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시가 잘알기’, 벽호, 1994.
김대행, 「‘愚夫歌’의 主題와 時代性 論議 反省」, 『가사연구-국어국문학회편』, 태학사, 1998.
정재호, 「‘愚夫歌’ 考」, 『어문논집』, 민족어문학회, 1977.
이동준, 「‘우부가’의 작가층과 작가의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47
임동권, 『한국민요사』, 집문당, 1974
양주동, 『여요전주』
최동원, 「고려속요의 향유 계층과 그 성격」,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이병기,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6.
강명혜, <黃鳥歌>의 의미 및 기능 -<龜旨歌>·<公無渡河歌>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11, 온지학회, 2004.
김영수, 黃鳥歌 硏究 再考 -樂府詩 ‘黃鳥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싶다.
※참고문헌 및 자료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윤광봉, 『고전시가와 예술』, 경인문화사, 2003
류렬, 『향가연구』, 박이정, 2003
일연, 김원중 역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www. bc8937.pe.ne.kr
http://namdou.com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문학연구>>), 한국고전문학연구, 1988.
김상억, <고려시가연구Ⅳ>, 청주대학교, 1974.
최철, <고려시가의 불교적 고찰>, 한국학술진흥재단, 1997.
임주탁, <<정석가>의 문학적 성격>(<<고전문학연구>>, 한국고전문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드러진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병국, 고전시가 지학사 1994.
2. 주제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고 추모함. 하이라이트 고전문학 분석편, 지학사, 2005,p.169.
3. 기존연구
< 양주동 해독 >
生死路난예 이샤매 저히고
나난 가나다 말ㅅ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해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박노준, <고전시가엮어보기(상)>, 태학사, 2003.
- 임기중, <우리의 옛노래>, 현암사, 1994.
- 조규익, <고전시가의변이와지속>, 학고당, 2006.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龜旨歌 구지가
龜何龜何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 머리를 내어라
若不現也 내놓지 않으면
燔灼而喫也 구워서 먹으리
※출전: <<삼국유사>> 권2(기이 제2), <가락국기>
1) <구지가>의 내용(배경설화)
가락국 땅에 아직 나라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의 탐색』,경인문화사, 2004.
김퇘덕,「‘쌍화점’의 형성배경과 내용특성」,『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국학자료원, 2000.
나정순,「고려 가요에 나타난 성과 사회적 성격」,『고려시가 엮어보기』,태학사, 2003.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가와는 거리가 먼 중국계에 속하는 악장이다. <야심사(夜深詞)>와 함께 궁정연회가 끝날 무렵 부른 노래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작품 외에도 <동동>, <무애>, <처용>, <송산>, <야심사>, <한림별곡>, <삼장>,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