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국어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6장 국어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6장 국어사
6.1.1. 세계의 여러 어족
6.1.2 알타이어족과 국어
6.1.3 국어의 계통
6 . 2 국어의 형성과 시대구분
국어의 형성
고구려어와 백제어

본문내용

ㅜ)
i (ㅣ)
② 모음의 대응
음운
대응
중세국어
퉁구스제어
몽고제어
터키제어
만주어
에벤키어
중세몽고어
몽구르어
고대터키어
*-a
아래(下)<*al
las(脚)
la(사타구니)
l (下面)
*o-
馬 < *ml
morin(馬)
morin(馬)
*o-
믈(水) < *ml
muke(水)
mu(水)
moren(江)
*국어의 \'ㅡ‘[]는 알타이조어의 *o, *u, *u에 대응된다
*o,*u,*u-
注 < p?
fusu- (물뿌리다)
usur-
(뿌리다)
fuzuru-
(붓다)
uskur-
(입으로뿜다)
알타이조어
*p *b
*t *d
*k *g
* *
*s
*m
*n

*r1 *r2 *l1 *l2
고대국어









③자음의 대응
중세국어
골디어
에벤키어
발(足) <*pal
palgan (足)
halgan (足)
* 자음대응중 알타이조어의 어두의 *p는 반사형이 다양하다.
⇒ *p (중세국어) - f (만주어) - p (골디어) - h (에벤키어) - 0 (솔롱어) - h (중세몽고어) - f (몽구로어) -
x (다굴어) - 0 (기타제몽고어) - h (할라주어) - 0 (기타터키제어)
중세국어
골디어
솔롱어
몽고어
(土) <*horog <*hiroga <*iroga
siru (砂 )
siruktan(砂)
iruai (土, 먼지)
중세국어
몽고어
중세몽고어
야쿠트어
(눈)보라 < *bura
boroan(비)
boro\'an(눈보라)
burxan(눈보라)
중세국어
고대터키어
몽고어
‘-로’ (향격조사) <*-ru
-ru
(b-im-ru)
내집으로
-ru
(ina-ru cina-ru)
이쪽 저쪽
④문법적 대응 - 곡용조사의 대응
⑤ 이밖에도 연격조사, 처격조사등의 곡용조사와 동명사의 일치등 문법적 대응과 어휘의 일치에
의한 음운대응의 예가 더 있다.
⑥ 위의 자료들은 확정적인 결론을 얻기에는 많이 모자라는 양이다. 하지만 한국어가 알타이어족
의 일파라는 설은 점차 그 기반이 확고해 지고 있다.
6 . 2 국어의 형성과 시대구분
국어의 형성
① 국어는 단일(單一)언어로서 알타이조어에서 분화된 후 계속 한줄기로 내려왔다
- Poppe
② 이기문
알타이조어
터몽퉁 공통어 부여한 공통어
원시 부여어 원시한어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중세국어
국어사의 시대구분
기록 이전의 국어 - 선사국어
기록 이후의 국어
- 고대국어(古代國語 Ancient Korean) : 삼국시대 ~ 통일신라 패망직전
- 중세국어(中世國語 Middle Korean) : 고려 ~ 임진왜란
- 근대국어(近代國語 Modern Korean) : 임진왜란 이후 ~ 오늘날
- 현대국어(現代國語 Present-day Korean) : 바로 현재 쓰이고 있는 국어
※ modern이 ‘근대’로도 번역되고 ‘현대’로도 변역되듯이 현대국어와 근대 국어는 뚜렷한
경계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대체로 해방 전후부터의 국어를 현대국어라고 부를 수 있다.
1)신라어 자료
①이두-문법형태의 파악에 큰 구실
②향찰-단어뿐만 아니라 문장의 모습까지 보여줌
③『삼국사기』『삼국유사』-人名, 地名, 官名 등의 고유명사 표기
예)영동군본길동군(永同郡本吉同郡)에서 \'永\'이란 의미의 신라어가 길다(吉)였다
2)신라어의 음운
-한정된 자료와 당시의 한자음을 정확하게 밝혀내기 어려워 신라어가 어떤 음운체계를 갖고 있었는지 정확히 밝히기 어렵다.
①자음체계
-평음(平音)과 유기음(有氣音)의 대립, 된소리 계열은 아직 나타나지 않음
예)거칠부(居柒夫)의 柒, 漆 佛體의 體가 \'ㅊ\', \'ㅌ\'등의 유기음에 쓰였던 것으로 추정
-\'ㅂ\'과\'ㅅ\'의 구별- 중세국어의 \'ㅸ\' 및 \'ㅿ\'과 반드시 같은 음가(音價)는 가지고 있지 않았어도 신라어에서 이들이 구별되는 음운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ㄹ\'-/r/과 /l/로 구별되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②모음체계-7모음체계, 이중모음은 중세보다 많았을 것으로 추정
i u u
? ?
a a
3)신라어의 문법형태
①조사
주격조사 -\'이\' (伊,是)
속격조사 -\'이/의\' (矣,依), \'ㅅ\'(叱)
대격조사 -\'ㄹ\' (乙), \'흘\' (태
구격조사 -\'루\'(留)
처격조사 -\'中, 良中\'
특수조사 -\'ㄴ\'(隱), \'두\'(置)
②어미
관형사형어미 -\'-ㄴ\'(隱) 간봄(去隱春), \'-ㄹ\'(尸) 그릴 ㅁㅅㅁ(慕理尸心)
접속어미 -\'-고\'(古,遺), \'-며\'( ?), \'-다가\'(如何)
종결어미 - 평서문의 \'-다\'(如) 의문문의 \'- 고\'(古)
선어말어미 -주체경어법\'-시-\'(賜) 객체경어법\'-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3.12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