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메니우스(Comenius)의 유아교육사상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메니우스(Comenius)의 유아교육사상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코메니우스는 누구인가?
 2. 코메니우스의 기독교적 배경과 그의 신학
 3. 유아교육사상이 소게된 중요한 문서와 성경사용
 4.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핵심
 5.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사상
  1) 코메니우스의 유아에 대한 인간이해와 교육목적
  2) 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
  3) 유아기의 교육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4) 유아기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교육의 범위와 내용
  5) 유아기학교에서의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1) 제 1단계: 입문반과 신생아학급
   (2) 제 2단계: 젖먹이 학급
   (3) 제 3단계: 옹알이와 첫 걸음을 시작하는 학급
   (4) 제 4단계: 지각사용의 학급 
   (5) 제 5단계: 도덕성과 경건성의 학급
   (6) 제 6단계: 공동적이며, 실제적인 학교로서 어머니 품의 학급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 정식 학교교육을 받지 못하다가, 16세에 이르러 프레라우(Prerau)에 있는 라틴학교에 들어갔고, 그 학교를 마친 후에 독일의 헤어보른(Herborn)에 있는 독일개혁파교회의 인문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게 된다(1611-12). 이 학교에서 코메니우스는 두 스승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그들은 알스테드(F.Alsted)Alsted는 헤어보른 대학의 출신자로서, 그 당시 코메니우스를 가르친 철학교수였다. 그리고 1618년에 파사우지역의 교회 대표로, 화란 도르트레히트 총회에 대표로 참석하였고, 그 곳에서 구원의 5대 교리를 작성하는데 크게 활동한 분으로 알려졌다. 후에 1619년부터 그 학교의 신학교수가 되었다. 코메니우스 보다는 4년 선배였다. 참고, Wilhelms Rood, Comenius and The Low Countries, Amsterdam, Praha, New York, 1970, pp.21.
와 피셔(J.Fischer)이다. 특히 알스테드에게서 범지혜(Pansophia)사상에 대한 것과 천년왕국 사상에 큰 영향을 입게 된다. 다시 하이델베르그(Heidelberg)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는데(1613), 이 대학은 독일에서 칼빈의 개혁신학을 가르치는 중심지였다. 스승으로는 파라켈수스(Paracellsus)와 캄파넬라(Kampa- nella), 라트케(Ratke), 뵈메(Bohme), 아른트(Arndt) 등으로 알려져 있다. 교수학에 대해서는 라트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트케의 교수학은 코메니우스에게서 새로운 교수학 이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코메니우스는 대학을 마친 후에 1614년 모교인 프레라우(Prerau)의 라틴학교에서 라틴어와 체코어를 가르치는 언어교사로 일하게 된다. 1616년 형제연합교회에 목사로 안수를 받았으며, 1618년에 플넥(Fulnek)에 있는 형제연합교회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목사와 교사로 일하게 된다. 그 해에 결혼을 하였다. 얼마 있지 않아 구라파의 비극적인 종교전쟁이 돌발되었는데, 그것이 30년 동안계속 된 종교전쟁의 시작이었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박해로 코메니우스는 다른 개신교 신도들과 함께 피난길을 떠나게 된다. 1622년 그 당시 유행한 전염병으로 그의 아내와 두 아들을 잃어버렸다. 이때에 받은 충격으로 세상의 미로와 마음의 천국이란 책을 쓰게 된다. 이 책에서 인간은 미로의 세계를 거쳐 영원한 구원으로 가는 영혼의 순례자로 묘사되었으며, 기독교 신앙의 경건함과 삶의 고통에 큰 위로를 주는 책이었다. 서사시 형식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오늘날 체코 문학계에서 높이 평가되는 고전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이 책은 어그스틴의 ‘신국’과 캄파넬라의 ‘유토피아, 태양의 나라’와,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그리고 에라스무스의 ‘무지의 찬양’과 유사한 것들이라 하겠다. 그리고 코메니우스가 죽은 후 8년 된 해에 코메니우스의 ‘세상의 미로와 마음의 천국’이란 이 책을 모방한 존 번연의 ‘천로역정’이란 글이 나타나게 된다(1678년).
.
1624년 코메니우스(Comenius)는 두 번째 결혼을 하게 되고, 그때 가톨릭교회의 예수회 파의 극심한 박해로 형제연합교회와 함께 망명의 길을 찾게 된다. 그리고 1627년 보헤미아 지역의 모든 프로테스탄트에게 고향을 떠나도록 강요되었을 때, 폴란드 리사에 마련된 망명 처로 형제단을 피난시킨다. 여기서 코메니우스는 새로운 세계로 향한 개방적이며, 창의적인 생의 단면이 시작된다. 그리고 이때에 그는 이미 이전의 인문학교에서 라틴어와 보헤미아어(체코)를 가르친 경험과 함께 언어학습의 방법론과 유아의 교육에 대한 교수학의 첫 작품들을 발표한다(1628-32). 그것들이 ‘보헤미아의 교수학’(Bohmische Didaktik)이란 책과 ‘어머니학교의 소식’(Informatorium skoly materske), 그리고 “열려진 언어의 문”(janua linguarum reserata)등이다. ‘열려진 언어의 문’이란 책은 벌써 라틴어를 배움에 낱말과 사물을 병행하여 배우도록 한 새로운 교수법이 적용된 책이었다. 이 책이 여러 회 거듭 출판되면서 코메니우스는 이미 구라파 일대에 교육자로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1632년 코메니우스는 형제연합교회의 장로로 선출되었다. 그리고 그는 교회의 모든 출판의 책임을 겸한 서기로 일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리사의 인문학교 운영권도 함께 넘겨받았다. 그리고 학교교육을 위한 책들을 저술하게 되는데, 앞서 소개한 ‘보헤미아의 교수학’, ‘어머니학교의 소식’, ‘열려진 언어의 문’ 등, 이러한 책들은 기본적으로 기독교 세계관의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교수학(Didaktik)이란 코메니우스에게 있어서 창조주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의 모든 것을 알고, 그 창조주의 뜻을 따라 사물이 올바르게 사용되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세상의 모든 지식에 대한 가르침’을 인간에게 접근시키는 범지혜의 배움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게 된다. 그리고 그의 교육철학의 주된 명제인 범지학(Pan-sophie)은 학문과 철학과 신학을 연결시키며, 그 당시 30년 종교전쟁으로 암흑에 휩싸인 구라파의 붕괴적 위기의 상황을 평화의 시대로 이끌어 주는 길 안내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TRE, Bd.3 Comenius, S.
코메니우스는 1628년 이후에 리사(Lissa)에 체류하는 동안 코터(Christopher Kotter)의 예언과 포이아토브스카(Christine Poniatowska)의 환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이유는 지금 보헤미아 형제연합교회와 보헤미아 인들에게 조국으로 돌아갈 희망을 갖도록 해 주려는 의도에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예언과 관련하여 “진실된 예언과 거짓된 예언”(De veris et falsis prophetis)이란 글을 쓴다. 이러한 조국으로의 귀환에 대한 꿈은 프로테스탄트 편을 위해 전쟁을 주도 했던 스웨덴의 왕 칼 구스타프(Karl Gustav X)의 죽음으로 좌절되고 만다.
1639년 코메니우스는 ‘범지혜의 서설’(Prodromus pansophiae)이란 글을 쓰게 된다. 그리고 이 원고를 먼저 영국에 간 그의 친구 하르트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4.02.0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