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하부호흡기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하부호흡기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조와 기능

Ⅱ. 건강사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 후 흉관을 삽입하게 되고 기침과 심호흡을 해야하는 것을 설명한다.
- 흉벽 중간 세군데를 작게 잘라 절개선을 통해 조직을 치료하고 검사한다.
- 시술 후에는 폐를 재팽창 시키기 위해 흉관을 삽입한다.
- 마취시간이 짧고 통증이 적으며 입원기간이 짧고 하부 폐엽조직을 검사할 수 있다.
7) 폐생검
- 기관지경을 이용하거나 수술시 개방된 폐에서 검사한다.
- 악성 종양조직을 확진할 수 있다.
- 검사 후 객담에서 피가 섞여 나오거나 호흡 장애 증상을 관찰한다.
8) 흉곽 천자
진단적 및 치료적 목적으로 흉벽을 통해 흉막강에 바늘을 삽입하는 것이다.
(1) 시술 전 간호
- 목적과 방법 절차를 설명하고 검사가 끝난 후 불편감이 있음을 설명한다.
- 검사 중에 환자가 갑자기 움직이면 주사바늘로 인해 간이나 폐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 검사 중 흉막강 내로 대기의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사바늘과 주사기의 연결부분이 꼭 맞는지 확인하며, 흉막강내 삼출액은 쉽게 응고되므로 구연산 나트륨이나 구연산 칼륨 튜브 또는 헤파린 튜브를 검체에 수지반다.
- 환자는 앉은 자세에서 머리와 상체를 구부리고 팔과 어깨를 올리는 자세가 가장 적절하다.
(2) 시술 중 간호
- 시술자는 x-선 촬영 필름을 보고 천자 부위를 선정한다.
- 국소마취 후 주사기로 삼출액을 빼내게 되는 데 바늘을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검사는 무균적으로 실시하며, 삼출액은 천천히 흡인하고 순환허탈을 예방하기 위해 1200ml이상 뽑아내지 않는다.
(3) 시술 후 간호
- 바늘을 뺀 자리는 소독거즈로 압박드레싱을 해야하며, 환자를 1시간 정도 천자 부위가 위로 가도록 측와위를 취하게 하여 천자부위로 삼출물이 다시 차지 않도록 한다.
- 검체는 바로 검사실로 보내고 삼출물의 양과 특성 및 검사 중 환자 느낌, 검사 후 환자 상태를 기록한다.
- 쇼크와 같은 합병증에 유의 하며 천자 후 x선 촬영을 통해 삼출액이나 공기가 남아 있는지, 폐가 완전히 재팽창되는지 확인한다.
9) 폐기능검사
- 폐질환을 진단하고 질환의 진행상태를 평가하며 기관지확장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폐의 용적과 공기흐름을 측정한다.
- 폐활량, 최대 환기량, 강제 중간호기 유속 등을 검사하고 기관지 확장재를 분무한 후 다시 검사할 경우 검사결과가 증가하면 기관지 확장제 치료로 호전됨을 알 수 있다.
- 검사방법은 컴퓨터에 환자의 연령, 성별, 키, 체중을 입력하여 예측 값을 산출하며 폐기능 검사결과만으로 특정 폐질환을 진단할 수 없으므로 다른 소견을 확인해야 한다.
- 검사 전에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검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환자는 검사전 흡연해서는 안되고 4-6시간 전부터는 기관지 확장제를 먹어서도 안된다.
- 환자의 코를 집게로 막고 폐량계에 연결된 관을 입에 물고서 입으로만 숨을 쉬게 한다.
(1) 1회 호흡량 TV
안정시 매호흡마다 들이쉬거나 내쉬는 공기의 양으로 정상치 500ml이다.
(2) 흡기예비량 IRV
정상 흡기가 끝난 후 더 들여 마쉴 수 있는 공기의 양, 정상치 3000ml이다.
(3) 호기 예비량 ERV
정상적인 호기 후 더 호기해 낼 수 있는 공기의 양, 약 1000ml이다.
(4) 잔기량 RV
최대호기가 끝난 후 폐 내에 남아 있는 공기이며, 1500ml정도이다.
(5) 흡기 용량 IC
보통의 호기가 끝난 후 최대로 들여 마쉴 수 있는 공기량, 3500ml
(6) 기능적 잔기량 FRC
정상호기 후 폐 내에 남아있는 공기의 양
기능적 잔기량과 호기예비량에 잔기량을 더한 것 2500ml
(7) 폐활량 VC
힘껏 들이쉰 후 힘껏 내쉰 공기의 최대량
폐질환을 진단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 폐기능 검사의 가장 중요한 기본요소이다. 4500ml
(8) 전폐용량 TLC
폐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공기 양
기능적 잔기량에 흡기용량을 더하거나 폐활량과 잔기량을 더한 것. 6000ml
(9) 분당 호흡량 minute volume
1분동안 폐로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총량을 말한다.
안정시 1회 호흡량에 1분간의 호흡수를 곱한것 6000~7500ml
폐질환시 감소한다.
(10) 강제 호기량 FEV
1초, 2초, 3초 간격으로 측정하여 초당 강제호기량 이라고도 한다.
폐활량을 다 호기해 내는데 4초이상 걸리면 폐쇄성 폐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강제폐활량에 대한 1초 강제호기량의 비율이 예측값이 80%이상이면 정상수준
(11) 강제 호기 유속 FEF200~1200
강제 폐활량 호기 시 처음 호기 1000ml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큰 기도의 공기 흐름을 평가
분당 250~450L이며, 심한 폐쇄성 폐질환시 분당 60L 이하로 감소
(12) 강제 중간호기 유속 FEF36~75%
강제 폐활량의 초기와 말기 25%를 제외한 중간 50%의 환기량을 나타냄, 평균 분당 252L
(13) 최고 호기유속 PEFR
강제 호기시의 최고 유속, 정상수준은 분량 600L 이상
(14) 최대 환기량 MVV
- 최대 호기량(MBC)이라고도 하며 공기의 흐름, 근육의 강도, 흉곽과 폐의 팽창성, 기도 저항을 검사하는 것이다.
- 의식적으로 가능한 깊고 빠르게 숨을 쉬게 하여 공기양을 측정하게 하는데, 총 공기의 양을 계산하여 분당 환기량으로 표시한다. 평균치는 분당 170L
- 여자나 노인의 경우 낮고, 중등도나 심한 만성 폐쇄성폐질환인 경우 뚜렷이 감소하며 억제성 폐질환은 감소되어 있거나 정상이다.
10) 운동부하 검사
- 호흡곤란을 느끼기 전에 얼마나 운동을 할 수 있는지 그 운동량을 측정한다.
- 호흡량이 극히 적은 사람은 몇 발자국의 보행에서 호흡곤란을 느끼며 심지어 휴식중에 호흡곤란을 느낀다.
- 평지에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시행할 수 있지만 정지성 자전거 운동이나 답차운동을 하는 동안 호흡수와 심박수 및 그 리듬을 감시, 시간내에 걸을 수 있는 운동 양을 측정하기도 한다.
- 걷는 중 호흡곤란이 있으면 잠시 멈추었다가 완화되면 다시 계속하도록 최종 도보한 거리를 산출하는데, 질병의 진행과정이나 재활 후 호전 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Ⅲ. 참고문헌
① 이향련외 (2011). 「여섯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경기도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4.20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4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