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본문내용
의 표기는 이두(향찰)을 사용했고, 작자는 월명사이다
*제망매가의 비유법 등의 문학성이 뛰어나다.
2. 처용가 (處容歌)
1) 작 자 : 처용
2) 출 전 : 삼국유사
3) 형식. 장르 : 8구체 향가
4) 주 제 : 아내를 범한 역신을 감동.굴복시킴
5) 배경설화 : 처용아내의 미모에 역신이 흠모하여 처용의 아내와 잠들어 있는 것을 처용이 목격하고 춤과 노래를 불러 역신을 물러났다는 주술적인 내용
6) 등장인물또는장소 : 헌강왕. 개운포.동해용왕.용왕의 아들(처용) 처용의 아내. 역신. 망해사
7) 표 기 : 이두 즉 “동경명기월량”에서 명자와 월자에만 뜻을 따왔고 기와 량은 음을 따온 것이다.
8) 연구관점
ㄱ.문학적관점(정병욱):문학적내포(함축성)가 없이 외연에만 한정시켜 내용인 조잡한 노래이며 시적.긴장감.흥분감이 결여된 당시의 지방문학으로 간주
ㄴ. 불교신앙적관점(황패강): 처의 간음을 관용하는 불교적 사심(세곡적인 욕심을 버린 마음)을 성취한 고도의 문학이라는 천상적 이미지와 간음이라는 지상적 이미지 그리고 처용과 역신의 대립에서 비롯된 긴당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ㄷ. 민속신앙적 관점(김열규): 굿이나 연극 속에서 불려진 노래로 무가.주가.주술의 원리를 내포한 문학
ㄹ. 역사. 사실적 관점 : 처용을 중앙에 인진로 보내진 지방호족의 자제로 역신은 타락한 중앙귀족의 자제로 보아 처용가를 지방호족의 중앙귀족에 대한 갈등 표출의 문학으로 본다
ㅁ. 심리학(정신분석)적관점: 만인의 원초적인 외디푸스 콤플렉스가 한국적 변형을 거쳐 표현된 것
ㅂ. 역사 사실적 관점의 연장선 상에서 민중 자신의 비극을 골계적으로 표현한 문학적 즉, 민요격의 향가로 보기도 한다.
ㅅ. 최근에는 화해. 관용.포용이 나타난“선자관비”의 미학을 표출한 문학 이라는 데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3. 화 왕 계 (花王戒)
1) 작 자 : 설총 (원효대사아들)
2) 출 전 : 삼국사기
3) 형 식 : 인간의 일을 꽃에 빗대어 쓴 의인체 설화
가전체 문화의 효시
4) 구 성 : 도입.전개.위기.절정.결말.등 소설적 구성
5) 주 제 : 임금에 대한우의적 경계이다.
6) 내 용 : 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에 유익하다.
7) 의 의 : 국문학사상 우화문화의 효시이다
고려의가전체 문학과 조선시대의 의인체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교훈성을 내포하고 있다.
창의력.진정한 충성심이 나타나 있다.
제 4 장 고려의 문학
1. 쌍화점 (雙化店)
1) 출 전 : 악장가사
2) 작 자 : [악장가사]에는 작자 미상
(정병욱): 오잠.김원상.석천보 등
3) 구성 및 소재
ㄱ. 제1장 : 외국군인(회회아비)의 타락상을 풍자
ㄴ. 제2장 : 불교(사주)의 타락상을 풍자
ㄷ. 제3장 : 왕실층(우뭇용)의 타락상을 풍자
ㄹ. 제4장 : 서민층(그 짓아비)의 타락상을 풍자
4) 장르 : 고려속요
5) 표현: 직설적인 표현으로 인해 조선시대의 남녀상열지사로 배척되었다.
6) 가 명
ㄱ. [고려사]악지 -[삼장]
ㄴ. [악장가사] - [쌍화점]
ㄷ. [퇴계집] - [상화곡]
ㄹ. [시용향악보] - [쌍화곡]
7) 문학사적 의의 : 고려말기 사회의 각계각층의 타락한 사실을 상징과 풍자로서 비판
8) 속요의 특징
ㄱ. 남녀상열지사가 대부분
ㄴ. 생활감정을 솔직하게 표현
ㄷ. 연장체 시가가 많다 (민요와 일맥상통)
ㄹ. 현실풍자적 내용
.고려사회 성윤리의 타락성을 풍자했다.
.작가로 추측되는 사람은 오잠.김원상.석천보 등이다
.풍자대상에는 외국국인(회회아비).불교(사주).왕실층(우뭇용)서민층(그 짓아비) 이 있다.
2. 국순전 (麴醇傳)
1) 작 자 : 임춘 (고려 인종 때의 문인)
2) 장 르 : 가전체 문학
3) 내 용 : 술을 의인화
4) 장 점 : 교육적.풍자적.오락적 효과가 있다.
3. 한림별곡 (翰林別曲)
1) 출 전 : 악장가사
2) 작 자 : 한림제유
3) 형 태 : 8장으로 이루어졌음
4) 구 성 : 3.3.4조가 기조를 이루고 있다.
5) 성 격 : 신흥사대부들의 의식세계를 표현한 작품
6) 의 의 : 최초의 경기체가
*한림별곡은 전 8연으로 구성 각 장은
문인.서적.명필.명주.화훼.음악.누각.추천
4. 동명왕편 (東明王篇)
1) 작 자 : 이규보 (고려의종~고종 연간의 문인으로 전해지는 문집과 작품에는 [동국이상국집]
2) 장 르 : 최초 최대 서사시
3) 의 의 : 최초의 본격적인 서사시
4) 감 상
ㄱ. 고구려 건국에 대한 사실을 쓴 시이다
ㄴ. 우리 민족의 우월성과 역사의 유구함을 강조했고,신화적 세계관과 민족의식등 표현
ㄷ. 고려의 고구려 계승이라는 정통성 문제를 사실로 받아들여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려는 의도
제 5 장 조선의 시가문학
1. 평시조 (平時調)
1) 평시조의 특징
가) 형태상 특징 - 3장 6구 45자 내외의 단형적인 정형시이다.
나) 내용상 특징 - 고려말 회고가. 조선의 송축가. 절의가 등 내용이 모두 유교적인 충의사상이 지배하고 있음은 필연적인 결과라고 하겠다.
* 작품감상
가. 「백설이 자진 골에~」- 이색의 작품으로 멸망해 가는 고려왕조를 안타까워 하는 충정이 나타나 있는 회고가
나. 「강호에 봄이 드니~」- 맹사성의 작품으로 자연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임금에 대한 충성과 은혜를 강조한 태평가이다.
다.「대쵸 볼 불근 골에~」 - 황희의 작품으로 전원생활의 한가로움을 타타낸 태평가이다.
라. 「수양산 라보며~」- 성삼문의 작품으로 절개를 강조했다.
마. 「동지ㅅ 기나긴 밤을~」- 황진이의 작품으로 애정을 노래했다.
바. 「북천이 다커늘~」 - 임제의 작품으로 중의법 효과로 한우에 대한 사랑을 노래했다.
사. 「어이 어러 자리 ~」- 한우의 작품으로 임제의 시조에 대한 화답 시조이다.
아. 「가난하히 가 길흘 ~」- 정철의 연시조 ‘훈민가’ 중 하나로 윤리를 강조했다.
자. 「님이 헤오시ㅣ~」- 송시열의 작품으로 임금을 그리는 마음 즉, 충성심이 내제되어 있다.
차. 「설월이 만창한듸~」- 작자 미상으로 임을 그리는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했다.
2. 사설시조 (辭說時調)
1) 작품감상 - 모두 미상
가.「바독이 검둥이 청삽사리~」- 본부 (本夫)보다 간부(姦夫)가 좋다는 내용이다.
나.「
*제망매가의 비유법 등의 문학성이 뛰어나다.
2. 처용가 (處容歌)
1) 작 자 : 처용
2) 출 전 : 삼국유사
3) 형식. 장르 : 8구체 향가
4) 주 제 : 아내를 범한 역신을 감동.굴복시킴
5) 배경설화 : 처용아내의 미모에 역신이 흠모하여 처용의 아내와 잠들어 있는 것을 처용이 목격하고 춤과 노래를 불러 역신을 물러났다는 주술적인 내용
6) 등장인물또는장소 : 헌강왕. 개운포.동해용왕.용왕의 아들(처용) 처용의 아내. 역신. 망해사
7) 표 기 : 이두 즉 “동경명기월량”에서 명자와 월자에만 뜻을 따왔고 기와 량은 음을 따온 것이다.
8) 연구관점
ㄱ.문학적관점(정병욱):문학적내포(함축성)가 없이 외연에만 한정시켜 내용인 조잡한 노래이며 시적.긴장감.흥분감이 결여된 당시의 지방문학으로 간주
ㄴ. 불교신앙적관점(황패강): 처의 간음을 관용하는 불교적 사심(세곡적인 욕심을 버린 마음)을 성취한 고도의 문학이라는 천상적 이미지와 간음이라는 지상적 이미지 그리고 처용과 역신의 대립에서 비롯된 긴당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ㄷ. 민속신앙적 관점(김열규): 굿이나 연극 속에서 불려진 노래로 무가.주가.주술의 원리를 내포한 문학
ㄹ. 역사. 사실적 관점 : 처용을 중앙에 인진로 보내진 지방호족의 자제로 역신은 타락한 중앙귀족의 자제로 보아 처용가를 지방호족의 중앙귀족에 대한 갈등 표출의 문학으로 본다
ㅁ. 심리학(정신분석)적관점: 만인의 원초적인 외디푸스 콤플렉스가 한국적 변형을 거쳐 표현된 것
ㅂ. 역사 사실적 관점의 연장선 상에서 민중 자신의 비극을 골계적으로 표현한 문학적 즉, 민요격의 향가로 보기도 한다.
ㅅ. 최근에는 화해. 관용.포용이 나타난“선자관비”의 미학을 표출한 문학 이라는 데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3. 화 왕 계 (花王戒)
1) 작 자 : 설총 (원효대사아들)
2) 출 전 : 삼국사기
3) 형 식 : 인간의 일을 꽃에 빗대어 쓴 의인체 설화
가전체 문화의 효시
4) 구 성 : 도입.전개.위기.절정.결말.등 소설적 구성
5) 주 제 : 임금에 대한우의적 경계이다.
6) 내 용 : 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에 유익하다.
7) 의 의 : 국문학사상 우화문화의 효시이다
고려의가전체 문학과 조선시대의 의인체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교훈성을 내포하고 있다.
창의력.진정한 충성심이 나타나 있다.
제 4 장 고려의 문학
1. 쌍화점 (雙化店)
1) 출 전 : 악장가사
2) 작 자 : [악장가사]에는 작자 미상
(정병욱): 오잠.김원상.석천보 등
3) 구성 및 소재
ㄱ. 제1장 : 외국군인(회회아비)의 타락상을 풍자
ㄴ. 제2장 : 불교(사주)의 타락상을 풍자
ㄷ. 제3장 : 왕실층(우뭇용)의 타락상을 풍자
ㄹ. 제4장 : 서민층(그 짓아비)의 타락상을 풍자
4) 장르 : 고려속요
5) 표현: 직설적인 표현으로 인해 조선시대의 남녀상열지사로 배척되었다.
6) 가 명
ㄱ. [고려사]악지 -[삼장]
ㄴ. [악장가사] - [쌍화점]
ㄷ. [퇴계집] - [상화곡]
ㄹ. [시용향악보] - [쌍화곡]
7) 문학사적 의의 : 고려말기 사회의 각계각층의 타락한 사실을 상징과 풍자로서 비판
8) 속요의 특징
ㄱ. 남녀상열지사가 대부분
ㄴ. 생활감정을 솔직하게 표현
ㄷ. 연장체 시가가 많다 (민요와 일맥상통)
ㄹ. 현실풍자적 내용
.고려사회 성윤리의 타락성을 풍자했다.
.작가로 추측되는 사람은 오잠.김원상.석천보 등이다
.풍자대상에는 외국국인(회회아비).불교(사주).왕실층(우뭇용)서민층(그 짓아비) 이 있다.
2. 국순전 (麴醇傳)
1) 작 자 : 임춘 (고려 인종 때의 문인)
2) 장 르 : 가전체 문학
3) 내 용 : 술을 의인화
4) 장 점 : 교육적.풍자적.오락적 효과가 있다.
3. 한림별곡 (翰林別曲)
1) 출 전 : 악장가사
2) 작 자 : 한림제유
3) 형 태 : 8장으로 이루어졌음
4) 구 성 : 3.3.4조가 기조를 이루고 있다.
5) 성 격 : 신흥사대부들의 의식세계를 표현한 작품
6) 의 의 : 최초의 경기체가
*한림별곡은 전 8연으로 구성 각 장은
문인.서적.명필.명주.화훼.음악.누각.추천
4. 동명왕편 (東明王篇)
1) 작 자 : 이규보 (고려의종~고종 연간의 문인으로 전해지는 문집과 작품에는 [동국이상국집]
2) 장 르 : 최초 최대 서사시
3) 의 의 : 최초의 본격적인 서사시
4) 감 상
ㄱ. 고구려 건국에 대한 사실을 쓴 시이다
ㄴ. 우리 민족의 우월성과 역사의 유구함을 강조했고,신화적 세계관과 민족의식등 표현
ㄷ. 고려의 고구려 계승이라는 정통성 문제를 사실로 받아들여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려는 의도
제 5 장 조선의 시가문학
1. 평시조 (平時調)
1) 평시조의 특징
가) 형태상 특징 - 3장 6구 45자 내외의 단형적인 정형시이다.
나) 내용상 특징 - 고려말 회고가. 조선의 송축가. 절의가 등 내용이 모두 유교적인 충의사상이 지배하고 있음은 필연적인 결과라고 하겠다.
* 작품감상
가. 「백설이 자진 골에~」- 이색의 작품으로 멸망해 가는 고려왕조를 안타까워 하는 충정이 나타나 있는 회고가
나. 「강호에 봄이 드니~」- 맹사성의 작품으로 자연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임금에 대한 충성과 은혜를 강조한 태평가이다.
다.「대쵸 볼 불근 골에~」 - 황희의 작품으로 전원생활의 한가로움을 타타낸 태평가이다.
라. 「수양산 라보며~」- 성삼문의 작품으로 절개를 강조했다.
마. 「동지ㅅ 기나긴 밤을~」- 황진이의 작품으로 애정을 노래했다.
바. 「북천이 다커늘~」 - 임제의 작품으로 중의법 효과로 한우에 대한 사랑을 노래했다.
사. 「어이 어러 자리 ~」- 한우의 작품으로 임제의 시조에 대한 화답 시조이다.
아. 「가난하히 가 길흘 ~」- 정철의 연시조 ‘훈민가’ 중 하나로 윤리를 강조했다.
자. 「님이 헤오시ㅣ~」- 송시열의 작품으로 임금을 그리는 마음 즉, 충성심이 내제되어 있다.
차. 「설월이 만창한듸~」- 작자 미상으로 임을 그리는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했다.
2. 사설시조 (辭說時調)
1) 작품감상 - 모두 미상
가.「바독이 검둥이 청삽사리~」- 본부 (本夫)보다 간부(姦夫)가 좋다는 내용이다.
나.「
추천자료
국어 대우법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7차국어과교육과정 중 국어지식영역
국어교육과 텔레비전 언어
교육공학 - 국어 교육의 실제와, 국어 교육의 이상적인 수업 방법 및 방안 제시
[국어과교육]우리나라 국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초등국어교육 - 국어교사로서의 자질을 논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어떤 자기계발 ...
[국어과]국어과 가치탐구학습의 개요, 국어과 가치탐구학습의 개념, 국어과 가치탐구학습의 ...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목적과 성격,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교육연구][국어교육연구][과학교육연구][문학교육연구][경제교육연구][평생교육연구][국어][...
국어교육학의 지향-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초등학교 국어과 본 차시에 적합한 수업 모형은 무엇인가
[우리말의역사] 국어사 교재를 참조하여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
[학과, 국어국문학과, 문헌정보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심리학과, 국어국문, 문헌정보, 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