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롯데마트 와 이마트 기업선정배경
2. 롯데마트 기업소개
3. 롯데마트 중국진출 전략
4. 롯데마트 마케팅 성공요인 분석
5. 이마트 기업소개
6. 이마트 중국진출 전략
7. 이마트 마케팅전략분석과 실패요인분석
(1) SWOT분석
(2) 마케팅믹스 4P 전략분석 - 현지화 전략을 토대로
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3) 이마트 중국시장진출 실패요인 분석
8.시사점
2. 롯데마트 기업소개
3. 롯데마트 중국진출 전략
4. 롯데마트 마케팅 성공요인 분석
5. 이마트 기업소개
6. 이마트 중국진출 전략
7. 이마트 마케팅전략분석과 실패요인분석
(1) SWOT분석
(2) 마케팅믹스 4P 전략분석 - 현지화 전략을 토대로
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3) 이마트 중국시장진출 실패요인 분석
8.시사점
본문내용
공격적인 인수합병으로 몸집을 키웠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현지 대형마트 체인인 타임스를 인수해 단숨에 78개 매장을 보유한 현지 14위 업체가 되었다. 국내 유통업만 담당하고 해외 진출에 경험이 없던 롯데마트의 장애요인을 적극적인 M&A전략을 취함으로써 첫 해외진출한 정보와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롯데마트의 WEAKNESS요인을 극복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STRENGTH요인으로는 입지 선택을 들 수 있다. 중국 내 대형 마트 시장을 살펴보면 2011년 상반기 기준 약 2000여개로 매달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로 전 세계 다 국 기업과 토종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롯데마트는 대도시는 임대료가 비싼데다가 까르푸, 월마트와의 치열한 경쟁 등으로 이윤이 쉽게 나지 않는 점을 감안해 앞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인구 100-300만 정도의 중소도시에도 진출을 하였다.
세 번째 STRENGTH요인으로는 현지인의 고용률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롯데마트는 모든 지점의 지점장을 현지인으로 고용하고 한국인 직원을 최소화 함 으로써 인적비용을 절감하였다. 이렇게 현지인 비율이 높아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현지 고객 성향 및 영업환경을 잘 알 수 있게 되었고 매장특성이나 소비자의 특성 및 인식들을 경영전략으로 잘 활용을 하였다. 또한 현지인들을 고용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현지인들도 고용창출이 됨으로써 롯데마트에 호의적 인식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으로 OPPORTUNITY요인 중에 첫 번째로 한류를 들 수 있다. 중국인들에게 한국이라는 나라는 고급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이 점은 롯데마트에 있어서 매력요인이 되었고 최근에 불고 있는 한류까지 더해져 한국 상품에 있어서 상당히 호의적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롯데마트는 이를 수익으로 이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이마트가 한국 상품을 상당히 많이 진열하여 이 대형마트가 한국기업 이미지가 상당히 강하였는데 롯데마트는 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게 하여 중국의 돈의 한국의 본사로 빠져나가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했다.
두 번째 OPPORTUNITY요인으로는 중국의 국가 실정을 잘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중국은 소비구조와 행태가 급변하고 소비자 유형이 복잡하여 의식구조 또한 알아내기 쉽지 않다. 또한 지역별로 소비문화가 다르며 연령별, 성별로 소비철학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등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먼저 중국 정부는 2002년 이후 내수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고 특히 자동차, 주택, 통신전자 제품에 대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 중국 소비시장을 더 가까이 들여다보면 도시와 농촌, 연해와 내륙 지역, 소득 계층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예로 중국 전체 GDP가 800달러 수준인데 비해 상하이, 베이징 등 주요 도시의 GDP는 4000달러에 이른다. 하지만 앞으로의 중국의 중서부 지방들의 성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이런 잠재력을 본 롯데마트는 이 기회를 놓칠 수가 없었다. 아직은 중국 동부지방에 비해 소득수준이 한창 떨어지지만 중국 정부가 중서부 지방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 이 쪽 지역의 소득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롯데마트는 중국을 하나의 중국으로 본 것이 아니라 세분화 된 중국으로 본 것이다. 한 예로 밑에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서부 지방의 롯데마트 외관하고 대도시의 롯데마트 외관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중서부 지방의 롯데마트 외관은 상당히 친근한 이미지가 있지만 대도시의 롯데마트 외관은 중서부 지방의 롯데마트 외관에 비해 고급적인 이미지가 있다.
롯데마트의 WEAKNESS요인으로 빠른 현지화의 급선무를 들 수 있다. 롯데마트는 중국시장에 다른 유통업체보다 후속주자로 진출하였기 때문에 경쟁업체에 비해 뒤쳐져 있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위해 빠른 현지화 전략이 필요 하였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롯데마트가 실행하고 있는 현지화 전략으로는 첫 번째로는 식품매장의 비율이 전체매장 비율에서 반절을 차지한다는 점과 즉석식품 매장이 우리나라의 3,4배 크기라는 점이다. 중국 소비자의 습관을 정확히 파악한 롯데마트가 차별화 된 현지화 전략으로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 하고 있다. 식품 매장이 전체 매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 마트의 구성을 바탕으로 신선 식품 코너, 즉석 먹거리 코너 등 현지 상권에 특화 된 전략과 대형 마트의 기본인 가격 조절, 그리고 서비스 부분을 강화하여 소비자 공략에 나선 결과 2011년 9월말 현재 중국 내 86개의 매장을 설립하며 중국 시장 진출 이후 대형 마트 시장의 경쟁구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롯데마트는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식품 매장에 가장 신경을 많이 썼으며 질이 우수한 신선 식품(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동시에 직접 “셔틀버스” 운영과 “배달서비스” 문화를 제공하는 등 롯데마트만의 차별화 된 현지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두 번째 현지화 전략으로 식재료의 가공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중국 마트에서 내장까지 깨끗이 손질한 생선이 거의 팔리지 않던 사례는 유명한 일화다. 한국 소비자들은 조리할 때 손이 덜 가는 손질된 생선을 좋아한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죽은 생선은 잘 사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가짜 상품이 많아 먹을거리에 대한 불신이 많은 현지인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롯데마트는 산 생선을 큰 수족관에 넣어둔 채 육류와 어패류 등을 미리 손질해 파는 게 아니라 고객이 보는 앞에서 손질해 준다.
세 번째 현지화 전략으로 쇼핑 동선을 찾아 볼 수 있다. 국내 매장에서는 고객들이 자유롭게 매장을 돌아다니며 매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고 대량 구매 쇼핑하는 한국 사람에게 맞추어진 구조인 ‘양방향 동선’을 취하고 있는 반면 중국인들은 중국 시장에 앞서 진출한 월마트의 ‘일방향 동선’에 익숙해져 있다는 점과 대량구매를 좀처럼 하지 않는 중국인들의 쇼핑 습관을 고려하여 롯데마트도 ‘일방향 동선’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 번째 현지화 전략으로는 상품의 진열 방식과 내부구조를 중국인의 기호에 맞추었다는 점이다. 중국인들은 상품이 높게 진열되어 있으면 싸다는 인식을 강하게 갖고 있기
두 번째 STRENGTH요인으로는 입지 선택을 들 수 있다. 중국 내 대형 마트 시장을 살펴보면 2011년 상반기 기준 약 2000여개로 매달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로 전 세계 다 국 기업과 토종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롯데마트는 대도시는 임대료가 비싼데다가 까르푸, 월마트와의 치열한 경쟁 등으로 이윤이 쉽게 나지 않는 점을 감안해 앞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인구 100-300만 정도의 중소도시에도 진출을 하였다.
세 번째 STRENGTH요인으로는 현지인의 고용률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롯데마트는 모든 지점의 지점장을 현지인으로 고용하고 한국인 직원을 최소화 함 으로써 인적비용을 절감하였다. 이렇게 현지인 비율이 높아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현지 고객 성향 및 영업환경을 잘 알 수 있게 되었고 매장특성이나 소비자의 특성 및 인식들을 경영전략으로 잘 활용을 하였다. 또한 현지인들을 고용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현지인들도 고용창출이 됨으로써 롯데마트에 호의적 인식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으로 OPPORTUNITY요인 중에 첫 번째로 한류를 들 수 있다. 중국인들에게 한국이라는 나라는 고급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이 점은 롯데마트에 있어서 매력요인이 되었고 최근에 불고 있는 한류까지 더해져 한국 상품에 있어서 상당히 호의적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롯데마트는 이를 수익으로 이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이마트가 한국 상품을 상당히 많이 진열하여 이 대형마트가 한국기업 이미지가 상당히 강하였는데 롯데마트는 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게 하여 중국의 돈의 한국의 본사로 빠져나가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했다.
두 번째 OPPORTUNITY요인으로는 중국의 국가 실정을 잘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중국은 소비구조와 행태가 급변하고 소비자 유형이 복잡하여 의식구조 또한 알아내기 쉽지 않다. 또한 지역별로 소비문화가 다르며 연령별, 성별로 소비철학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등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먼저 중국 정부는 2002년 이후 내수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고 특히 자동차, 주택, 통신전자 제품에 대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 중국 소비시장을 더 가까이 들여다보면 도시와 농촌, 연해와 내륙 지역, 소득 계층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예로 중국 전체 GDP가 800달러 수준인데 비해 상하이, 베이징 등 주요 도시의 GDP는 4000달러에 이른다. 하지만 앞으로의 중국의 중서부 지방들의 성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이런 잠재력을 본 롯데마트는 이 기회를 놓칠 수가 없었다. 아직은 중국 동부지방에 비해 소득수준이 한창 떨어지지만 중국 정부가 중서부 지방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 이 쪽 지역의 소득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롯데마트는 중국을 하나의 중국으로 본 것이 아니라 세분화 된 중국으로 본 것이다. 한 예로 밑에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서부 지방의 롯데마트 외관하고 대도시의 롯데마트 외관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중서부 지방의 롯데마트 외관은 상당히 친근한 이미지가 있지만 대도시의 롯데마트 외관은 중서부 지방의 롯데마트 외관에 비해 고급적인 이미지가 있다.
롯데마트의 WEAKNESS요인으로 빠른 현지화의 급선무를 들 수 있다. 롯데마트는 중국시장에 다른 유통업체보다 후속주자로 진출하였기 때문에 경쟁업체에 비해 뒤쳐져 있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위해 빠른 현지화 전략이 필요 하였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롯데마트가 실행하고 있는 현지화 전략으로는 첫 번째로는 식품매장의 비율이 전체매장 비율에서 반절을 차지한다는 점과 즉석식품 매장이 우리나라의 3,4배 크기라는 점이다. 중국 소비자의 습관을 정확히 파악한 롯데마트가 차별화 된 현지화 전략으로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 하고 있다. 식품 매장이 전체 매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 마트의 구성을 바탕으로 신선 식품 코너, 즉석 먹거리 코너 등 현지 상권에 특화 된 전략과 대형 마트의 기본인 가격 조절, 그리고 서비스 부분을 강화하여 소비자 공략에 나선 결과 2011년 9월말 현재 중국 내 86개의 매장을 설립하며 중국 시장 진출 이후 대형 마트 시장의 경쟁구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롯데마트는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식품 매장에 가장 신경을 많이 썼으며 질이 우수한 신선 식품(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동시에 직접 “셔틀버스” 운영과 “배달서비스” 문화를 제공하는 등 롯데마트만의 차별화 된 현지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두 번째 현지화 전략으로 식재료의 가공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중국 마트에서 내장까지 깨끗이 손질한 생선이 거의 팔리지 않던 사례는 유명한 일화다. 한국 소비자들은 조리할 때 손이 덜 가는 손질된 생선을 좋아한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죽은 생선은 잘 사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가짜 상품이 많아 먹을거리에 대한 불신이 많은 현지인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롯데마트는 산 생선을 큰 수족관에 넣어둔 채 육류와 어패류 등을 미리 손질해 파는 게 아니라 고객이 보는 앞에서 손질해 준다.
세 번째 현지화 전략으로 쇼핑 동선을 찾아 볼 수 있다. 국내 매장에서는 고객들이 자유롭게 매장을 돌아다니며 매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고 대량 구매 쇼핑하는 한국 사람에게 맞추어진 구조인 ‘양방향 동선’을 취하고 있는 반면 중국인들은 중국 시장에 앞서 진출한 월마트의 ‘일방향 동선’에 익숙해져 있다는 점과 대량구매를 좀처럼 하지 않는 중국인들의 쇼핑 습관을 고려하여 롯데마트도 ‘일방향 동선’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 번째 현지화 전략으로는 상품의 진열 방식과 내부구조를 중국인의 기호에 맞추었다는 점이다. 중국인들은 상품이 높게 진열되어 있으면 싸다는 인식을 강하게 갖고 있기
추천자료
LG전자 중국시장 진출 전략
[사회과학] LG 휘센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락앤락(하나코비)
LPI엔진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한국기업의 중국화장품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 진출 - ‘STP전략’ 중심으로
VIPS의 중국시장 진출에 따른 STP마케팅 전략
아모레퍼시픽, 태평양의 중국시장 진출
SM Entertainment 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삼성전자 애니콜의 중국시장 진출 마케팅 전략
애니콜 중국시장 진출 전략(-한글)
MP3의 중국시장 진출 성공요인 및 경영전략과 마케팅 전략 총체적 조사분석
국내 음식료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현황 분석 - KT&G, 오리온, 롯데제과, CJ제일제당, 롯...
이마트(E-Mart)의 중국시장 진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