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파리바게트 선정이유
2. 기업 소개
Ⅱ. 본론
1. 지각
(1)시각
(2) 청각:
(3) 웨버의 법칙
(4) 브랜드 레버리징: 브랜드의 적합성 관련
2. 기억
(1) 장기기억
(2) 마케팅 전략에서의 기억-상승요인
3. 태도
4. 태도변화
5. 관여도(저관여 구매의사 결정)
6. 학습
7. 문화와 소비자 행동
Ⅲ. 결론
1. 파리바게트 선정이유
2. 기업 소개
Ⅱ. 본론
1. 지각
(1)시각
(2) 청각:
(3) 웨버의 법칙
(4) 브랜드 레버리징: 브랜드의 적합성 관련
2. 기억
(1) 장기기억
(2) 마케팅 전략에서의 기억-상승요인
3. 태도
4. 태도변화
5. 관여도(저관여 구매의사 결정)
6. 학습
7. 문화와 소비자 행동
Ⅲ. 결론
본문내용
사랑을 고백하는 날
3월 14일 화이트 데이 남자가 여자에게 사탕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날
4월 14일 블랙 데이 연인이 없는 사람끼리 짜장면을 먹으며 위로의 꽃다발을 주고 받는 날
5월 14일 로즈 데이 친구끼리, 연인끼리 장미를 선물하며 우정과 사랑을 표현하는 날(백장미:우정) (빨간장미:사랑)
6월 14일 키스 데이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며 예쁜 꽃과 함께 정열적인 키스를 하는 날
7월 14일 실버 데이 꽃과 은반지를 주고 받으며 장래를 약속하는 날
8월 14일 뮤직 데이 연인끼리 사랑의 음악CD와 꽃을 선물하는 날
9월 14일 포토 데이 사랑하는 연인과 꽃바구니를 안고 추억의 사진을 찍는 날
10월 14일 와인 데이 사랑하는 연인과 와인 꽃다발을 선물하여 와인잔을 기울이며 사랑의 밀어를 속삭이는 날
11월 14일 무비 데이 꽃을 들고서 사랑하는 연인과 손을 꼭 잡고 야한 영화를 보는 날
12월 14일 머니 데이 남자가 여자에게 꽃을 선물하며 돈을 팍팍쓰며 아낌없이 주는 날
\'나만의 기념일 만들기\' 캠페인
기념일에는 지출에 관대해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점을 이용한 마케팅이 기념일 마케팅이다. 기존의 기념일인 발렌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의 경우는 각각 초콜릿과 사탕을 연상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파리바게트는 기념일에 케익을 구매하도록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쳐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생일이나, 발렌타인 데이만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행복해서 평생 잊고 싶지 않은 날을 모두 기념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마케팅을 하고 있다. 생일은 물론 이미 확고하게 굳어진 발렌타인데이, 화이트 데이, 크리스마스, 성년의 날 등에 이어 새로운 기념할 만한 날을 만들어 케이크 수요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총 6가지로 이루어진 이 기념일 마케팅에는 사랑 고백 기념일, 첫키스 기념일, 금연 기념일, 월급날, 만난 지 100일 된 날, 결혼 기념일 등이 포함된다. 특히 각 기념일 마다, 그 특징에 어울리는 케이크들을 준비해 놓고 있다. 예를 들어 \'첫키스 기념일\'에는 새콤달콤한 \'레몬 생크림 케이크\'를, \'결혼 기념일에는 녹차, 바닐라, 캐러멜로 만들어진 \'크로칸트 오더베 케이크\'를 권한다고 한다.
\'누구나 생각하는 기념일이 아닌 특별하고 소중한 경험을 우리 제품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고 기획의도를 밝히기도 했던 파리바게뜨는 1년 중에 특별한 날을 되도록 많이 만들어서 케이크 소비를 늘리겠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보통 기념일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 즐기는 것보다 두 명이 즐기는 경우가 많다는 것에 착안해서, 작은 케이크나 조각 케이크를 이번 기념일 마케팅에 속속 내놓고 있다.
출처 : Tong - bestsanta님의 인터넷창업통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6091315374800537
머니투데이 윤성희
파리바게트 카페
이전까지 성행하던 샌드위치 전문점과 베이커리, 케이크 전문점을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함으로써 ‘빵집’의 개념을 보다 확장한 새로운 휴게 공간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갔다. 단순히 빵과 케이크, 커피와 아이스크림을 팔던 시대에서 그것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휴식 공간과 그 안에서의 문화를 함께 제공하는 전략으로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베이커리 카페의 새로운 등장은 젊은이들의 모임공간을 기존의 패스트푸드 식당과 커피숍에서 ‘빵집’으로 옮기게 하는 계기를 제공했으며 새로운 구매계층을 확보하는 데도 일조했다. 이 같은 복합메뉴 레스토랑은 이미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외식문화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47&aid=0000059350
스타 마케팅-고전적 조건화
40%라는 높은 시청률을 거두며 성공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은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네 주인공을 스타로 만들었다. 이에 파리바게트는 ‘내 이름은 김삼순’의 두 주인공을 광고모델로 기용하여 드라마로 인해 나타난 대중들의 호감과 관심을 브랜드에 이어지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드라마의 배경인 베이커리와 직업인 파티쉐는 파리바게트의 이미지와 부합하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수 있었다. 극중 파티쉐였던 김선아는 파리바게트 명동점에서 일일 점장을 하며 케익을 만들어 경매에 팔기도 했다.
작동적 조건화: 포인트 제도 & 곰인형 선물
파리바게트에서는 happy point라는 마일리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개별사 위주로 적립되는 마일리지는 사용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용방법 또한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아 소비자 입장에서 사용에 제한을 받았었다.
하지만 파리바게트, 던킨 도넛, 베스킨라빈스 등의 마일리지를 통합한 happy point는 적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전국 2500여개의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적으로 빵과 같은 간식류는 쾌락적 구매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품 구매시에 죄책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마일리지 적립은 구매자의 죄책감을 한결 덜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관여 제품이며 브랜드간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충성고객의 재구매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와 같은 특이한 상황은 구매자에게 정당성을 부여해 구매에 대한 죄책감이 약해진다. 이 상황에서 소비자는 제품의 구매여부보다는 브랜드 선택에 좀 더 관심을 가지기 마련이다. 이 경우 구매자는 즐거움과 유희를 강조하며 주관적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일리지같은 실용적 보상물보다는 쾌락적 보상물을 이용한 마케팅이 좀더 효과가 있다. 파리바게트는 2001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 케익을 사면 선물을 주는 행사를 해왔고 올해도 크리스마스 케익을 사면 곰인형 귀마개를 주는 “곰왔습니다. 고맙습니다.”행사를 시행한다.
7. 문화와 소비자 행동
문화란 한 사회의 인간행동을 규정짓는 사회적 규범과 양식의 총체적 체계이다. 문화의 특징 중에 하나가 시대의 흐름에 매우 동태적이라는 것이다. 파리바게트에서는 기념일 챙기는 것을 중요시하는 문화에 따라서 기념할때는 케
3월 14일 화이트 데이 남자가 여자에게 사탕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날
4월 14일 블랙 데이 연인이 없는 사람끼리 짜장면을 먹으며 위로의 꽃다발을 주고 받는 날
5월 14일 로즈 데이 친구끼리, 연인끼리 장미를 선물하며 우정과 사랑을 표현하는 날(백장미:우정) (빨간장미:사랑)
6월 14일 키스 데이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며 예쁜 꽃과 함께 정열적인 키스를 하는 날
7월 14일 실버 데이 꽃과 은반지를 주고 받으며 장래를 약속하는 날
8월 14일 뮤직 데이 연인끼리 사랑의 음악CD와 꽃을 선물하는 날
9월 14일 포토 데이 사랑하는 연인과 꽃바구니를 안고 추억의 사진을 찍는 날
10월 14일 와인 데이 사랑하는 연인과 와인 꽃다발을 선물하여 와인잔을 기울이며 사랑의 밀어를 속삭이는 날
11월 14일 무비 데이 꽃을 들고서 사랑하는 연인과 손을 꼭 잡고 야한 영화를 보는 날
12월 14일 머니 데이 남자가 여자에게 꽃을 선물하며 돈을 팍팍쓰며 아낌없이 주는 날
\'나만의 기념일 만들기\' 캠페인
기념일에는 지출에 관대해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점을 이용한 마케팅이 기념일 마케팅이다. 기존의 기념일인 발렌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의 경우는 각각 초콜릿과 사탕을 연상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파리바게트는 기념일에 케익을 구매하도록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쳐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이에 그치지 않고, 생일이나, 발렌타인 데이만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행복해서 평생 잊고 싶지 않은 날을 모두 기념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마케팅을 하고 있다. 생일은 물론 이미 확고하게 굳어진 발렌타인데이, 화이트 데이, 크리스마스, 성년의 날 등에 이어 새로운 기념할 만한 날을 만들어 케이크 수요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총 6가지로 이루어진 이 기념일 마케팅에는 사랑 고백 기념일, 첫키스 기념일, 금연 기념일, 월급날, 만난 지 100일 된 날, 결혼 기념일 등이 포함된다. 특히 각 기념일 마다, 그 특징에 어울리는 케이크들을 준비해 놓고 있다. 예를 들어 \'첫키스 기념일\'에는 새콤달콤한 \'레몬 생크림 케이크\'를, \'결혼 기념일에는 녹차, 바닐라, 캐러멜로 만들어진 \'크로칸트 오더베 케이크\'를 권한다고 한다.
\'누구나 생각하는 기념일이 아닌 특별하고 소중한 경험을 우리 제품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고 기획의도를 밝히기도 했던 파리바게뜨는 1년 중에 특별한 날을 되도록 많이 만들어서 케이크 소비를 늘리겠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보통 기념일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 즐기는 것보다 두 명이 즐기는 경우가 많다는 것에 착안해서, 작은 케이크나 조각 케이크를 이번 기념일 마케팅에 속속 내놓고 있다.
출처 : Tong - bestsanta님의 인터넷창업통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06091315374800537
머니투데이 윤성희
파리바게트 카페
이전까지 성행하던 샌드위치 전문점과 베이커리, 케이크 전문점을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함으로써 ‘빵집’의 개념을 보다 확장한 새로운 휴게 공간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갔다. 단순히 빵과 케이크, 커피와 아이스크림을 팔던 시대에서 그것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휴식 공간과 그 안에서의 문화를 함께 제공하는 전략으로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베이커리 카페의 새로운 등장은 젊은이들의 모임공간을 기존의 패스트푸드 식당과 커피숍에서 ‘빵집’으로 옮기게 하는 계기를 제공했으며 새로운 구매계층을 확보하는 데도 일조했다. 이 같은 복합메뉴 레스토랑은 이미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외식문화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47&aid=0000059350
스타 마케팅-고전적 조건화
40%라는 높은 시청률을 거두며 성공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은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네 주인공을 스타로 만들었다. 이에 파리바게트는 ‘내 이름은 김삼순’의 두 주인공을 광고모델로 기용하여 드라마로 인해 나타난 대중들의 호감과 관심을 브랜드에 이어지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드라마의 배경인 베이커리와 직업인 파티쉐는 파리바게트의 이미지와 부합하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수 있었다. 극중 파티쉐였던 김선아는 파리바게트 명동점에서 일일 점장을 하며 케익을 만들어 경매에 팔기도 했다.
작동적 조건화: 포인트 제도 & 곰인형 선물
파리바게트에서는 happy point라는 마일리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개별사 위주로 적립되는 마일리지는 사용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용방법 또한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아 소비자 입장에서 사용에 제한을 받았었다.
하지만 파리바게트, 던킨 도넛, 베스킨라빈스 등의 마일리지를 통합한 happy point는 적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전국 2500여개의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적으로 빵과 같은 간식류는 쾌락적 구매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품 구매시에 죄책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마일리지 적립은 구매자의 죄책감을 한결 덜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관여 제품이며 브랜드간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충성고객의 재구매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와 같은 특이한 상황은 구매자에게 정당성을 부여해 구매에 대한 죄책감이 약해진다. 이 상황에서 소비자는 제품의 구매여부보다는 브랜드 선택에 좀 더 관심을 가지기 마련이다. 이 경우 구매자는 즐거움과 유희를 강조하며 주관적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일리지같은 실용적 보상물보다는 쾌락적 보상물을 이용한 마케팅이 좀더 효과가 있다. 파리바게트는 2001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 케익을 사면 선물을 주는 행사를 해왔고 올해도 크리스마스 케익을 사면 곰인형 귀마개를 주는 “곰왔습니다. 고맙습니다.”행사를 시행한다.
7. 문화와 소비자 행동
문화란 한 사회의 인간행동을 규정짓는 사회적 규범과 양식의 총체적 체계이다. 문화의 특징 중에 하나가 시대의 흐름에 매우 동태적이라는 것이다. 파리바게트에서는 기념일 챙기는 것을 중요시하는 문화에 따라서 기념할때는 케
추천자료
파리바게트의 중국시장 진출의 사례연구
[사회과학] 파리바게트
파리바게트 마케팅 SWOT, 4P, IMC전략분석 및 향후발전방안,나의견해 - 마케팅전략, 마케팅 ...
파리바게트(Paris Baguette) SWOT분석, 파리바게뜨 4P분석,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 기...
파리바게트 브랜드분석 및 마케팅사례분석,새로운 전략제안 - 파리바게트 기업선정 배경, 시...
파리바게트분석, 파리바게트마케팅전략, 파리바게트SWOT,STP,4P분석 - 마케팅 믹스, 성공요인...
파리바게트(Paris Baguette) vs 뚜레쥬르(Tous Les Jours) 해외시장진출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크라운 베이커리 마케팅 상황 분석> (산업 구조 및 시장매력도 분석, 베이커리 산업, SWOT ...
파리바게트 (제빵 업계, 시장분석, 제품 분석, 경쟁자 분석, 소비자 분석, SWOT).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