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장미의 이름>을 통해서 중세시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장미의 이름>을 통해서 중세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문

본문
1.장미의 이름
2. 인간상
3.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제 2권

마치며

본문내용

것처럼 <장미의 이름>은 영화라는 단 하나의 장르적 특성으로 평가하기엔 너무나 많은 것들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이다.
영화를 보면서 제목에서부터 영화의 인물들, 그리고 당시의 시대상에 관해 여러 가지 자료를 찾아보고 미처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깨닫고 교훈을 느끼면서 얻었던 ‘경험’ 들은
마치 오컴의 윌리엄이자 주인공 윌리엄이 주장했던 ‘경험론’ 을 몸소 체험한 듯 했다.
화려한 액션과 연출로 눈을 즐겁게 하는 영화들은 많지만 이것들은 지나고 나면 잊혀지기 마련이고 사람들은 항상 더 자극적이고 새로운 것을 원한다.
<장미의 이름> 앞서 언급한 것들과는 기술적인 부분과는 부합되지 않은 영화이다. 하지만 좋은 영화는 단순한 눈요기가 아니라 지식을 만들고 생각하게 하고 가슴에 오랫동안 남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면목에서 <장미의 이름>은 여러 가지를 충족해 주었다. 더불어 다소 다가가기 어려웠던 서양철학에 대한 사조와 ‘아리스토텔레스’ 라는 인물에 대해 좀 더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계기를 만들어 준 작품이다.
이런 기회를 만들어준 서양 철학사 수업과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하루하루 급 변화하는 시대인 만큼 지나가는 것들에 대한 미련이 없어지는 시대이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지나간 시간에 대해, 역사에 대해 무관심해졌다. 이러한 현상은 세대가 갈수록 더 심해지는 듯하다.
얼마 전 한 TV매체의 인터뷰를 보고는 충격을 금치 못했다.
우리나라 역사에 관한 기본 상식과 같은 질문이었는데, 청소년은 둘째치고 일반 젊은 층들도 전혀 알지 못했다. 물론 일부를 보고 전체를 판단할 수는 없지만, 상식을 떠나서 기본적으로 가져야할 역사적 사명의식이 부족했다는 점이 안타까웠다.
자국의 역사도 잘 모르는데, 우리나라가 아닌 타국의 역사적 사조를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장미의 이름>에서는 종교의 양면성과 폐단, 그리고 이성적 인간상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몇 세기가 지난 역사적 사실을 다뤘고 몇 십 년이 지난 영화에서 다뤘던 문제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현재까지 일어나고 있다.
‘과거로부터 미래를 예측한다.’ 라는 말이 있다. 과거가 없다면 미래도 없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과거에 대해 반성하고 배우며 교훈을 얻고 미래에 대한 새로운 지향점을 발견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영화가 많이 나와서 조금이나마 우리에게 역사적 사실을 알리고 새로운 교훈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면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