인에 집착하는 이유가 뭐에요?
oo? (그 혼사만 이루어지면 엄청난 재물들을 소유할 수 있기 때문)
-네, 여기서도 맹 진사의 탐욕스러운 성격이 잘 드러납니다.
-옆의 날개문제를 볼까요?
작은아버지 맹효원이 맹 진사에게 결혼 예물을 선채라고 말한 까닭이 무엇일까요?
결혼 예물 때문에 혼인에 대찬성인 맹 진사를 맹효원은 마땅치않게 여기죠. 그런 점에서 생각해보면,
예물이 너무나 사치스러워 매매 혼례에나 있을 법 하기 때문입니다.
-한장 넘겨볼까요? 179쪽 12번째 줄 맹효원의 대사를 살펴볼게요.(세도와 재물 탐내지 마라) 이 부분은 탐욕을 경계하는 맹효원의 성격을 나타냄과 동시에 이 뮤지컬의 주제를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주제 정리는 다음 시간에 제 3장까지 다 나가면 하도록 할게요!
-그럼 다음 페이지를 볼까요?
180쪽 7번
-이번 시간에는 또 다른 매체를 활용해 볼 거에요.
여러분들 혹시 책을 읽은 후에 내용이 너무 좋아서 영화를 찾아 본 적이 있나요?
-선생님은, 예전에 해리포터를 책으로 읽고 너무 재밌어서 영화까지 챙겨봤는데, 보고는 즐거움과 실망을 동시에 느낀 적이 있어요.
이렇게 같은 내용인데도 글로 읽을 때와 영상매체를 통해서 볼 때에는 많은 차이가 있죠.
오늘 수업할 내용도 바로 이것과 관련이 있답니다.
오늘은요, 소단원 (2)시집가는날의 제2장을 공부할거에요. 본문내용을 날개 문제 위주로 공부한 뒤, 시집가는날 영화와 연극으로 볼거에요.
그럼, 오늘 학습의 목표를 한번 살펴볼까요? 칠판 왼쪽에 나와있죠? 모두 함께 읽어볼까요?
-네 잘했어요.
강의법
문답법
4분
전개1
전개
2
읽기 전 활동
본문학습
감상
(자세히살펴보기)
-교과서 170쪽을 펴 볼까요?
-여러분은 이상적인 결혼 상대자의 조건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경제적 여유, 외모, 자신을 사랑해줌, 예의, 성격 활발, 능력 등)
-그렇다면 옛날 결혼의 조건은 어땠을까요?
(집안, 경제적인 면 등)
-그렇죠. 오늘 배울 ‘시집가는 날’이 바로 옛날 결혼 제도를 제재로 한 뮤지컬 극본입니다.
뮤지컬이 무엇인지는 다들 아시죠? 뮤지컬은 정확히 말해서,
(판서한다)
연극적 요소에 음악이나 무용을 결합시킨 형태로써, 현대 미국에서 발달한 음악극의 한 형식입니다.
-그럼 본문 내용 들어가기 전에, ‘시집가는 날’의 전체적인 줄거리를 알려줄게요.
-맹진사와 부인 한씨 사이에는 외동딸 갑분이가 있어요. 맹진사는 갑분이를 권문세도가인 김 판서 댁 자제 미언과 혼인시키려 하죠. 맹 진사가 미언은 보지도 않고 김 판서 댁의 권력만 보고 혼인시키려하자 맹 효원은 정의에 어긋난다며 반대합니다. 그러나 맹 진사는 말 안 듣고 그대로 진행시키죠. 그러다가 맹 진사는 미언의 용모가 정상이 아니라는 소리를 듣습니다. 다급해진 맹진사는 갑분이 대신 갑분이의 몸종 이쁜이를 미언과 혼인시키죠. 그러나 사실 미언은 용모와 풍채가 뛰어난 이였고, 맹 진사는 땅을 치고 후회하게 됩니다. 착한 이쁜이는 결국 판서 댁 며느리가 되죠. 권선징악의 구조를 띄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어서 본문으로 들어가 볼게요!
-지난 시간에 ‘시집가는 날’ 읽어오라고 숙제를 내줬죠? 다들 읽어왔죠?
-171쪽 16번째 줄을 봐주세요. 미언은 우물가에서 이쁜이의 고운 마음씨와 자태에 매혹되죠. 이 부분은 결말의 사건을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뒷장으로 넘어가 볼까요? 뒷장의 처음부터 7번째 줄 까지는 무대지시문입니다. 무대가 어떻게 꾸며져야 하는지를 나타내주는 부분이죠. 그 밑에 네 줄은 행동지시문입니다. 연기자들의 행동을 지시하는 부분이죠.
-그 밑의 맹 진사의 대사를 한번 볼까요? (가구 집기, 비단 피륙, 금은 보화…) 아, 봉고기는 상징 속의 동물입니다. 그리고 하늘 지렁이 갈비는 비현실적 소재죠? 이 맹 진사의 대사를 통해 우리는 맹 진사의 탐욕스럽고 사치스러운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옆 페이지의 날개문제를 해결해 볼까요? 맹 진사와 한씨가 딸의 혼사에 춤을 추며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요? oo ?
(권문세도가인 김판서네와 결혼해서)
-네, 맹 진사네가 권문세도가인 김판서네와 혼인하는 것을 아주 큰 경사로 생각하기 때문이죠.
인물 보다는 그 집안의 권력을 결혼의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는 모습이죠.
뒷 장으로 넘어갈게요.
-뒷 장의 5번째 줄 까지의 대사들에서 뭘 느낄 수 있어요? oo ?
(신분차별)
-이 부분에서는 조선시대의 신분차별을 알 수 있습니다. 몸종이었던 이쁜이는 차별을 당할 수 밖에 없었던 거죠.
-옆 페이지로 넘어가서 날개문제를 해결해 볼까요?
집안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oo ?
(갑분이의 혼사 때문에)
-그렇죠. 갑분이의 김 판서 댁과의 혼인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그에 대한 의논도 하기 위해서입니다.
-뒷 장으로 넘어갈게요. 뒷 장에서 맹효원과 맹 진사의 대화가 오고가죠? 맹효원은 신랑 될 미언을 보지도 않고 혼인을 허락한 맹 진사를 꾸짖으며 혼인을 반대하죠. 여기서 맹효원과 맹 진사의 성격이 딱 드럽납니다.
(판서)
맹효원은 강직하고 정의로우며 원칙을 중요시하는 사람이지만 맹 진사는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우며 위선적이죠.
-날개 문제를 볼까요? 맹효원과 맹 진사의 대사에는 속담이 두 개가 나오죠. 뭐죠? oo?
(경주 돌이면 다 옥돌이라더냐, 뺨을 맞아도 금가락지 낀 손으로 맞아라)
-그렇죠.
앞의 속담은, 가문 또는 집안이 좋다고 아들까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라는 말로 명문가의 자제라는 것만으로 그 사람을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뒤의 속담은, 어떤 봉변을 당해도 지위가 높거나 부자한테 당하는 것이 낫다는 말로 뭘하든 더 나은 집안과 인연을 맺으려는 것을 뜻합니다.
-이어서 177쪽을 볼게요. 177쪽의 맹 노인의 대사들을 한번 훑어보면, 맹 노인이 어때요? 정정한가요?
-아니죠? 맹 노인은 정신이 혼탁하고 귀도 잘 안들린다는 사실을 대사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22번째 줄의 맹 진사의 대사를 볼까요?
(가구 집기, 비단 피륙, …) 이 부분은 무엇을 나타낼까요?
바로, 맹 진사가 혼인에 집착하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죠? 맹 진사가 혼인에 집착하는 이유가 뭐에요?
oo? (그 혼사만 이루어지면 엄청난 재물들을 소유할 수 있기 때문)
-네, 여기서도 맹 진사의 탐욕스러운 성격이 잘 드러납니다.
-옆의 날개문제를 볼까요?
작은아버지 맹효원이 맹 진사에게 결혼 예물을 선채라고 말한 까닭이 무엇일까요?
결혼 예물 때문에 혼인에 대찬성인 맹 진사를 맹효원은 마땅치않게 여기죠. 그런 점에서 생각해보면,
예물이 너무나 사치스러워 매매 혼례에나 있을 법 하기 때문입니다.
-한장 넘겨볼까요? 179쪽 12번째 줄 맹효원의 대사를 살펴볼게요.(세도와 재물 탐내지 마라) 이 부분은 탐욕을 경계하는 맹효원의 성격을 나타냄과 동시에 이 뮤지컬의 주제를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주제 정리는 다음 시간에 제 3장까지 다 나가면 하도록 할게요!
-그럼 다음 페이지를 볼까요?
180쪽 7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