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요리의 역사
2. 일본의 정찬요리
4. 일본요리의 특성
5. 대표적인 일본요리
6.한국과 일본요리의 조리법 비교
7.맺음말
2. 일본의 정찬요리
4. 일본요리의 특성
5. 대표적인 일본요리
6.한국과 일본요리의 조리법 비교
7.맺음말
본문내용
소바에는 묽은 양념장이 나오는데, 이 양념장은 동쪽으로 갈수록 진해지는 경향이 있다.
◈돈부리- 덮밥
덴돈(てんどん)::밥위에 새우튀김이 얹혀 있는 것. 새우 덴푸라 한두개를 얹은 밥에 소스와 미린으로 맛을 낸 독특한 양념 간장에 찍어 먹는다. 약간의 소스를 밥 위에 쳐서 먹기도 한다.
◈스이모노(吸い物) - 국
스이모노를 크게 분류하면, 맑은 장국과, 된장을 풀어 끓인 탁한 국으로 나눌 수 있다.
일본의 국은 숟가락으로 떠먹는 대신 젓가락으로 가볍게 저어 그릇을 입에 대고 마시며
가끔 내용물을 젓가락으로 건져 먹는다. 대표적인 것으로 미소시루가 있다.
◈쓰케모노(漬物) - 김치류
쓰케모노는 채소류를 소금, 쌀겨, 된장, 간장 등에 담가 만든 일본식 김치로, 입 안을 개운하게 해 차의 맛을 더욱 느끼게 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다쿠앙과 우메보시다.
◈나베모노(なべもの) - 냄비요리, 국물요리
냄비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국물을 넣어 끓인 것으로 대표적인 요리로 샤부샤부가 있다.
◈벤토- 도시락
일본에서는 편의점이나 도시락 전문점 등 어디에서든 도시락을 쉽게 살 수 있다. 주로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들이 많이 먹는데, 점심시간이면 도심 어디서나 줄을 서서 도시락을 사려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하나미(花見)등의 피크닉에도 빠질 수 없는 것이 도시락으로, 싼 것부터 매우 비싼 것까지 다양하다.
◈니모노(煮物) - 조림
니모노는 조림이라 할 수 있다. 다시마나 가다랭이포 국물에 간을 맞추고 육류 · 어패류 · 야채류 등을 넣고 졸여서 연하게 조리한 요리로, 반찬은 물론 술안주까지 일본인의 평상시 식단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리이다.
◈야키모노(燒き物) - 구이
데리야키 (てりやき) : 소고기나 돼지 고기,또는 생선에 양념을 발라서 구운 것. 이때 쓰는 양념이 데리소스이다.
◈쓰키다시(突き出し) - 곁들인 안주
쓰키다시는 식욕을 촉진하도록 간단히 입가심을 하는 요리로, 죽순두부·달걀두부 등을 차게 해서 먹기도 하며 겨울철에는 생선·미역·해삼 등을 먹는다. 반주에 곁들이는 가벼운 술안주로 적당하다.
◈카레 & 돈까스 (カレ- & 豚カツ)
일본의 전통음식이 아님에도 어느덧 일본의 가장 대중적이 음식이 되어 버린 카레와 돈까스는 일본인들에게 최고의 인기 음식이다. 싼 것부터 비싼 것까지 음식의 종류와 가격이 다양하며, 카레의 경우 우리보다 색이 진하며 각양각색의 재료가 양념으로 사용된다. 일본의 돈까스는 우리나라의 돈까스 보다 질과 맛에서 한 차원 높은데, 최근 우리나라에도 일본식 돈까스를 표방하는 가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창코나베◈
일본의 씨름(스모)선수들이 먹는 음식이 대중화된 음식이다. 그 양이 엄청 나다. 세숫대야 만한 냄비 안에 가득한 육수부터 끓인 후 쇠고기와 생강 등을 넣고 난 다음 배추, 파, 조개,
쑥갓, 버섯 등의 재료를 살짝 데친 후 간장에 찍어먹는다고 한다.
건더기를 건져 먹은 다음 그 국물에 굵은 우동을 넣고 끓이면서 소금과 간장, 약간의 고춧가루를 넣고 간을 맞춰 먹는다.
스모선수들의 체중을 불리기 위해 고안된 창코나베는 체중이 목표량에 도달하지 않으면
그런 냄비요리를 하룻밤에 몇 대야씩 먹는다고 한다.
5.한국과 일본요리의 조리법비교
▷밥 : 주식의 형태는 대체로 비슷한데 우리나라에서는 그릇이 크고, 일본에서는 작은 공기에 담아 젓가락으로 먹는 것이 다르다.▷국·탕 : 우리나라 사람처럼 국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없다. 갈비탕, 설렁탕, 추어탕 등 요리도 많거니와 밥을 국에 말어 먹기도 한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조그만 그릇에 숟가락 없이 젓가락으로 건지를 건져 먹고 국물은 그릇에 입술을 대고 마신다.맑은 장국(스마시지루)과 된장국(미구시루)의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기나 생선을 넣어 국물을 우려내고 건지도 그대로 먹는데, 일본에서는 다시지루 라는 장국을 만들어 쓰는 것이 특이하다.재료로는 멸치나 가쓰오부시(가다랭이)를 발효시켜 딱딱해진 것을 대패밥처럼 썰어 낸 것), 다시마를 가지고 맛을 우려낸다. 여기에 건더기를 알맞게 썰어 넣고 된장이나 맑은 장을 넣어 끓인다.▷찌개 : 우리나라의 찌개와 같은 음식은 없으나 아쓰모노 라고 하는 비교적 국물이 많은 음식이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처럼 고추장이나 고춧가루를 풀어 맵고 얼큰하게 하는 음식은 거의 없다. ▷전골 : 상에서 직접 입혀서 먹는 음식을 전골이라 한다. 일본에는 나베모노(鍋物)라 하여 많은 종류가 있다. 쇠고기에 국물을 약간 넣고
◈돈부리- 덮밥
덴돈(てんどん)::밥위에 새우튀김이 얹혀 있는 것. 새우 덴푸라 한두개를 얹은 밥에 소스와 미린으로 맛을 낸 독특한 양념 간장에 찍어 먹는다. 약간의 소스를 밥 위에 쳐서 먹기도 한다.
◈스이모노(吸い物) - 국
스이모노를 크게 분류하면, 맑은 장국과, 된장을 풀어 끓인 탁한 국으로 나눌 수 있다.
일본의 국은 숟가락으로 떠먹는 대신 젓가락으로 가볍게 저어 그릇을 입에 대고 마시며
가끔 내용물을 젓가락으로 건져 먹는다. 대표적인 것으로 미소시루가 있다.
◈쓰케모노(漬物) - 김치류
쓰케모노는 채소류를 소금, 쌀겨, 된장, 간장 등에 담가 만든 일본식 김치로, 입 안을 개운하게 해 차의 맛을 더욱 느끼게 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다쿠앙과 우메보시다.
◈나베모노(なべもの) - 냄비요리, 국물요리
냄비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국물을 넣어 끓인 것으로 대표적인 요리로 샤부샤부가 있다.
◈벤토- 도시락
일본에서는 편의점이나 도시락 전문점 등 어디에서든 도시락을 쉽게 살 수 있다. 주로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들이 많이 먹는데, 점심시간이면 도심 어디서나 줄을 서서 도시락을 사려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하나미(花見)등의 피크닉에도 빠질 수 없는 것이 도시락으로, 싼 것부터 매우 비싼 것까지 다양하다.
◈니모노(煮物) - 조림
니모노는 조림이라 할 수 있다. 다시마나 가다랭이포 국물에 간을 맞추고 육류 · 어패류 · 야채류 등을 넣고 졸여서 연하게 조리한 요리로, 반찬은 물론 술안주까지 일본인의 평상시 식단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리이다.
◈야키모노(燒き物) - 구이
데리야키 (てりやき) : 소고기나 돼지 고기,또는 생선에 양념을 발라서 구운 것. 이때 쓰는 양념이 데리소스이다.
◈쓰키다시(突き出し) - 곁들인 안주
쓰키다시는 식욕을 촉진하도록 간단히 입가심을 하는 요리로, 죽순두부·달걀두부 등을 차게 해서 먹기도 하며 겨울철에는 생선·미역·해삼 등을 먹는다. 반주에 곁들이는 가벼운 술안주로 적당하다.
◈카레 & 돈까스 (カレ- & 豚カツ)
일본의 전통음식이 아님에도 어느덧 일본의 가장 대중적이 음식이 되어 버린 카레와 돈까스는 일본인들에게 최고의 인기 음식이다. 싼 것부터 비싼 것까지 음식의 종류와 가격이 다양하며, 카레의 경우 우리보다 색이 진하며 각양각색의 재료가 양념으로 사용된다. 일본의 돈까스는 우리나라의 돈까스 보다 질과 맛에서 한 차원 높은데, 최근 우리나라에도 일본식 돈까스를 표방하는 가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창코나베◈
일본의 씨름(스모)선수들이 먹는 음식이 대중화된 음식이다. 그 양이 엄청 나다. 세숫대야 만한 냄비 안에 가득한 육수부터 끓인 후 쇠고기와 생강 등을 넣고 난 다음 배추, 파, 조개,
쑥갓, 버섯 등의 재료를 살짝 데친 후 간장에 찍어먹는다고 한다.
건더기를 건져 먹은 다음 그 국물에 굵은 우동을 넣고 끓이면서 소금과 간장, 약간의 고춧가루를 넣고 간을 맞춰 먹는다.
스모선수들의 체중을 불리기 위해 고안된 창코나베는 체중이 목표량에 도달하지 않으면
그런 냄비요리를 하룻밤에 몇 대야씩 먹는다고 한다.
5.한국과 일본요리의 조리법비교
▷밥 : 주식의 형태는 대체로 비슷한데 우리나라에서는 그릇이 크고, 일본에서는 작은 공기에 담아 젓가락으로 먹는 것이 다르다.▷국·탕 : 우리나라 사람처럼 국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없다. 갈비탕, 설렁탕, 추어탕 등 요리도 많거니와 밥을 국에 말어 먹기도 한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조그만 그릇에 숟가락 없이 젓가락으로 건지를 건져 먹고 국물은 그릇에 입술을 대고 마신다.맑은 장국(스마시지루)과 된장국(미구시루)의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기나 생선을 넣어 국물을 우려내고 건지도 그대로 먹는데, 일본에서는 다시지루 라는 장국을 만들어 쓰는 것이 특이하다.재료로는 멸치나 가쓰오부시(가다랭이)를 발효시켜 딱딱해진 것을 대패밥처럼 썰어 낸 것), 다시마를 가지고 맛을 우려낸다. 여기에 건더기를 알맞게 썰어 넣고 된장이나 맑은 장을 넣어 끓인다.▷찌개 : 우리나라의 찌개와 같은 음식은 없으나 아쓰모노 라고 하는 비교적 국물이 많은 음식이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처럼 고추장이나 고춧가루를 풀어 맵고 얼큰하게 하는 음식은 거의 없다. ▷전골 : 상에서 직접 입혀서 먹는 음식을 전골이라 한다. 일본에는 나베모노(鍋物)라 하여 많은 종류가 있다. 쇠고기에 국물을 약간 넣고
추천자료
일본의 봉건사회 확립기 역사와 문화
일본 의회 민주주의의 역사와 그 특수성에 관한 소고
역사적 흐름에 따른 일본 천황제의 역할과 현대적 의미
일본 성 문화 역사 연구
[프랑스요리][프로방스요리][프랑스요리의 종류][프랑스요리의 특징]프랑스요리의 역사, 프랑...
[기모노][일본전통의상][일본문화][일본전통의복][기모노의 역사][기모노의 유래][기모노의 ...
16,17 세기 급변하는 동아시아 국제정세 - 동아시아 역사속의 시대적인 랜드마크들과 그에따...
[역사교육] 고대 일본의 이해
[스시, 초밥, 스시(초밥) 정의, 스시(초밥) 어원, 스시(초밥) 종류, 스시(초밥) 역사, 스시(...
[역사, 일본정당정치, 일본과학기술]일본정당정치의 역사, 일본과학기술의 역사, 일본신화의 ...
[이탈리아음식(이태리음식)]이탈리아음식(이태리음식)의 역사, 이탈리아음식(이태리음식)의 ...
[한국문화사] 한국음식의 역사와 서양음식·중국음식·일본음식의 전래과정 및 군것질거리의 변화
한국어와 일본어, 그 역사적 상관성에 대하여 -우리말이 일본어에 영향을 주었다면, 그 역사...
독도교육 {역사 속에 나타난 독도, 일본 독도영유권 주장과 우리 정부의 대응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