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화장의 어휘
2. 화장의 기원
3. 세계 화장의 역사
4. 한국 화장의 역사
1) 고조선
2) 삼국시대
(1) 신라
(2) 백제
(3) 고구려
3) 고려
4) 조선
5) 개항이후의 조선
참고문헌
2. 화장의 기원
3. 세계 화장의 역사
4. 한국 화장의 역사
1) 고조선
2) 삼국시대
(1) 신라
(2) 백제
(3) 고구려
3) 고려
4) 조선
5) 개항이후의 조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장의 어휘와 화장의 기원 및 화장의 역사
목차
1. 화장의 어휘
2. 화장의 기원
3. 세계 화장의 역사
4. 한국 화장의 역사
1) 고조선
2) 삼국시대
(1) 신라
(2) 백제
(3) 고구려
3) 고려
4) 조선
5) 개항이후의 조선
참고문헌
1. 화장의 어휘
우리에게 익숙하고 또 흔히 사용하는 말에 화장(化粧), 화장품(化粧品) 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 말들은 우리나라 고유의 어휘가 아니며 그 의미 또한 고유의 개념과는 다르다. “화장” 이라는 말은 개화기 이후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말로 거짓꾸밈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화장’ 이라는 낱말이 고려시대에 사용되긴 하였지만 화장(化粧)이 아닌 화장(化裝) 이었다. 물론 화장(化粧)과 화장(化裝)은 같은 의미지만 그 의미에 있어 한정적이었고 꾸밈의 정도에 따라 각기 걸맞은 어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았다. 상황에 맞는 어휘의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담장(淡粧) : 피부를 깨끗하게 가다듬는 정도의 담박한 멋내기. 옷을 단정하게 입고, 단아한 빗질에 요즘의 기초화장만 한 경우기 이에 해당한다.
· 농장(濃粧) : 담장보다 짙은 상태의 멋내기로써 색채화장을 한 경우와 비슷하다.
· 염장(艶粧) : 짙은 상태의 색채 화장이되, 요염한 색태(色態)를 표현할 경우를 일컫는다.
· 응장(凝粧) : 농장과 유사하나 더욱 또렷하게 꾸민 상태로써 신부의 화장이 이에 해당한다. 담장, 농장, 염장이 평상시의 화장임에 반하여 응장은 혼례처럼 특별한 날에 만하는 의례(儀禮) 차림이다. (사진참고)
· 야용(冶容) : 억지로 아름답게 꾸민다는 분장(扮裝)의 의미를 내포한다. 본래의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삼아 더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박색을 미인으로 치장한다던가, 혹은 노인을
목차
1. 화장의 어휘
2. 화장의 기원
3. 세계 화장의 역사
4. 한국 화장의 역사
1) 고조선
2) 삼국시대
(1) 신라
(2) 백제
(3) 고구려
3) 고려
4) 조선
5) 개항이후의 조선
참고문헌
1. 화장의 어휘
우리에게 익숙하고 또 흔히 사용하는 말에 화장(化粧), 화장품(化粧品) 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 말들은 우리나라 고유의 어휘가 아니며 그 의미 또한 고유의 개념과는 다르다. “화장” 이라는 말은 개화기 이후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말로 거짓꾸밈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화장’ 이라는 낱말이 고려시대에 사용되긴 하였지만 화장(化粧)이 아닌 화장(化裝) 이었다. 물론 화장(化粧)과 화장(化裝)은 같은 의미지만 그 의미에 있어 한정적이었고 꾸밈의 정도에 따라 각기 걸맞은 어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았다. 상황에 맞는 어휘의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담장(淡粧) : 피부를 깨끗하게 가다듬는 정도의 담박한 멋내기. 옷을 단정하게 입고, 단아한 빗질에 요즘의 기초화장만 한 경우기 이에 해당한다.
· 농장(濃粧) : 담장보다 짙은 상태의 멋내기로써 색채화장을 한 경우와 비슷하다.
· 염장(艶粧) : 짙은 상태의 색채 화장이되, 요염한 색태(色態)를 표현할 경우를 일컫는다.
· 응장(凝粧) : 농장과 유사하나 더욱 또렷하게 꾸민 상태로써 신부의 화장이 이에 해당한다. 담장, 농장, 염장이 평상시의 화장임에 반하여 응장은 혼례처럼 특별한 날에 만하는 의례(儀禮) 차림이다. (사진참고)
· 야용(冶容) : 억지로 아름답게 꾸민다는 분장(扮裝)의 의미를 내포한다. 본래의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삼아 더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박색을 미인으로 치장한다던가, 혹은 노인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