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MISSHA) 성공요인분석,미샤 마케팅전략분석,미샤 경쟁사(더페이스샵,스킨푸드)전략 비교분석, 미샤 향후 마케팅전략 제안(설문지 및 설문조사결과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샤(MISSHA) 성공요인분석,미샤 마케팅전략분석,미샤 경쟁사(더페이스샵,스킨푸드)전략 비교분석, 미샤 향후 마케팅전략 제안(설문지 및 설문조사결과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미샤 기업 소개
(1) 미샤 기업미션
(2) 미샤 연혁
(3) 미샤 제품소개 및 동향
(4) 미샤 선정배경

Ⅱ. 본론
1. 화장품 시장 분석
(1) 거시 환경 분석
(2) 미시 환경 분석 (3C분석)
 자사 분석
1) 브랜드 concept & 매장 concept
2) 미샤 성공 요인분석
3) 미샤 SWOT 분석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요인(opportunity)
위협요인(threat)
②경쟁사 분석
1) THE FACE SHOP 더페이스샵
-더페이스샵 성공 요인
- 더페이스샵의 SWOT 분석
2) 스킨푸드
- 스킨푸드 성공요인
- 스킨푸드 SWOT 분석

③ 유통환경 분석
-미샤의 유통구조 & 경쟁사 유통구조
④ 고객 분석
(3) 미샤 STP분석
① STP 분석 목적 & 세분화 선정 이유
②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미샤 예상 마케팅 4P 전략
- 4P 목적 및 방향
①Product 전략
②Place 전략
③Promotion 전략
④Price 전략
(5) 설문조사 분석
①설문조사 목적 & 필요성
②설문조사 대상
③설문지의 구성
④설문조사 분석 방법 및 조사 결론
(6)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른 미샤 4P 전략제안
①Product 전략
②Place 전략
③Promotion 전략
④Price 전략


Ⅲ. 결론
1. 미샤 향후 전략제안

참고문헌

* 별첨 설문지
설문지
*별첨 설문조사 분석 방법 및 조사 결론

본문내용

할 수 있게 되었다.
2) 스마트폰
스마트폰의 발달은 모든 소비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판매구조와 전략이 많이 바뀌었는데, 스마트폰의 발달은 인터넷의 발달과 연관이 깊다. 예전에는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을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적/시간적 제약이 있었지만, 요즘은 스마트폰을 통한 상시접속이 가능하므로 언제 어느 곳에서든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기업들은 각종 앱을 통해 자신들의 상품을 홍보하고 있다.
3) 소셜커머스
소셜커머스 산업의 발달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소비패턴을 바꾸게 하고 있다. 합리적인 소비를 하려는 소비자에게 가격 메리트를 제공해 보통의 제품의 구매를 망설이게 하며 충동적인 구매를 하는 소비자에게 가격 메리트를 제공해 제품의 신속한 구매를 촉진시킨다. 소셜커머스 산업이 덜 발달할수록 소비자들에게 끼치는 영향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소셜커머스와 연계된 사업이나 기획을 추진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것에 초점을 기울여야 한다. 미샤같은 저가화장품 시장에게 있어서 소셜커머스 산업의 발달은 어느 정도 악재를 끼칠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고가 화장품이 소셜커머스와 연계하는 사업이나 기획에 있어서 저가 화장품보다 더욱 더 큰 메리트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이미 가격의 거품을 뺀 저가화장품은 소셜커머스를 통한 가격 할인은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③경제 변화
1)경기침체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세계경제는 급격히 위축되었으며, 그것은 국내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경기침체는 소비의 둔화로 이어졌고 현재까지 경기는 크게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GDP 성장 예측치는 약 1~2% 수준이며 저가화장품 시장에 있어서 경기침체는 악재일수도 있으며 호재일수도 있다. 소비는 위축되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저가 화장품 시장은 경기침체시기에 합리적인 가격을 제공하므로 오히려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제침체기 일수록 사람들은 저가화장품 같은 소비재에 대한 소비를 오히려 늘어나는 현상이 존재할 정도로 저가 화장품 시장은 경기침체가 기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국내 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갈수록 커져가고 있으며 약 4%의 성장을 이뤄내고 있다. 게다가 경기는 점점 호조양상을 띄고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을 받기 힘들 수도 있다.
2) 원자재 가격 상승
경기침체와 더불어 전 세계 시장의 대부분의 원자재 가격은 인상하고 있다.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장품은 시장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추세이고 천연화장품 시장이 규모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수입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 원자재의 가격 상승은 원가절감과 가격으로 승부해야하는 중저가 화장품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국의 경우 2009년 전년에 비해 82% 수입이 성장할 정도로 비중이 커지고 있다.
3) 환율 변화
대부분의 중저가 화장품 시장의 국내시장은 이미 경쟁 심화이자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해외로 진출을 하고 있다. 최근 세계 각종 금융위기와 미국의 위기로 인해 환율의 변동이 매우 크며, 또 위부에 위협에 상대적으로 약한 한국 외환시장은 다른 국가에 비해 크게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또한 3000억달러의 외환보유액을 가지고 있지만, 불안함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아 환율의 변동성을 주시해야함. 미샤의 경우는 중국으로 시장 진출을 하고 있는 상태 이므로 중국의 정세에 크게 신경을 써야할 것이다.
④정치 변화
1) 한/미FTA
한미 FTA 를 통한 미국 화장품의 관세율 8%가 철폐되면 미국회사들은 그 전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한국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게 된다. 그럼 현재 2위를 차지하는 미국의 화장품 회사에 시장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 것이다. 가격할인보다는 좀 더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한 시장 점유 확보에 신경을 쓸 것이므로 기존 국내기업에게는 위협이 될수 있다.
2) 한/EU FTA
한/EU FTA 는 국내 화장품 기업에게는 악재가 될 전망이다. 세계 화장품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EU와의 FTA는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한-EU FTA 가 발효되면 이후 5년간 연평균 3,269만 달러의 무역수지 추가 적자가 발생하며 생산은 345억 원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 미시 환경 분석 (3C분석)
자사 분석
에이블 C&C의 화장품 브랜드로 중저가 화장품 열풍과 시장을 만든 브랜드로써 꾸준히 브랜드숍 시장에서 매출 2위를 지켜오고 있다. 미샤는 뷰티넷을 통한 고객과의 끊임없는 소통으로 화장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광고, 유통점의 입점까지 고객을 참여시킬 정도로 프로슈머 브랜드로서 성장해 왔다. 철저한 아웃소싱, 포장이나 용기보다는 내용물 위주의 구성해 화장품이 비쌀 필요가 없으며, 성분을 공개해 화장품의 불필요한 거품비용을 줄이고 고객에게 합리적인 소비를 제공하며 자사의 이익을 내는 것이 회사의 목표이다.
1) 브랜드 concept & 매장 concept
미샤의 로고인 러브 플라워 love flower는 맑고 깨끗함을 의미하는 white 컬러 위에 부드럽고 율동적인 Red 컬러 꽃잎으로 표현했으며 모든 여성의 아름다움과 도전 그리고 정열을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시각적으로 편안하면서 오랫동안 변함없이 기억될 수 있는 브랜드 네임으로 함께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Love your skin, Love your soul 이라는 슬로건을 통해서 화장품이 필수재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soul을 강조함으로써 내용물을 강조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2) 미샤 성공 요인분석
저가 고품질
그전까지 비싼 화장품이 좋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저가 화장품도 고가 화장품과 품질의 차이가 없으며 고가 화장품은 거품이며 불필요한 비용을 줄여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여 기업이 이익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게 미샤의 정책이다. 저 가격 임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의 성분을 공개하여 고객들에게 설득력을 주었고 기존 화장품에 비해 매우 낮은 가격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프로슈머 마케팅
미샤는 특히 프로슈머 마케팅을 통해 크게 성공하였다. 미샤의 가장 큰 경쟁력인 뷰티넷을 통해 고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되었기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4.02.25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6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