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척추관협착증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진단
4. 주요증상
5. 치료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참고문헌
1. 정의
2. 원인
3. 진단
4. 주요증상
5. 치료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감소한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통증 및 통증
경험의 특성을 사정한다.
2. 대상자 의료진과 함께
현재 또는 과거에 사용한 통증완화법(약물요법, 비약물요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3. 대상자의 안위를 제공하고 환자조절진통제(PCA,
fentanyl)용량과 정맥내
펌프로 주입하는 마약의
기본적인(지속적인) 용량을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관리한다.
4.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를 평가한다.
5. 대상자에게 심상요법, 이완요법, 탈감작법, 냉찜질, 더운물 찜질을 적용한다.
6. 질병과 수술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통증관리>
1. 통증 형태 여부를 0~10 숫자 척도 NRS로 점수를 사정하고 시각적 사상척도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 절개부위C4~5, C5~6의
찌르는 통증과 사지의 저림
5/21 NRS 10점,
도저히 참을 수 없음.
5/22 NRS 8점,
도저히 참을 수 없음.
2. 과거에 통증시 일반 패치형 통증치료제를 붙였다.
심할 때는 일반 ‘타이레놀’
진통제를 복용하였는데 효과를 2~3시간의 통증이 완화가 되었으며 다시 통증이 지속된다고 한다.
3. 체위 변경할 경우 머리와 목을 지지하게 했다. 가능하면 머리를 움직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침상생활을 유지하도록 손이 닿는 곳에 휴지, 음료, 간호사 호출기를 준비했다.
PCA 15분마다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손이 닿는 곳에 PCA 스위치를 놓아주고 오심이나 구토 어지러움이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가족들에게도 PCA 스위치의 작용시간과 작용효과, 주의점을 설명했다.
4. 처방된 진통제 여부를 파악하고 Dr에게 보고하고 진통제 케로탁을 통증조절 목적으로 N/S 에 1@ or 2@ mix 하여 IV 로 투여하였다.
5. 대상자에게 천천히 깊게 숨을 쉬라고 하고 어떤 단어나 구절을 천천히 반복해서 말하라고 했다.
몸의 이완을 위해 조용한 해변가 또는 조용한 숲속을 상상하게 했다.
6. 대상자가 느낌을 말하도록 간호사의 감정이입에 의하여 대상자의 감정에 공감하며 위로해주었다.
1. 다양한 통증 정도를 사정하기 위하여 NRS 통증 숫자척도는 0 통증없음에서 10점 통증지속까지 점수를 매기는 것과 시각적 사상척도는 통증이 정혀 없는 경우부터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정도까지의 연속선상에 해당되는 곳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2. 통증은 개인이 심한 불편감을 경험하는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을 만성통증이다. 통증을 경험하는 사람 자신에게는 매우 심각한 경험이니 반면 특성이 다양하고 애매하여 타인을 이해시키기 어렵다.
3. 목의 과도한 신전을 방지하고 수술봉합 부위의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수술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주로 급성통증시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고 투여시기결정은 환자의 통증정도와 과거에 투여받은 용량의 효과에 대한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
PCA는 환자가 단추를 누르면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서만 추가로 약제가 투여될 수 있게 고안된 장치로서 전통적인 통증치료방법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며 적정수준의 통증 완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술 후 통증 및 각종 통증치료에서 보편화 되고 있다.
4. 불충분한 진통제 용량일 결우 추가적인 처방을 통하여 통증을 경감시킨다.
ketorolac tromethamine
30mg/ml 해열, 진통, 소염제에 적용된다. 필요시에 4-6시간마다 보통 수술 후, cotussion 환자인 경우 통증조절 목적으로 N/S 에 1@ or 2@ mix 하여 3일간 투여하게 된다.
부작용은
5. 약물 이외의 통증완화법을 통증강도가 심한 급성 통증환자에게 사용하였을 때 이완요법, 전환요법, 냉찜질, 더움물 찜질 등이 가장 효과가 있다.
심상, 이완요법을 통하여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는 천국처럼 보일 수 있다.
6. 간호사의 감정이입에 의한 환자 이해는 대처능력을 증가시킨다.
간호 평가
< 13.05.21 >
PCA와 케토락 inj 후에 수술부위 통증 사정 척도가
NRS 10점에서 5점으로 감소.
대상자의 표정이 일그러짐이 사라진다.
V/S - BP 120/70, P 68, R 18, T 37.3℃
< 13.05.22 >
V/S - BP 110/70, P 56, R 18, T 37.0℃
▶ 2# 진단 : 신체내의 관 및 침습적인 처치로 인한 감염위험성 <13.05.21 ~ 13.05.27>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e)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사 정
< 2013.05.21 >
수술부위가 열감을 느낌있음.
“왜 이렇게 열이 나는 느낌이야, 수술부위가 당기는 것 같아”
현재 J-P bag을 유지하고
foley catheter를 하고 있음.
< 13.05.21 >
연령 : 71세
교육정도 : 무학
의식 수준 : alert
수술 날짜 : 2013.05.21. 화요일
V/S - BP 120/70, P 68, R 18, T 37.3℃
WBC - 9.5 10^3/㎕
(정상범위 4.0~10.0 10^3/㎕)
간호진단
신체내의 관 및 침습적인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대상자는 감염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기
정상적인 활력징후, 음성 배양검사 결과를 보인다.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와 홍조되지 않은 피부를 보인다.
배액, 발진 목의 경직, 오한, 통증, 기면이 없다.
대상자는 감염위험 요인과 감염환자의 특성을 말한다.
감염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 조치를 규명한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매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를 사정한다.
3. 매 4시간마다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4. 모든 환자와 접촉시
마다 손을 씻는다.
5. 기동이나 체위변경시
마다 사지운동을 격려한다
6. 폐쇄된 유치도뇨체제를 유지하고 매일 유치도뇨관
을 간호한다.
7. 정맥내 시술과 드레싱 교환시 멸균법을 지킨다.
8. 매일 피부간호와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9. 상처간호를 위해
적절한 항생제가 든 수액을 사용한다.
10. 필요시 더러워진
드레싱을 교환한다.
11. 기침, 심호흡 운동, 호흡보조기구의 사용, 침상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통증 및 통증
경험의 특성을 사정한다.
2. 대상자 의료진과 함께
현재 또는 과거에 사용한 통증완화법(약물요법, 비약물요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3. 대상자의 안위를 제공하고 환자조절진통제(PCA,
fentanyl)용량과 정맥내
펌프로 주입하는 마약의
기본적인(지속적인) 용량을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관리한다.
4.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를 평가한다.
5. 대상자에게 심상요법, 이완요법, 탈감작법, 냉찜질, 더운물 찜질을 적용한다.
6. 질병과 수술에 대한
대상자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통증관리>
1. 통증 형태 여부를 0~10 숫자 척도 NRS로 점수를 사정하고 시각적 사상척도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 절개부위C4~5, C5~6의
찌르는 통증과 사지의 저림
5/21 NRS 10점,
도저히 참을 수 없음.
5/22 NRS 8점,
도저히 참을 수 없음.
2. 과거에 통증시 일반 패치형 통증치료제를 붙였다.
심할 때는 일반 ‘타이레놀’
진통제를 복용하였는데 효과를 2~3시간의 통증이 완화가 되었으며 다시 통증이 지속된다고 한다.
3. 체위 변경할 경우 머리와 목을 지지하게 했다. 가능하면 머리를 움직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침상생활을 유지하도록 손이 닿는 곳에 휴지, 음료, 간호사 호출기를 준비했다.
PCA 15분마다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손이 닿는 곳에 PCA 스위치를 놓아주고 오심이나 구토 어지러움이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가족들에게도 PCA 스위치의 작용시간과 작용효과, 주의점을 설명했다.
4. 처방된 진통제 여부를 파악하고 Dr에게 보고하고 진통제 케로탁을 통증조절 목적으로 N/S 에 1@ or 2@ mix 하여 IV 로 투여하였다.
5. 대상자에게 천천히 깊게 숨을 쉬라고 하고 어떤 단어나 구절을 천천히 반복해서 말하라고 했다.
몸의 이완을 위해 조용한 해변가 또는 조용한 숲속을 상상하게 했다.
6. 대상자가 느낌을 말하도록 간호사의 감정이입에 의하여 대상자의 감정에 공감하며 위로해주었다.
1. 다양한 통증 정도를 사정하기 위하여 NRS 통증 숫자척도는 0 통증없음에서 10점 통증지속까지 점수를 매기는 것과 시각적 사상척도는 통증이 정혀 없는 경우부터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정도까지의 연속선상에 해당되는 곳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2. 통증은 개인이 심한 불편감을 경험하는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을 만성통증이다. 통증을 경험하는 사람 자신에게는 매우 심각한 경험이니 반면 특성이 다양하고 애매하여 타인을 이해시키기 어렵다.
3. 목의 과도한 신전을 방지하고 수술봉합 부위의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수술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주로 급성통증시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고 투여시기결정은 환자의 통증정도와 과거에 투여받은 용량의 효과에 대한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
PCA는 환자가 단추를 누르면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서만 추가로 약제가 투여될 수 있게 고안된 장치로서 전통적인 통증치료방법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며 적정수준의 통증 완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술 후 통증 및 각종 통증치료에서 보편화 되고 있다.
4. 불충분한 진통제 용량일 결우 추가적인 처방을 통하여 통증을 경감시킨다.
ketorolac tromethamine
30mg/ml 해열, 진통, 소염제에 적용된다. 필요시에 4-6시간마다 보통 수술 후, cotussion 환자인 경우 통증조절 목적으로 N/S 에 1@ or 2@ mix 하여 3일간 투여하게 된다.
부작용은
5. 약물 이외의 통증완화법을 통증강도가 심한 급성 통증환자에게 사용하였을 때 이완요법, 전환요법, 냉찜질, 더움물 찜질 등이 가장 효과가 있다.
심상, 이완요법을 통하여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는 천국처럼 보일 수 있다.
6. 간호사의 감정이입에 의한 환자 이해는 대처능력을 증가시킨다.
간호 평가
< 13.05.21 >
PCA와 케토락 inj 후에 수술부위 통증 사정 척도가
NRS 10점에서 5점으로 감소.
대상자의 표정이 일그러짐이 사라진다.
V/S - BP 120/70, P 68, R 18, T 37.3℃
< 13.05.22 >
V/S - BP 110/70, P 56, R 18, T 37.0℃
▶ 2# 진단 : 신체내의 관 및 침습적인 처치로 인한 감염위험성 <13.05.21 ~ 13.05.27>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e)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사 정
< 2013.05.21 >
수술부위가 열감을 느낌있음.
“왜 이렇게 열이 나는 느낌이야, 수술부위가 당기는 것 같아”
현재 J-P bag을 유지하고
foley catheter를 하고 있음.
< 13.05.21 >
연령 : 71세
교육정도 : 무학
의식 수준 : alert
수술 날짜 : 2013.05.21. 화요일
V/S - BP 120/70, P 68, R 18, T 37.3℃
WBC - 9.5 10^3/㎕
(정상범위 4.0~10.0 10^3/㎕)
간호진단
신체내의 관 및 침습적인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대상자는 감염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기
정상적인 활력징후, 음성 배양검사 결과를 보인다.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와 홍조되지 않은 피부를 보인다.
배액, 발진 목의 경직, 오한, 통증, 기면이 없다.
대상자는 감염위험 요인과 감염환자의 특성을 말한다.
감염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 조치를 규명한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매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를 사정한다.
3. 매 4시간마다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4. 모든 환자와 접촉시
마다 손을 씻는다.
5. 기동이나 체위변경시
마다 사지운동을 격려한다
6. 폐쇄된 유치도뇨체제를 유지하고 매일 유치도뇨관
을 간호한다.
7. 정맥내 시술과 드레싱 교환시 멸균법을 지킨다.
8. 매일 피부간호와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9. 상처간호를 위해
적절한 항생제가 든 수액을 사용한다.
10. 필요시 더러워진
드레싱을 교환한다.
11. 기침, 심호흡 운동, 호흡보조기구의 사용, 침상
키워드
추천자료
정형외과 약물(관절염)
외과계통 민간요법에 관한 보고서
<정형외과>추간판탈출증 case study
정형외과에서 자주 쓰는 약물
외과(요추협착) 케이스 스터디
정형외과 간호
외과케이스(담석증)
정형외과 학습내용
흉부외과, chest cancer 간호진단 및 간호계획지입니다.
성인간호실습정형외과레포트
정형외과 케이스스터디-Lt. distal radius open fx. c ulna styloid process open fx.
서울대병원 현 외과&성형외과병동 간호매뉴얼(메뉴얼)입니다 [간호학,간호사,매뉴얼,외과...
골관절염 케이스,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case study, ...
외과병동 케이스 - 위암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